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역량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2초

중소기업의 국제화 결정요인이 국제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지역의 수출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The Impacts of Internationalization Determinants of Exporting SMEs in Daegu & Gyeongbuk on Internationalization Performance)

  • 이희용;윤정현;여택동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435-462
    • /
    • 2011
  • 우리나라는 수출 지향적 국가이며, 그로 인해 국제화를 목표로 창업하자마자 국제화를 추진하는 수출중소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출중소기업들은 제한된 자원에도 불구하고 국제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진출하여 성과를 올리고 있다. 하지만, 좀 더 효과적인 국제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제공하는 수출지원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17개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국제화 성과결정요인과 국제화 성과, 그리고 수출지원제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연구개발능력, 글로벌지향성, 해외시장환경, 기술역량, 기술모방성 등이 국제화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시장정보관리와 수출지원제도 상호작용을 포함한 연구개발능력, 경영관리능력, 해외시장환경, 그리고 기술역량과 수출지원제도 간의 상호작용만이 국제화 결정요인과 국제화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해주었다.

  • PDF

자원기반관점에서의 한국 소프트웨어개발 벤처기업의 국제화 - 가시적 자원과 비가시적 자원의 조합을 중심으로 -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Software-related New Venture on Resource Based Perspectives - The Bundle of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

  • 이건희;김정포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393-416
    • /
    • 2009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개발 관련 벤처기업의 국제화 성과와 기술자원간의 관계를 연구한 Zahra 등(2003)의 연구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개발 관련 벤처기업의 대표적인 경영자원 중 특히 기술관련 자원들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개발 관련 벤처기업의 국제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기술관련 가시적 자원과 비가시적 자원의 상호작용효과가 실질적인 기업의 역량으로서 국제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R&D 집중도로 본 기업의 가시적 기술자원은 해외진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술협력네트워크 수와 기술적 평판의 강도 등으로 살펴본 비가시적 기술자원은 해외진출성과에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적 기술자원과 비가시적 기술자원의 상호작용은 단일 자원요인에 비해 해외진출성과에 보다 많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소프트웨어개발 관련 벤처기업의 차별적이고 뛰어난 기술역량은 해외 현지국의 다양한 협력 또는 제휴관계나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적 평판 등 비가시적 기술자원에 의해 보다 폭 넓게 활용될 경우 높은 해외진출성과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게 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새로운 하천 유지관리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역량 강화 방안 (Building technical and institutional capacities towards new river maintenance)

  • 이상은;박진원;이동섭;이두한;김동현;이승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849-862
    • /
    • 2021
  • 지난 10년간 현대적인 하천 유지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하천법령, 행정규칙, 업무 매뉴얼을 정비해오고 있으며, 현장지원을 위해 다양한 연구와 기술개발도 병행해 왔다. 이러한 가운데 기반시설관리법의 제정, 2020년 홍수피해 등을 계기로 하천 유지관리 체계의 재정비 및 강화가 다시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하천 유지관리의 제도적·기술적 역량 강화를 위해 중요한 분야인, 정책, 연구개발, 계획, 기술 측면에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폭넓은 소통을 위해 산·학·연·관의 합동 토론회를 개최하여 쟁점사항을 논의하였고 참석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의견은 향후 하천 유지관리 체계 재정립 시 법제도 개선, 연구개발사업 기획, 유지관리 계획 도입, 기술개발의 방향 정립 등에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건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ceived healthcar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 한수정;김미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39-46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건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 고등학생 최종 119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7일부터 9월 17일까지 진행하였다.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일원 분산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건강관리능력은 가족기능의 하위영역인 가족결속력(r=.65, p<.001), 가족적응력(r=.54,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등학생의 건강관리능력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β=.17), 자신의 건강상태 인식(β=.23), 가족결속력(β=.45)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0%로 나타났다. 추후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고등학생의 건강관리의 실천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성인기를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 중재 및 효과 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벤처기업에 대한 환경적 요소가 역량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기업 확인제도 혜택과 벤처기업 내부 역량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ompetency and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Venture Firm Confirmation System Benefits and Venture Firm Internal Competencies)

  • 박다인;김대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241-253
    • /
    • 2023
  • 현재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각 국가는 일자리 창출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벤처기업 및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과 활성화 정책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쟁 심화로 비즈니스 수명이 짧아지고 고객들의 요구가 다양화되는 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기업은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우선 기업은 스스로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벤처기업은 내부 자원 및 역량 등이 부족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지원이 기업의 생존으로 연결될 만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Timmons, 1994).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재정지원 및 인증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재정지원은 상황에 따라 기업의 자생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연구개발 지원 및 창업교육과 같은 비 재정적 지원이 벤처기업 성장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Aghion et al., 2012; 전미미·고강혁, 2021). 비 재정적 지원은 사업화, 시설, 공간, 보육, 인력, 인증제도 등으로 구분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증제도인 벤처기업 확인제도의 혜택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데이터 및 벤처기업의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6.0 패키지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벤처기업의 경영환경 수준은 벤처확인제도 혜택이나 벤처기업 역량 수준을 높이는 데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실질적인 경영성과로 이어지기는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벤처기업의 경영환경 수준과 경영성과 간 관계를 벤처기업 역량 수준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단순히 벤처기업의 경영환경 수준이 긍정적이거나 벤처기업에 친화적일지라도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지원을 잘 소화할 수 있는 내부 역량이 있는 기업이 경영성과를 높인다고 할 수 있다.

  • PDF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활동과 연구개발 역량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and R&D Capabilities of SM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노성여;서종석;옥영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00-10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business strategy plan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research investigated in the level of human resource activity, such as recruitment, education, evaluation, compensation and development for the employees and executives who are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ere located in Busan and Gyongnam province. With this, the research carried out actual proof analysis on the level of human resource activity effects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lik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acquired from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201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irs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hould carry out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and improve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city to enhance organization effectiveness. Second,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the member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management should concentrate on recruitment activity and reward maintenance management activity and come up with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ability and external network ability. Third,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recruitment activity, training activity, and reward maintenance management activity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 management should come up with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ability and external network ability. In this research, the objective was only to find out antecedents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but considering that causality might arise among the antecedents, in the studies hereafter, the verification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ous factors will be needed.

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Notes on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for Resilient Response to Disaster)

  • 신상민;박희경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20
    • /
    • 2015
  • 우리나라는 현재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나 구축과정에서의 시행착오와 재난관리의 미비점들로 인해 여전히 국내 재난안전관리에 대한 우려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재난 및 안전관리에 있어서 함께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레질리언스 개념을 고려하여 현재의 국가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성 및 레질리언스를 제고하기 위한 원칙들, 즉 다양성과 가외성, 상호연결성, 완속 변수/요소 제어, 시스템적 접근, 학습 및 피드백, 적극적 참여 등을 바탕으로 국내 통합 재난안전관리의 개선방향을 검토 및 논의하였다. 이는 국가 통합재난안전관리 역량 및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과 레질리언스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 및 정책, R&D를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직무역량 규명;학습지 기업을 대상으로 (Identification of Job Competenci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The Case of a Company which Provides a Preschool Education Program)

  • 김진모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8권2호
    • /
    • pp.159-177
    • /
    • 2001
  •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what kind of competencies are the source of the competitiveness of an enterprise and the standard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ts specific objectives are the following; First, to develop methods for examining competencies to carry out one’s job. Second, to draw out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carrying out the jobs by jobs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methods. Third, to clarify the competencies commonly needed to carry out all kinds of jobs. This study collected materials for drawing out the competencies needed to perform 21 jobs in six job groups. This was done with the help of a panel of professionals. The process for drawing out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perform certain job was designed in six steps. These steps combine classical methods using particular reference groups as well as model methods for particular job competencies. The materials for the R&D job were gathered for three months starting from February 2001. Materials from 20 other jobs were also collected three times from the end of May to the end of October 2001. This was done through workshops with professional groups. The highligh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applying the methods developed for drawing out job competencies to the duties of investigation & research part in R&D job were presented as an example. 2) The job competencies of the company totaled 215 in 21 jobs irrespective of overlapping, which means each job has about 10 competencies on the average. 3) The common job competencies of the whole company totaled eight. namely: competency for collecting information/processing/analyzing, communication competency, presentation competency, competency for utilizing the web, competency for planning projects, competency for solving problems, competency for understanding organization/business/products of the company, and competency for satisfying customers.

  • PDF

전략기술정보 '레포지터리'로서 기술트리(Tech. Tree)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기술로드맵(TRM)과의 전략적 통합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Technology Tree as a Strategic Technology Information Repository - Focused on the Tech-Tree and TRM Integration -)

  • 이원일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3호
    • /
    • pp.205-220
    • /
    • 2008
  • 본 연구는 연구개발 조직에서 '전략기술정보 레포지터리'로서 기술트리(Technology Tree)의 도입을 추진한 후 기술트리의 전략적 활용(utilization)을 위해서 기술로드맵과 통합추진 과정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두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기술트리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연구개발 과정에 기술트리를 전략적으로 기술로드맵과 연계 활용하게 되는 주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술트리의 전략적 활용을 위해서는 기술로드맵과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한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기술트리 활용을 위한 제반요인을 기술정보역량 측면에서 고찰한 본 연구는 기술트리 추진 후에 이를 실제로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연구개발 조직에게 큰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HP와 BMC를 활용한 중소기업의 핵심 지식서비스 평가 및 비즈니스 모델 제안 (Evaluating and Suggesting Business Models for the Knowledge-intensive Services Using AHP and BMC)

  • 박선영;금영정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3호
    • /
    • pp.53-79
    • /
    • 2016
  • 기술이 발달하고 기업환경이 급변하면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있어 지식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지식서비스의 형태로 중소기업에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경우 창업지원, 연구개발 기획, 연구개발 수행, 기타 지원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중소기업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업 활동의 다양한 활동을 광범위하게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서비스의 제공 현황과 범위는 지식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핵심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는 유사한 성향을 보이며, 이는 각 지원기관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가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서비스 제공 기관이 기관 특성 및 역량에 맞는 효과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핵심 지식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소기업 정책 및 지원사업을 제공하고 있는 KISTI 중소기업지식본부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에 제공되어야 할 가장 적합한 지식서비스를 탐색하고, 핵심 지식서비스를 도출하며, 도출된 핵심 지식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