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ionalism research

검색결과 565건 처리시간 0.032초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및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mage Making Programs on Image Making Efficacy, Positive Thinking,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문인오;이경완;정석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2-13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Image Making Programs on image making efficacy, positive thinking,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24 nursing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and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n=62) or the comparison group (n=62). The treatment was the Image Making Program, which was held twice over 2 days for 120 minutes per s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2,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Kolmogorov-Smironov test, ${\chi}^2$-test,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one-tailed Mann-Whitney U test, independent one-tailed t-test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Nursing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mage making efficacy, positive think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age Making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ncreasing image making efficacy, positive think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Howeve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s are needed in this area.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공만족도, 치위생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dental hygiene professionalism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 한지형;김민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87-39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understand about the satisfaction with major and the dental hygiene professionalism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grasp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264 juniors and seniors who are attending dental hygiene department across Korea (three locations in Gyeonggi province, one locations in Daejeon, four locations in Jeolla province, and one locations in Daegu).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questionnaire between March 6 to April 7, 2023. The chosen data analysis metho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following average scores were obtained from those surveyed: 3.25 points concern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3.83 points concerning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3.45 points concerning dental hygiene professionalism. As for a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terms of gender, motivation for entering the field, and first desired employment. Asp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atisfaction with one's major, and dental hygiene professionalism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were confirmed to explain the prediction of 29.1% of the variation in the regression model. Conclusions: For the sake of having an integrated understanding ab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peated research on diverse variables and to inquire into a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uch variables.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간호전문직관 및 취업전략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strategies in Nursing students)

  • 한영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44-152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간호전문직관 및 취업전략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11월 1일부터 11월 28일까지 B시와 G시 소재 4년 간호대학생 107명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평균값은 핵심역량은 3.57점, 간호전문직관 4.22점, 취업전략 3.69점이었다. 핵심역량과 간호전문직관(r=.401, p<.001), 핵심역량과 취업전략(r=.559, p<.001), 간호전문직관과 취업전략(r=.465, p<.001)는 양의(+) 상관관계이었다.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핵심역량(${\beta}=.43$, p<.001)와 간호전문직관(${\beta}=.28$, p=.001), 학교성적(${\beta}=-.19$, p=.011)이었으며 취업전략의 약 42%를 설명하였다(F=24,82, p<.001).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은 간호전문직관과 취업전략과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간호전문직관과 취업전략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복연구, 프로그램개발과 교육과정개선이 필요하다.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The Meaning and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이은실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83-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성장하는지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필요한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 기술과 행동, 가치를 포함하며, 교사의 생애주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70여 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는 교사의 관심사, 각 전문성 요소의 중요도와 보유 정도, 전문성 개발 노력과 도움 정도를 질문하였다. 심층 면담은 7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 교사 자질과 역량, 전문성 성장을 위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교과를 재구성하는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 관계, 소명의식을 전문성으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성 성장에는 소명에 반응하고자 하는 교사의 결단,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사공동체,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교육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을 위해서 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과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성장의 접근을 제안하였고,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과 관계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둘 것을 강조하였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 강원미;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5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판매원의 유니폼과 체형에 따른 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mages of saleswome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by uniform and body type)

  • 유은성;박길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2호
    • /
    • pp.166-17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mages of saleswomen by uniform and body type and to determine if the images have a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10th and February 23rd 2015, using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from 608 adults from Seoul, Deajeon, and Chungnam Province. A $2{\times}2$ (body $type{\times}clothes$) factorial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requenc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Tukey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mages of saleswomen with different uniform and body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factors: professionalism, kindness and attractiveness. Second, the saleswomen's uniforms had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attractiveness, with women who wore skirt suits being identified as more attractive than women with pant suits. The saleswomen's body types had significant effect on professionalism, kindness and attractiveness. Women with average body types were perceived positively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attractiveness, whilst women with large body types were perceived positively in terms of kindness. Third, the combination of uniform and body typ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professionalism. Women with average body types wearing pant suits were perceived to have high degree of professionalism and women with large body types wearing skirt suits were evaluated to have high professionalism. Fourth, the images described as attractive and kind for both uniform and body type had a positive influenc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간호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념분석 (Professionalism of the Nurse: A Concept Analysis)

  • 이경미;김수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94-107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이 구체적 속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에 따라 간호사의 전문성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전문성의 속성은 고도의 간호지식 탁월한 간호기술, 인간 중심 간호 수행, 윤리성, 책임감, 동료 간 협력, 자율성, 탁월한 상황판단 및 문제해결력으로 파악되었다. 선행요인으로는 충분한 기간에 걸친 간호교육과 경험, 연구 활동, 개인적 자질, 자기주도적 훈련이었으며, 간호사의 전문성의 결과는 전문직 정체성 향상, 이직의도 감소, 간호만족도 향상, 건강회복과 안녕의 증진, 간호의 질 향상, 병원의 평판과 수익 증대, 사회적 인정 획득, 간호전문직 발전, 국가 건강 재정적 이익 확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성 개념의 속성을 밝혀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요구에 따른 전문직 간호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작업으로서, 양질의 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사의 전문성 수립의 토대를 마련함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신입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감사성향,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pathy Ability, Gratitude Disposition, Self-Esteem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ew Nursing Students)

  • 이주영;이도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1-360
    • /
    • 2021
  • 본 연구는 신입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감사성향,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위치한 신입 간호대학생 225 명이다.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4.0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신입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사성향(��=.32, p<.001), 공감능력(��=.32, p<.001)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변인들은 신입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총 34.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감사성향이 포함된 간호전문직관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기여되길 기대한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45-452
    • /
    • 2021
  • 본 연구는 그동안 분석되지 않은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충남과 대전 지역의 14개 장애인복지관의 종사자 3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두 변수 간의 영향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애인지역사회 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과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이후에는 장애인지역 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코로나19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의사소통 능력 및 간호근무환경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Dedicated COVID-19 Hospital Nurse on Person-Centered Care)

  • 정태명;김경아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5-17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o identify nurs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working environment factors of dedicated COVID-19 hospital nurses and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person-centered care. Methods: Participants were 211 nurses working in one tertiary hospital, two general hospitals, and one dedicated COVID-19 hospital in a metropolitan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software. Results: Person-centered c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57, p<.001), communication competence (r=.56,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60, p<.001). As a result, communication competence (𝛽=0.33, p<.001), hospital type (𝛽=0.25, p<.001), nursing professionalism (𝛽=0.23, p=.002), nursing work environment (𝛽=0.18, p=.006) and clinical career (𝛽=-0.11, p=.045) in that order.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30.467, p<.001) and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49.6%.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and hospital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nurses to participate in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to improve person-centered care. This may enable them to enhance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