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 Outcome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 배수현;박정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3-214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439 nursing student and recruited from 3-year or 4-year nursing students, scheduled to graduate from university.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was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19.0. Results: The achievement of nursing program outcome was 3.28. and the important of that was 4.38. The achievement of nursing program outcome on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of 4-year nursing students were higher than 3-year nursing students. Achievement of program outco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curriculum, club activity and voluntary activit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utcome-based nursing curriculum is need to consider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level of program outcome for nursing students.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적용방안 기초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for Program Outcome Assessment in Nursing Education)

  • 남성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21-3130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교육 인증평가의 핵심인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에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행되었다. 선행연구과 미국대학 평가 사무국의 자료를 통해 CEA의 개념, 장 단점, 단계, 적용 시 주의사항 등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계에 적합한 CEA모형과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CEA 과정은 프로그램학습성과 설정, 학습성과의 가중치 산정, 교육과정에 연계, 루브릭 개발, 평가, 결과 및 성과달성도 분석, 교육과정개선을 위한 피드백으로 구성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단점과 주의사항을 보완하여 시행 지침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평가 체계를 구축한다면 학생의 성장과 성취에 대한 일관성 있는 평가와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선으로 간호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utcome evaluation method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보급보조사업의 평가결과 및 시사점 (Evaluation of renewable energy deployment program using outcome evaluation method and its implication)

  • 문창권;허은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0-300
    • /
    • 2009
  • Outcome Evaluation은 미국의 DOE(Department Of Energy)산하 EERE(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에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General Program Evaluation Guide에서 언급된 5가지 평가방법 중 하나로 프로그램의 결과를 측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일정한 기간이 지난 뒤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결과를 추산하여 그 기간 동안 프로그램이 의도했던 목적을 위해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Outcome Evaluation을 이용하여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현재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은 크게 보급지원제도와 기반조성사업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급지원제도에 중점을 두어 평가를 진행하였다. General Program Evaluation Guide에 따르면 Outcome Evaluation의 방법론은 engineering estimation에서 survival analysi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Tabulation과 Correlation을 주로 활용하였다. 먼저 평가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과 시기를 정하고 평가지표를 산정한 뒤 위와 같은 방법론을 활용해 평가를 진행했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상관관계분석, 설비투입액 비교 및 효율성 지표를 통한 신재생에너지보급사업의 정량적 성과분석 고찰 (Outcome Analysis on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Effectiveness Indicator)

  • 이동건;문창권;허은녕
    • 신재생에너지
    • /
    • 제6권2호
    • /
    • pp.33-39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basis for the evaluation on the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in Korea applying the outcome evaluation, one of the five types of evaluation methods of EERE, DOE, and the effectiveness indicator, which is suggested by IEA, OECD. The outcome evaluation quantifies achievements of program outputs and outcomes against planned time frame. We analyz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umulative expenditure on the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and each renewable energy deployment and the unit installation cost of several dissemination programs for the outcome evaluation. Meanwhile, the effectiveness indicator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dditional renewable energy deployment achieved in a given year by the remaining mid-term realizable potential to 2020 in each source of renewable energy. The results show tha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umulative expenditure and each renewable energy deployment are significantly positive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each deployment program. And photovoltaic energy, bio energy, and wind power energy show high effectiveness indicator.

자활사업 참여자의 특성과 자활성과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pport Program and the Self-Support Outcome)

  • 박정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163-184
    • /
    • 2010
  • 자활사업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도입된 이래로 우리나라 빈곤정책의 주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과 같이 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는 속성을 지닌다. 자활성과와 관련한 수급자의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주요 대상 집단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자활사업의 효과적인 제공도 가능하다. 이 연구는 GLM분석을 통해 자활사업 참여자의 특성이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력, 자활사업유형, 지역, 소득, 연령, 보호아동유무, 성별 변인이 정서적 자활성과와 경제적 자활성과에 대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자활성과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자활사업의 프로그램을 참여자의 특성에 맞게 세분화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공학교육인증에서 교과목 학습성과와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관계 - 실질적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지향하며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Assessment and Program Objective Evalu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Toward a Practical Evaluation of Program Objectives)

  • 박윤국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87-92
    • /
    • 2010
  • 공학인증의 여러 인증 요건들 중의 하나인 프로그램 학습성과에 대한 평가와 분석등은 평가도구 개발이라는 관점에서만 보더라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본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제에서 제시한 절차대로 졸업시험, 에세이, 종합설계, 그리고 공인 영어점수를 평가도구로 활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결과와 교과목 학습성과를 이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4가지 평가도구를 활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는 2010년 심화과정 졸업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교과목 학습성과를 이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는 2009년 1학기와 2학기에 개설하여 운영한 교과목을 이용하였다. 두가지 평가결과 모든 학습성과 평가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교과목 학습성과를 이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도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ing an Outcome-Based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Program

  • Alfares, Hesham K.;Al-Turki, Umar M.;Duffuaa, Saleh O.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9권1호
    • /
    • pp.60-68
    • /
    • 2010
  • In this paper, a systematic methodology is proposed for developing an outcome-based undergraduate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Program at the Systems Engineering Department of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 Minerals (KFUPM) in Saudi Arabia. This program is an upgrade of the Industrial Engineering and Operations Research (IE/OR) option, which has been in existence since 1984 and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since then. The methodology and process used is motivated by th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ABET) 2000 criteria and has been employed to develop the program's objectives and outcomes. Subsequently, a curriculum is designed that is expected to deliver the objectives and outcomes. The paper presents the methodology, objectives, outcomes and the developed curriculum of the outcome-based program.

지역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 대관령면 지역을 중심으로 - (Effectiveness Evaluation of Community Empowerment Program - Focusing on Daegwallyeong-Meyeon -)

  • 김기성;정미경
    • 농촌계획
    • /
    • 제26권2호
    • /
    • pp.71-82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monitoring and outcome evaluation of three newly-established programs in 'Community Empowerment program in 2019' in Daegwallyeong-mye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program and its effect on participants by performing two evaluation methods in parallel on the target progra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cceptance of feedback depending on the instructor who is charging each program. Second, there were two categorized results such as the depth and direction which is changed by the number of monitoring, or similar content being repeated. Third, there was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monitoring evaluation and outcome evalu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highly likely to lead to more systematic and meaningful results if the community empowerment program is monitored as a process evaluation and outcome evaluation.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 (Achievement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 이외선;임정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G군과 C시 간호대학생 4학년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11월 28일부터 12월 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로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는 5점 만점에 4.30점으로 나타났고, 법/윤리 이해 학습성과가 4.61점으로 가장 높고, 국제적 인지 학습성과가 3.8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과와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성과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졸업학년의 국제적 인지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목 및 교과외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정부지원이 중소기업 글로벌 R&D 협력 성과와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tional Aid Programs to Small Business in Global R&D Cooperation Outcome and Global Business Abilities)

  • 이한웅;백동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77-18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observe effects of global R&D cooperation outcomes and global business abilities of small businesses by a national aid program. This study selected a program, Industry Technical Global Cooperation Project launched from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KIAT). Also, small businesses CEOs' roll and efficiency are very important to increase outcomes and improve abilities of their companies. In this study, CEO's global level or ability is regarded of small businesses' global level. Then, this study shows positive effects between a national aid program and global R&D cooperation outcome and between global R&D cooperation outcome and global business 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