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analysis

검색결과 16,153건 처리시간 0.044초

종횡비교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의 문제해결에 대한 검토 (Study on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207-23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에서 문제해결이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 방법 등으로 강조된 지 사반세기가 지나온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문제해결 교육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교육에서 문제 및 문제해결의 의미에 대해 재검토하고 우리나라 역대 교육과정 속에 포함된 문제해결 관련 내용의 변화를 통한 종적 비교 분석 및 국가 차원의 교육 과정이 마련된 싱가포르, 영국, 일본, 프랑스의 교육과정에 대한 횡적 비교 분석을 통해 열 개의 체를 도출함으로써 그 체를 이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문제해결은 매우 적극적 의미로 다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로의 문제해결 교육과 관련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Concept Map을 통한 수학 문제의 구조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f Mathematical Problem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37-57
    • /
    • 2018
  • 수학교육에서 Concept Map(개념그림)을 활용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Concept Map이라는 그림 안에 수학적 아이디어를 어떻게 표상할 수 있느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Concept Map이 문제해결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Concept Map은 학생들 사이의 협력적 문제해결의 도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한 도구, 문제의 구조를 소개하기 위한 도구, 지식의 체계를 개발하고 체계화하는 도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ncept Map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Concept Map을 활용한 수학 문제의 구조 분석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수학 문제 구조 분석을 위한 Concept Map의 활용 방법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자료를 적용하여 실제 수학 문제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그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수학 문제 구조의 파악,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일관성 있는 문제의 개발, 수학 문제의 난이도 분석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환경교육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문제해결전략 분석 (Analysi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 최윤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47-1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문제해결전략의 구성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환경교육 과정에서 발생한 교사의 발화를 수집하여, 범주를 개발하고 자료를 코딩하여 하위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는 정보제공하기가 가장 중심에 위치하여 통합하기와 함께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문제해결전략에서는 제안이 가장 중심에 위치하여 확산적 사고와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제안이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정보제공하기, 확산적 사고 등이 강한 연결성을 보였다. 이외에 제안과 의사결정이 문제관심을 매개로 평가와 연결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환경교육에 있어 교사가 유아의 문제해결과정을 지원하여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유아의 반응에 맥락적으로 반응하고 이해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강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Neural Network-based Decision Class Analysis with Incomplete Information

  • Kim, Jae-Kyeong;Lee, Jae-Kwang;Park, Kyung-Sam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281-287
    • /
    • 1999
  • Decision class analysis (DCA) is viewed as a classification problem where a set of input data (situation-specific knowledge) and output data (a topological leveled influence diagram (ID)) is given. Situation-specific knowledge is usually given from a decision maker (DM) with the help of domain expert(s). But it is not easy for the DM to know the situation-specific knowledge of decision problem exactly.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fur sensitivity analysis of DCA under incomplete information. The purpose of sensitivity analysis in DCA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complete situation-specific frames whose uncertainty affects the importance of each variable in the resulting model. For such a purpose, our suggested methodology consists of two procedures: generative procedure and adaptive procedure. An interactive procedure is also suggested based the sensitivity analysis to build a well-formed ID. These procedures are formally explained and illustrated with a raw material purchasing problem.

  • PDF

Color Discerning Device의 구조해석을 통한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Analysis of Color Discerning Device for the Performance Enhance)

  • 김성현;이규호;정진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71-576
    • /
    • 2006
  • A Color Discerning Device(CDD) is the equipment to use in Rice Processing Complex(RPC). By use a high-speed charge-coupled device camera, CDD can sorting discolored grain according to light and shade. The existing CDD's driving performance is not so good as overseas machine. Besides, transportation process causes a defect in the mechanism from impact or harmonic excitation or etc. This study is represented the problem of CDD through modal analysis and static analysis by using ANSYS workbench. To analysis the problem of driving condition, devide each part of CDD for performed modal analysis. The problem of driving condition and transportation process solved by carry out modal analysis and static analysis.

  • PDF

Neural Network-based Decision Class Analysis with Incomplete Information

  • 김재경;이재광;박경삼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281-287
    • /
    • 1999
  • Decision class analysis (DCA) is viewed as a classification problem where a set of input data (situation-specific knowledge) and output data(a topological leveled influence diagram (ID)) is given. Situation-specific knowledge is usually given from a decision maker (DM) with the help of domain expert(s). But it is not easy for the DM to know the situation-specific knowledge of decision problem exactly.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for sensitivity analysis of DCA under incomplete information. The purpose of sensitivity analysis in DCA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complete situation-specific frames whose uncertainty affects the importance of each variable in the resulting model. For such a purpose, our suggested methodology consists of two procedures: generative procedure and adaptive procedure. An interactive procedure is also suggested based the sensitivity analysis to build a well-formed ID. These procedures are formally explained and illustrated with a raw material purchasing problem.

  • PDF

동종골수이식 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An Methodology Research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Survivors)

  • 이순교
    • 종양간호연구
    • /
    • 제1권1호
    • /
    • pp.18-31
    • /
    • 2001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an instrument that can be used for measuring and analysing the degree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survivo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them attain a better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01 people who were undergone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were over 100 days after transplantation.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3 to December 2. 2000. In Developing this instrument, the researcher estab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interview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and researcher's experience. The scale for this instrument consisted of 51 items.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the respondents through a self reporting method and each item had a possible score of 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For the examination of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factor analysis method was used.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s related to demographic variables was done using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For the examination of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Pearson's Correlation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0.90 (Cronbach's alpha) (2)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tested by factor analysi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51 items is making up the instrum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actor; emotional state, Interpersonal problem, physical problem, spiritual state, social problem, decrease of physical energy, physical problem-eye, physical problem-skin and mucosa, health awareness, elimination problem, worry about health, financial problem, sexual problem. (3) Demographic variable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s the time after transplantation. GVHD experience, lose of job. Age at the transplantation, diagnosis, type of the transplantation,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sex, religion are not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 PDF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Strategies (PBL) on Problem Solving Skill: A Meta-Analysis.)

  • 박일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97-205
    • /
    • 2019
  •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고, 이와 관련된 조절변인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1998년부터 2017년까지 발행된 석사학위 논문과 국내 학술지 논문 41편을 분석하고, 41개의 개별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753이었으며, 이것은 PBL이 문제해결능력에 유의미한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은 교과, 유형, 학교급이었다. PBL의 문제해결능력 효과는 수학(d=.922), 예술(d=.916), 실과(d=.827), E-PBL(d=.791), 중학교(d=.972)에서 더 높았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하여, PBL 학습 환경을 유의미하게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 PBL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습 환경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고차원적인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의미 분석을 강조한 문제설정 모형 설계하기 (Designing a Model of Problem Posing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eaning)

  • 전영배;노은환;김대의;강정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83-407
    • /
    • 2013
  • 학교수학에서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교수를 전달받는 상황에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입장이 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문제설정이 주목받게 되면서,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특히 Brown & Walter는 문제설정의 한 방법으로 What If Not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전략에서는 문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속성의 변형은 불가피하게 이루어지며, 문제설정 후 그 문제의 풀이를 함으로써 문제설정 과정을 마무리 짓는다. 그런데 속성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려 없이 속성의 변형을 하게 되면 문제를 잘못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올바른 문제설정을 위해서는 속성들 간의 유기적 결합을 이끄는 관련성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문제설정에 관한 다수의 연구는 이에 대하여 주목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미 분석이라는 활동을 추가하여 문제 속에 내재된 지식을 인식하여 올바른 문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문제설정 모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의미 분석을 강조한 문제설정 모형을 하나의 예를 통해 구체화하여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모형의 의의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문제설정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고, 능동적 학습자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수학적 문제해결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eachers′ Role in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전평국;정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7권1호
    • /
    • pp.1-1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eachers' role actions in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the teachers'role actions on their students' activities and beliefs about problem solving.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eachers' role actions brought qualitative differences to students' activities, and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ere consistent with the perspective held by their teachers. Therefore,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build up desirable beliefs about problem solving. They should understand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lay proper roles in various situations of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