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CEP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디지털 통상의 국제규범화 현황과 쟁점: 국경 간 데이터 이동 및 데이터 보호를 중심으로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Digital Trade Agreements: Focusing on Cross-border Data Flows and Data Protection)

  • 이주형;서정민;노재연
    • 무역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99-117
    • /
    • 2021
  • Korea's FTA e-commerce regulations are evolving into a standardized norm. However, "location of computing facilities", which was not covered by Korea's existing FTA, was newly established in Korea's first Mega FTA, RCEP. China, a member of RCEP, restricts data movement and requires data localization through its Cybersecurity law. These facts have led to start this study with interest in data-related regulations. It examined country-specific and regulatory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forming digital trade norms, using the TAPED established by Burri et al. (2020). It also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troducing norms related to 'data flow', 'data localization' and 'data protection' of the EU, USA and China, which are leading the formation of e-commerce trade norms. Finally, the legal review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xact meaning of the wording expressed in each agreement for the six recently enacted Mega FTAs and Digital Economic Agreements.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RCEP and the direction of negotiations on Korea's digital trade norms.

The New Landscape of Trade Policy and Korea's Choices

  • Petri, Peter A.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7권4호
    • /
    • pp.333-359
    • /
    • 2013
  • Two mega-regional negotiations are changing the landscape of Asia Pacific trade policy: an Asian track centered on ASEAN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or RCEP), and a Trans-Pacific track centered o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among 12 econom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which Korea is expected to join. Modeling results suggest that both would generate substantial benefits for Korea and the global economy. From Korea's viewpoint, the agreements would establish new FTAs with China, Japan and smaller economies, improve the utilization of FTAs by permitting the regional cumulation of inputs, and help to upgrade some Korean FTAs to more rigorous standards. By participating in these agreements, Korea could also help to guide them toward inclusive, high-quality regional outcomes. As one of the region's most open and agile economies, Korea has a large stake in regional integration and would be well advised to pursue both tracks.

우리나라 외교정책과 해양‧수산분야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itime and Fisheries Sector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Diplomacy Strategy)

  • 박성욱;이주아;차정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23-31
    • /
    • 2023
  • The core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Yoon Suk-yeol government is the promotion of active economic and security diplomacy as indicated in Policy Tasks No. 98. To this end, economic consultative bodies such as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RCEP),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 and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are taking the initiative to respond to the formation of supply chain, human rights, environment, and digital-related norms, and actively support Korean companies' overseas expansion. Due to the nature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as an organization established centered on the space of the ocean, the MOF faces difficulties in bringing the functions of other ministries into the space of the ocean. Considering the vision, objectives, and detailed plans of the MOF, the contribution of the MOF in the field of active economic security, one of the main foreign policies of the Yoon Suk-yeol government, is perhaps too obvious. However, since the re-launch of the MOF, the ODA budget for the oceans and fisheries sector is too small compared to other ministries, so even if new policy demands are discover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se policies in practice. Recognizing these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foreign policies that have been promoted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RCEP, CPTPP and IPEF and introduces the areas of cooperation in the oceans and fisheries sector in these foreign policies.

주요 디지털통상협정 내 제도적 장치 및 분쟁해결제도 비교 분석 및 한국에의 시사점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in Major Digital Trade Agreements: A Comparative Analysi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 고보민
    • 무역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73-288
    • /
    • 2022
  • This study first classifies and organizes provisions on institutional arrangements (or IAs) and dispute settlement mechanism(or DSM) in a digital trade agreement. Then it conducts a case study on seven major digital trade agreements: the CPTPP, the USJDTA, the USMCA, the ASDEA, the RCEP, the KSDPA, and the DEPA. And it finally derives implications for Korea to improve implementation of DTAs by communicating better and resolving disputes efficiently with the help of IAs and DSM-related provisions. IAs of a digital trade agreement can be defined as a set of agreements on the division of the respective responsibilities of agencies involved in implementing and enforcing the agreement, including committees, working groups, or contact points. DSM of a digital trade agreement includes consultation, mediation, arbitration, and establishment of a panel. Comparing six FTAs with an e-commerce chapter, the CPTPP, the USMCA, and the RCEP contain the most advanced type of IA provisions while the CPTPP, the USMCA, the RCEP, and the KSDPA have that of DSM provisions. Korea is its initial stage as it has only signed the KSDPA with Singapore as well as it is about to launch a new digital trade negotiation for the DEPA, the CPTPP, and even the IPEF, it is necessary to engage in negotiations with a clearer position on behalf of Korean digital companies. As provisions on IAs and DSM are important policy tools that can reflect industry concerns and convey proposals in inter-governmental dialogue, a Korean draft of the IAs and DSM-related provision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한중일 자유무역지대 설립의 경제적 영향과 통신 산업에 대한 영향 -GTAP 모형 분석을 바탕으로- (The Economic Impac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a-Japan-South Korea Free Trade Area and Impact on the Communication Industry -Base on GTAP Model Analysis-)

  • 장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5-92
    • /
    • 2022
  • 최근 몇 년간 미국의 일련의 보호무역주의 조치와 브렉시트(Brexit) 등 반세계화 행태로 세계의 자유무역체제가 큰 타격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세계 최대 무역 협정인 RCEP가 2021년 11월 15일에 공식 서명되었다. RCEP는 한중일 자유무역지대 구축을 위한 좋은 작업 기반을 제공했다. 첫째, 본고는 한중일 무역협력 현황과 3국 통신 산업의 현황을 기술한다. 둘째, 본 논문은 제8판 GTAP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유무역지역 설정 이후 관세가 각각 0%, 5%, 10%로 인하될 때 중국, 일본, 한국의 경제 전반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였다. 그런 다음 시뮬레이션된 데이터 변경 사항을 사용하고 2019년 데이터를 벤치마크로 사용하여 3개 세율에 따른 3개국 통신 산업의 RCA 지수의 변경 사항을 계산했다. 결국 한중일 자유무역지대가 수립되면 3국의 경제는 다방면에서 서로 다른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일본의 통신 산업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한국은 높은 세율로 크게 성장할 것이고 중국은 낮은 세율로 크게 성장할 것이다.

아·태지역 디지털 무역 관련 지역무역협정을 통한 규범화 발전 동향과 평가 (Evolution and Evaluation of Digital Trade Rules in Regional Trade Agreements in the Asia Pacific Region)

  • 이효영
    • 무역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60
    • /
    • 2021
  • Despite the fast growth and rising importance of digital trade, there still exists no multilateral agreement governing digital tr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licy directions regarding key digital trade issues among the U.S., EU and China are the main stumbling blocks for reaching agreement on the multilateral front. To overcome this deficiency in digital trade rules, there has been active movement among mainly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for rule-making on digital trade. Starting with the CPTPP chapter on E-Commerce in 2018, there has been a series of digital trade rules agreed in bilateral or plurilateral formats, such as the USMCA, USJDTA, DEPA, DEA and RCEP. Korea is currently only member of RCEP, which contains an e-commerce chapter with lower levels of commitment as compared to other digital trade agreements. This paper provides a broad analysis of the recently concluded digital trade agreements, comparing the different coverage of rules, levels of commitment, and rules templates. The analysis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rule-making on digital trade and Korea's digital trade strategy.

영국의 통합환경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 United Kingdom)

  • 한상운
    • 환경정책연구
    • /
    • 제6권3호
    • /
    • pp.1-31
    • /
    • 2007
  • 통합적 환경관리는 산업생태학의 원리에 맞는 이상적인 환경관리방식으로서 일찍부터 서구 산업국가에서 주목을 받았다. 특히 영국은 1970년대 이후부터 다른 유럽국가에 비하여 비교적 일찍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정책을 추진해 왔고, 이러한 노력은 EU의 통합적 환경관리 정책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영국의 통합적 환경관리는 1976년 RCEP의 보고서에 의하여 그 중요성이 인식되었고 이후 1990년 환경보호법에 통합적 환경관리가 규정됨으로써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법률과 행정체제 및 환경관리를 위한 BPEO의 개념을 정립하고 발전시켜 왔다. 영국의 이러한 노력은 현재 통합적 환경관리를 도입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정책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를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통합적 환경관리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 향후의 정책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Whither the TPP? Political Economy of Ratification and Effect on Trade Architecture in East Asia

  • Choi, Byung-il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0권3호
    • /
    • pp.311-338
    • /
    • 2016
  • In the race for establishing trading architecture consistent with new landscape of the global economy, the US is ahead of the game by concluding the Trans 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with 11 countries. To make it reality, the ratification is essential. In the battle for ratification in the US, declining globalism confronts rising protectionism. This paper models the ratification process as contest between globalism and protectionism, and analyzes the optimal timing for ratification. Based on this framework, various ratification scenarios are analyzed. The paper argues less likelihood for the lame-duck session passage and more likelihood for prolonged and protracted delay, due to changing political dynamics and declining intellectual support for globalism. Hence, the future of Trans 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may prove different, compared to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both of which were renegotiated and ratified eventually. Then, the US would lose the first move advantage. The paper also discusses strategic implications of delayed ratification on the evolution of trading architecture in East Asia.

경제통합과 농식품 교역의 국가 간 네트워크 변화 (Economic Integration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gro-Food Trade Network)

  • 현기순;이준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3-103
    • /
    • 2016
  • 본 연구는 무역 자유화 추세에 따라 국가 간 농식품 무역 구조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0-2014년 동안 HS 코드 기준 농식품 4개 품목의 45개국 간 수출액 통계를 이용하고 사회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교역 네트워크의 중심성 및 응집구조 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 간 연계는 확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역내 네트워크의 연결정도가 강하게 나타난다. 둘째, 경제통합 정도가 가장 높은 유럽국가들이 농식품 교역의 중심국가 위상을 차지한다. 셋째, 아시아 지역 농식품 교역에서 통합정도가 강화되는 품목은 채소 및 각종 가공식품이다. 이는 역내 경제통합이 유사한 문화권에서 비롯된 농식품 교역을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것을 유추하게 한다. 넷째, 한국이 RCEP과 TPP 등 메가 FTA에 참여할 경우 한국 농식품 교역의 네트워크 지위가 강화되며, 특히 가공식품의 경우 그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는 상이한 지역 간의 경제통합 환경을 반영하여 한국 농식품 교역의 공간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AEC 출범 이후 베트남 경제의 기회와 도전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Vietnam in AEC)

  • 백용훈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4호
    • /
    • pp.101-12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말 공식 출범한 아세안경제공동체(AEC)의 현황을 검토하고 AEC 출범 이후 베트남의 거시 경제적 상황에 대한 분석 및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글은 AEC가 통합의 과정에 있는 미완의 체제라는 점을 고려하여 AEC의 주요 목표 가운데 가장 실현 가능성이 있는 단일 시장 및 생산 기반 구축에 주목하였다. 최근 무역 지표에 따르면, 베트남은 전자 및 컴퓨터 관련 부품, 전화 및 관련 부품, 그리고 섬유 신발 분야에서 GVC 연결망의 중심에 위치해있어 제조 및 가공업 분야에서 생산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AEC로 인한 기대와 함께 EU와의 FTA, 그리고 RCEP를 비롯하여 전세계 다양한 국가들과 양자 간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투자 거점지역으로서 베트남의 무역 의존도 및 FDI 유입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전체 수출액 가운데 외국투자기업의 수출 비중이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베트남 경제의 불확실성을 암시한다. FDI 투자 유치는 베트남 국내기업의 경쟁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아직까지 베트남 국내 기업이 기술 혁신과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현재의 상황에서 AEC를 통한 단일 시장 및 생산기반 구축은 베트남이 아세안 내 중간제조업 경쟁국가들(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과의 경쟁에서 취약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베트남이 향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유지해나가기 위해서는 외국투자기업으로부터의 성장 동력(momentum)을 베트남 자국 기업들의 발전으로 전환시키는 개혁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