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n's Responses to the Characters of Fantasy Picture Books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 채종옥 (인천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10.14
  • Accepted : 2013.12.19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a child, as an active responder, responds to the characters of fantastic picture books by analyzing the child's questions and comments through the reading aloud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ifty-four children under five years old. Nine fantastic picture books are used as the study materials.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are the frequency of children's questions and comments, the types of responses and the reasons of preferences to the charact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requency of comments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questions. Secondly, the frequency of "evaluative questions" is the highest and "imaginative questions" is the next highest. The frequency of "transparent questions" and "personal questions" are comparatively low. Thirdly, most of the children answered that the reason of preference of the characters was "the character's appearance" and then "their subjective feeling to the character", "the character's role" and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in that order. Only one child answered that it was "the character's gender."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of reading picture books and to the strategic study to improve children's responses as well.

본 연구는 개별적으로 환상그림책을 읽어주는 동안 그림책에 대한 반응의 주체자인 유아가 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유아들의 질문과 코멘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유아 54명이며, 연구 도구로는 환상그림책 9권이 사용되었다. 분석 내용은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한 유아들의 질문과 코멘트의 빈도 및 각각의 반응유형, 등장인물에 대한 선호 근거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질문하기 보다는 코멘트 하는 빈도가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평가적 질문'을 가장 많이 하였고, 다음이 '상상적 질문'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질문 유형에 비해 '몰입적 질문'과 '개인적 질문' 빈도는 매우 낮았다. 셋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평가적 코멘트'를 가장 많이 하였고, 다음이 '상상적 코멘트', '몰입적 코멘트', '개인적 코멘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 선호 근거로 '등장인물의 외형'을 제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등장인물에 대한 주관적 느낌', '등장인물의 역할', '등장인물의 특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등장인물의 성'을 제시한 경우는 한 명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교육현장 교사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전략의 계획 실행과 그림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증진을 위한 전략 연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진(1997).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미애(2010). Anthony Browne 그림책의 환상성에 대한 유아의 반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민정(2003). 유아의 연령 및 선호하는 동화 장르에 따른 소망에 대한 믿음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명진(2002).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의 또래 유아 간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설영(2005). 초등학생의 동화 선호도에 관한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애경(1999). 동화의 원작과 패러디에 대한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양선(1997).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의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영실, 윤진주, 박미영(2010). 그림책의 페이지브레이크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언어적 반응 분석. 유아교육연구, 30(3), 287-308.
  9. 김예연(2002). 교사와 유아의 그림책 읽기 상황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이야기 이해 전략.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희(1993). 아동의 문학작품에 대한 반응-이론적 고찰. 양옥승 편, 탁아연구 II -교육적 접근-(85-117). 경기도 : 양서원.
  11. 노영희, 신설아(2010). 감각그림책을 경험한 유아들의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010(5), 123-134.
  12. 마송희(2002). 소집단 읽어주기 상황에서 연령, 집단 구성, 그리고 반복 읽기가 유아의 반응과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2(4), 51-72.
  13. 박사빈(2005). 명작동화의 정신분석학적 분석과 유아의 반응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정선(2011). 그림책 그림의 대인관계적 기능에 대한 아동의 반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현경(2006). 그림책의 주인공에 대한 아동의 반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정숙, 김정원, 남 규(2008). 그림책 단원중심 문학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에 대한 질적 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9(1), 1-29.
  17. 심향분, 현은자(2009). 유아들의 정보그림책 읽기과정 탐구. 유아교육연구, 29(5), 225-244.
  18. 오진희(2000).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교사의 언어적 유형에 따른 영아의 반응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윤주은(2000). 우리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주현(2006). 판타지 그림책에 대한 어린이와 어른의 반응 양상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문정, 최윤정, 곽아정(2013).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 63-79.
  22. 이상금, 장영희(1986). 유아문학론. 서울 : 교문사.
  23. 이송은(2006). 2세 영아의 책에 대한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임현희(2001).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4, 5세 유아의 반응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전연우, 조희숙(2012).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257-284.
  26. 정해련, 전예화(2001). 동화 유형에 따른 유아의 언어 반응. 인간환경복지연구, 창간호, 69-90.
  27. 채종옥(2012). 그림책에 대한 영․ 유아의 반응 연구 경향 분석, -1996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21-46.
  28. 재종옥(2011).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들의 재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1-24.
  29. 채종옥(1999). 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수집과 반응분석 방법에 관한 고찰. 시립인천전문대학 논문집, 30, 57-75.
  30. 채종옥(1999). 환상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 고찰.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 연구회 편, 환상그림책으로의 여행(324-345). 서울: 다음세대.
  31. 채종옥(1996).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최미혜(2010). 정보그림책과 이야기그림책 짝지어 읽기 상황에서 유아의 반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상은(2007).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남. 여 유아의 언어반응.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한국어린이문학교육연구회(1999). 환상그림책으로의 여행. 서울 : 다음세대.
  35. 한애란(1999). 존 버닝햄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유미(2008). 그림책 보기 상황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 혼자, 또래 간의 비언어적․언어적 행동.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현은자, 김세희(1996).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유아교육연구, 16(2), 5-25.
  38. 현은자, 변윤희(2004). 그림책에서 의인화된 동물 등장인물에 대한 아동의 반응. 어린이문학교육연구, 5(2), 31-61.
  39. Cooper, C. R. (1989). Researching response to literature and the teacher of literature: Points of departs. Norwood, NJ : Ablex.
  40. Cullinan, B. E., & Galda, L. G. (1994). Litrature and the child. Fort Worth, TX : Harcourt Brace & Company.
  41. Cochran-Smith, M. (1984). The making of reader. Norwood, NJ : Ablex.
  42. Many, J. E., & Wiseman, D. L. (1992). The effect of teaching approach on third-grade students' response to literature.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4(3), 265-87. https://doi.org/10.1080/10862969209547778
  43. Morrow, L. M. (1988).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one-to-one story reading in school settings. Reading Research Quartery, 23(1), 89-107. https://doi.org/10.2307/747906
  44. Petrosky, A. R. (1989). Response : A way of knowing. In C. R. Cooper (Ed.), Researching response to literature and teaching of literature (pp.33-53). Norwood, NJ : Ablex.
  45. Rosenblatt, L. M. (1938). Literature as exploration. New York : Noble and Noble Publications.
  46. Sipe, L. R. (2008). Storytime : Young children's literary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NY : Teachers College Press.
  47. Stephanie. J. R. (1995). Preschooler's response to picture book in small-group discussion : The role of gen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TX, USA.
  48. Taylor, E. A. M. (1986). Young children's verbal responses to literature: An analysis of group and individual differ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TX, USA.

Cited by

  1. 그림책의 포스트휴먼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탐색 vol.39, pp.6,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