• 제목/요약/키워드: Responder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6초

Long Cut Straw Provides Stable the Rates of Survival, Pregnancy and Live Birth for Vitrification of Human Blasotcysts

  • Lee, Jung-Woo;Cha, Jeong-Ho;Shin, Sun-Hee;Kim, Yun-Jeong;Lee, Seul-Ki;Cha, Hye-Jin;Kim, Ji-Hae;Ahn, Ji-Hyun;Kim, Hye-Young;Pak, Kyung-Ah;Yoon, Ji-Sung;Park, Seo-Young;Park, Choon-keu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3호
    • /
    • pp.219-225
    • /
    • 2016
  • Most of the commercial devices for vitrification are directly immersed into the warming solution (WS) for increasing of warming rate. However, the previous modified cut standard straw (MCS) which has reported is difficult to immerse into the W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long cut straw (LCS) could be useful as a stable tool for vitrified-warmed human blastocysts. A total of 138 vitrified-warmed cycles were performed between November 2013 and November 2014 (exclusion criteria: women ${\geq}38$ years old, poor responder, surgical retrieval sperm, and severe male factor). The artificial shrinkage was conducted using 29-gauge needles. Ethylene glycol and dimethyl sulfoxide (7.5% and 15% (v/v)) were used as cryoprotectants. Freezing and warming were conducted using the LCS tool. The cap of LCS was removed using the forceps in the liquid nitrogen ($LN_2$) and then directly immersed into the first WS for 1 min at $37^{\circ}C$ (1 M sucrose). Only re-expanded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after it was cultured in sequential media for 18-20 h. A total of 294 blastocysts were warmed, and all were recovered (100%). Two hundred eighty-five embryos were survived (96.9%). The vitrified-warmed blastocysts of all patients were transferred without any cancellation. We were able to achieve a reasonable implantation (24.2%), following by clinical pregnancy (36.2%), which then continued to ongoing pregnancy (36.2%), and live birth (31.2%). Using LCS is achieved the acceptable rates of survival, pregnancy and live birth. Therefore, the LCS could be considered as a stable and simple tool for human embryo vitrificaton.

접착성 치과수복재료에 대한 정보습득과 선택 및 평생교육을 통해 본 몽골 치과계의 현황 (Status of Mongolian dentistry viewed from information resources and selection of adhesive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and continuing education)

  • 김혜정;;김진우;박세희;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4호
    • /
    • pp.329-339
    • /
    • 2015
  • 목적: 몽골 치과의사들의 접착성 치과수복재료에 대한 정보습득과 선택 기준 및 방법을 알아보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생교육과 연관 지어 향후 변화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몽골 치과의사 100명을 대상으로 7개의 일반적 사항, 수복재료의 정보습득과 선택에 대한 8개의 항목, 평생교육에 대한 10개의 항목에 대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대면 조사하였다. 결과: 객관적이며 신뢰성 높은 치과수복재료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고 있지 못하며 합리적인 재료선택을 하고 있지 못했고 평생교육의 양이 많지 않으며 교육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고 있지 못하였으며 온라인 보수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 몽골 치과계에서 접착수복재료에 대한 정보를 적절히 전달하고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며 재료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다각적인 방법으로 만들어 갈 필요성이 높다.

민간구급차 운전자의 기본 응급처치 지식에 관한 융복합적 의식조사 (Convergence awareness of basic emergency treatment by private ambulance drivers)

  • 김수태;이영희;신동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27-13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 응급환자이송업체에 종사하는 구급차 운전자의 기본 응급처치 인식을 알기 위함이다. 2013년 2월 20일부터 4월 1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의 민간 응급환자이송업체에 근무하는 구급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 중 181부를 분석하였다. 설문 구성은 기본소생술생술에 관련된 기도 관련문항(A)-3문항, 호흡 관련문항(B)-9문항, 순환관련문항(C)-4문항, 의식 확인 관련문항(D)-4문항, 감염관리 관련-3문항 등으로 총 2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감염관리 인식은 87%에서 알고 있었으며, 기도, 호흡, 의식에 대한 인식은 60%였다. 응급처치는 23점 만점에 15.20점, 의식 확인은 4점 만점에 2.55점, 기도관리는 3점 만점에 2.08점, 호흡은 9점 만점에 5.35점, 순환은 4점 만점에 2.56점이었다. 민간 구급차 운전자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중요하다. 이 연구는 응급의료체계에서 민간구급차 서비스의 양적,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주요 우울증에서 혈중 Cytokine과 임상적 호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Cytokine and Clinical Improvement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 김현철;이상규;김도훈;손봉기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1호
    • /
    • pp.70-79
    • /
    • 2003
  • Object : Currently, the alteration of cytokine system has been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ard to depressive symptom.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munological parameters and clinical improvement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Method : Data were collected on 26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a 8-week prospective follow-up design. After 8-week treatment period with fluoxetin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a response group and a non-response group according to their psychopathological outcome as evaluated by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The differences of the immunological parameters between pre-treatment phase and post-treatment phase were compared among patients. The difference of those was also compared within each phase among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depression, cytokine, mononuclear cells was examined b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clinical improve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 : Pre-treatment levels of IL-$1{\beta}$ in the respon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n-response group. Pre-treatment levels of IL-$1{\beta}$ of all patients and in the response grou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treatment monocyte counts. Patients with subsequent remiss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IL-6 values at baseline than those with non-response. Post-treatment values of IL-6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patients. The correlation test showed more frequent relations among cytokines and mononuclear cells in the response group than in the non-responder group. Especially, serum level of IL-6 in pre-treatment phase was on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AMD score after 8-week treatement phase, while other cytokines and mononuclear cells were not. Pretreatment level of IL-6 was of paramount importance in predicting clinical improvement of depressive symptom. Conclusion : The immune system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might dichotomize the patients into subsequent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Immune system might be of great influence on the clinical improve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mode of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cellular immune function and the mediators responsible for the cytokine production need to be studied further.

  • PDF

소아 만성 B형 간염의 Interferon Alfa 치료 후 혈청학적, 조직학적 소견의 변화 (Ser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after Interferon Alfa Therapy i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 고재성;정주영;장자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56-62
    • /
    • 2000
  • 목 적: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치료에 interferon alfa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소아에서의 치료 후의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소아 만성 B형 간염에서 interferon alfa의 치료 효과와 추적 생검이 가능했던 환자에서의 조직학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6개월 이상 HBsAg과 HBeAg 및 HBV DNA가 양성이었으며 간 조직검사상 만성 간염으로 확진된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recombinant interferon alfa 3~6 MU(평균 $3.4\;MU/m^2$)를 주 3회씩 6개월간 피하주사 하였다. 치료 시작 12개월 이상 혈청학적 변화를 추적 관찰하였다. interferon에 반응이 있는 환자 중 18명에서 치료후 간생검을 실시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1) 치료 환자 35명 중 17명(49%)에서 인터페론 치료 시작 6개월에 HBV DNA의 감소가 있었고, 12개월째에 22명(63%)에서 HBeAg 및 HBV DNA의 음전이 생겼으며 18개월까지는 25명(71%)에서 관찰되었다. 반응군에서 혈청 ALT치는 모두 정상화되었고, HBsAg의 음전은 1명에서 관찰되었다. 2) 어머니가 HBsAg 보유자가 아닌 수평감염, 치료전 ALT가 정상의 2배 이상, 간조직의 심한 괴사와 염증이 interferon에 대한 반응이 좋은 예측인자이었다. 3) 치료 후 반응군의 간조직 소견에서 간맥주위괴사, 소엽내 활성도, 간맥내 염증, 간섬유화, total HA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소아 만성 B형 간염에서 interferon alfa 치료 후 63%에서 반응을 보였으며, 혈청학적 변화는 조직학적 소견의 호전과 연관이 있다. 소아 만성B형 간염 환아에서 interferon 치료는 혈청학적, 생화학적, 조직학적 관해를 유도하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이다.

  • PDF

화학사고 초기대응자를 위한 검지관식 탐지장비의 반응성 연구 (The chemical reactivity of detecting tube detection equipment for incident responder)

  • Ahn, Seung-Young;Kim, Jungmin;Kim, Sungbum;Chun, Kwangsoo;Lee, Jin-Seon;Park, Choonhwa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3-39
    • /
    • 2014
  • 화학사고 발생 시 현장 초기대응자들은 사고 원인물질과 농도를 신속하고 손쉽게 확인하기 위한 방식으로, 미국 환경청(EPA) 초기대응팀에서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직독식 탐지장비를 이용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검지관식 가스 탐지장비를 직독식 탐지장비로 이용하여 사고 발생 시 현장에서 이용하고 있고, 검지관식 가스탐지기는 신속한 원인 물질 확인과 정밀한 분석 전에 전략적으로 대략적인 오염물질의 정량과 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장비이다. 그러나 현장 초기대응자들의 직독식 탐지장비의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과 단순 수치로만 확인하려는 방식으로 인해 탐지결과의 정확성에 대한 의문점을 늘 제기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사고 현장에서 정확한 탐지 결과를 얻기 위해 환경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지관식 가스탐지기인 Kitagawa와 Draeger 탐지기의 물질 반응성을 확인하여 초기 대응자들의 현장 탐지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Comparison of mild ovarian stimulation with conventional ovarian stimulation in poor responders

  • Yoo, Ji-Hee;Cha, Sun-Hwa;Park, Chan-Woo;Kim, Jin-Young;Yang, Kwang-Moon;Song, In-Ok;Koong, Mi-Kyoung;Kang, Inn-Soo;Kim, Hye-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3호
    • /
    • pp.159-163
    • /
    • 2011
  • Objective: To compare the IVF outcomes of mild ovarian stimulation with conventional ovarian stimulation in poor responders. Methods: From 2004 to 2009, 389 IVF cycles in 285 women showed poor responses (defined as either a basal FSH level ${\geq}$12 mIU/mL, or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leq}$3, or serum $E_2$ level on hCG day <500 pg/m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In total, 119 cycles with mild ovarian stimulation (m-IVF) and 270 cycles with conventional ovarian stimulation (c-IVF) were included. Both groups were divided based on their age, into groups over and under 37 years old. Results: The m-IVF group was lower than the c-IVF group in the duration of stimulation, total doses of gonadotropins used, serum $E_2$ level on hCG day,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and the number of mature oocyt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good embryos, the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the cancellation rate, or the clinical pregnancy rate. In the m-IVF group over 37 years old, the clinical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were higher when compared with the c-IVF group,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poor responder groups, mild ovarian stimulation is more cost effective and patient friendly than conventional IVF. Therefore, we suggest that mild ovarian stimulation could be considered for poor responders over 37 years old.

불량반응군에서 GnRH Antagonist와 Agonist Long Protocol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GnRH Antagonist and Agonist Long Protocols in Poor Responders)

  • 최지영;구승엽;김훈;지병철;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239-244
    • /
    • 2010
  • 목 적: 본 후향적 연구는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와 길항제 (GnRH antagonist) 치료를 받은 불량반응군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172회의 체외수정시술 주기에서 GnRH agonist 또는 antagonist protocol로 과배란유도를 시행받고 채취된 난자의 수가 5개 이하인 불량반응군을 대상군으로 하였다. 난포 및 채취된 난자의 수, 수정률 등의 결과를 두 군 간에 비교하였다. 결 과: GnRH agonist long protocol과 antagonist protocol 두 군 간에 난포 및 난자의 수와 수정률은 차이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반면, 과배란유도 제7/8일의 혈중 $E_2$ 농도는 GnRH antagonist군에서 더 높았던 반면, 사용한 평균 성선자극호르몬의 용량은 유의하게 적고 과배란유도 기간은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 p<0.01). 결 론: 불량 반응군에서 GnRH agonist long protocol에 비하여 GnRH antagonist protocol의 경우 노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필요한 반면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고려할 때, GnRH antagonist protocol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시 hCG 투여 일에 측정한 혈중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Levels Measured at Ovulation Triggering Day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s)

  • 김현준;지병철;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1호
    • /
    • pp.33-39
    • /
    • 2007
  • 목 적: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시 혈청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농도가 과배란유도의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시행 받은 49 명의 불임여성을 대상으로 hCG 투여 일에 혈청을 얻어 VEGF-A 및 estradiol 농도를 측정하였다. 과배란유도는 clomiphene citrate (100 mg/d on day 3$\sim$7) 와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 병합요법을 이용하였다. hCG 투여 일에 17mm 이상의 성숙난포 수와 자궁내막 두께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 과: 혈청 VEGF-A 농도는 성숙난포 수, estradiol 농도 및 자궁내막 두께와는 무관하였던 반면 성숙난포 수와 estradiol 농도는 양의 비례관계를 보였다. 혈청 VEGF-A 농도는 성숙난포 수가 2 개 이하인 저 반응 군과 6 개 이상인 고 반응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결 론: 혈청 VEGF-A 농도는 자궁강 내 인공수정 시술 시 과배란유도의 결과와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지만 저 반응 군과 고 반응 군에서 낮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임상시험에 대한 위험평가 분류조사연구 (Survey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Risk Level Classification of Clinical Trials Among Korean University Hospitals)

  • 이선주;강수진;맹치훈;신유진;유소영
    •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지
    • /
    • 제4권2호
    • /
    • pp.36-4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ow university hospital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in Korea classify risk when reviewing clinical trial protocols. Methods: IRB experts (IRB chairman, vice chairman, IRB administrator) in the university hospitals obtaining a Human research protection program (HRPP) or IRB accreditation in Korea were asked to fill out the Google Survey from September 1, 2020 to October 10, 2020. Result: Among the 23 responder hospitals, 8 were accredit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Human Research Protection Program (AAHRPP) and 8 were accredited by the HRPP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Seven were accredited by Forum for Ethical Review Committees in Asia and the Western Pacific or Korea National Institution for Bioethics Policy. Thirteen of 23 hospitals (56.5%) had 4 levels (less than minimal, low, moderate, high risk), 4 hospitals had 3 levels (less than, slightly over, over than minimal risk), 1 hospital had 5 levels (4 levels plus required data safety monitoring board), and 1 hospital had 2 levels (less than, over than minimal risk) risk classification system. Thirteen of 23 hospitals (56.5%) had difficulty classifying the risk levels of research protocols. Fourteen hospitals (60.9%) responded that different standards among hospitals for risk level determination associated with clinical trials will affect the subject protection. Six hospitals (26.1%) responded that it will not. Three hospitals (13.0%) responded that it will affect the beginning of the clinical trial. To resolve differences in standards between hospitals, 14 hospitals (60.9%) responded that eit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IRB or MFDS needs to provide a guideline for risk level determination in clinical trials: 5 hospitals (21.7%) responded education for IRB members and researchers is needed; 3 hospitals (13.0%) responded that difference among institutions needs to be acknowledged; and 1 hospital (4.3%) responded that there needs to be communication among IRB, investigator, and sponsor. Conclusion: After conducting a nationwide survey on how IRB in university hospital determines risk during review of clinical trials, it is reasonable to use 4-level risk classification (less than minimal, low, moderate, high risk); the most utilized method among hospitals. Moreover, personal information and conflict of interest associated with clinical trials have to be considered when reviewing clinical trial protoco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