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Concern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35초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An Exploratory Study of Privacy Issues and Concerns in the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 방영석;이동주;안재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91-111
    • /
    • 2009
  • 기업의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은 소비자에게 개인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반면에, 소비자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를 유발시키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TPS(Triple Play Service) 혹은 QPS(Quadruple Play Service) 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컨버전스 상품의 출시로 인해 개인 정보가 통합되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 부각되는 프라이버시 침해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이 프라이버시의 구성 요소들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가 집중화 될수록 정보 프라이버시 및 관찰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는 급격하게 높아진다. 둘째, 개인화 서비스의 정확성 향상은 정보 프라이버시와 관찰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증가시키는 반면, 간섭 프라이버시에 대한우려는 감소시킨다. 마지막으로, 개인화 서비스의 정확성이 높은 경우에, 쿠폰과 같은 금전적 보상은 간섭 프라이버시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환경에서 지속 사용 의도의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신뢰와 프라이버시 우려의 역할 (A Study of Antecedents of Continuance Intention i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The Role of Trust and Privacy Concerns)

  • 김병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4호
    • /
    • pp.83-100
    • /
    • 2012
  • Given the prevalence of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ch as Facebook and Kakaotalk, it has become important to understand user's continuance behavior in a mobile SNS environment. Although trust and privacy concerns play a key role in SNS users' decision-making processes, most studies on SNS have shed little light on the effects of trust and privacy concerns on SNS continuance inten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developed an integrated model to deeply understand the key antecedents of user's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mobile SNS by incorporating trust and privacy concerns into extend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70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 Kakaotalk.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 of the variance in continuance intention of mobile SN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rust serves as the salient antecedent of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mobile SNS. However, it was found that privacy concerns negatively influence trust, whereas i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ontinuance intention of mobile SN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escribed.

  • PDF

Strategic Approach to Privacy Calculus of Wearable Device User Regarding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ntinuance Intention

  • Cho, Ji Yeon;Ko, Daesun;Lee, Bong Gyo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7호
    • /
    • pp.3356-3374
    • /
    • 2018
  • The healthcare and fitness wearable-device market is considered as the driving force of the entire wearable device market. However, there are concerns with respect to information privacy because wearable devices constantly collect sensitive data such as individuals' health information. Thus,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related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considered in the privacy calculus of wearable fitness devices, and verifies differences obtained by the privacy calculus proces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xercise. The results obtained from a survey of 248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revealed that service providers should consider users' interests and exerci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mitigate their privacy concerns and encourage continuous use of wearable devices.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sights pertaining to users of wearable fitness devices, and target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Trust in SNS

  • Kim, Yujin;Lee, Hyung-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223-233
    • /
    • 2022
  • 본 연구는 SNS에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 그리고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정교화 모델을 바탕으로 정보품질, 프라이버시 정책, 지각된 SNS 앱 명성, 낙관주의를 추출하였으며,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전이 이론을 적용하여 SNS 사용자들에 대한 신뢰와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보품질과 프라이버시 정책, 낙관주의는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SNS앱 명성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SNS 사용자들에 대한 신뢰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전이 이론에 따라 SNS 사용자들에 대한 신뢰가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로 전이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기업들이 고객의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과 신뢰에 대한 이해와 서비스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A Moderating Effect of Use of Interaction Privacy Contro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Self-disclosure

  • Kim, Gim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35-241
    • /
    • 2020
  • 그 동안 프라이버시 역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상반된 결과들을 보고하였다. 일부 연구들은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노출 사이의 관련성을 발견한 반면, 다른 연구들은 그렇지 못했다. 본 연구는 SNS 환경에서 이러한 관련성에 영향을 미칠 잠재력이 있는 상황변수로 상호작용 프라이버시 컨트롤(주로 프렌드 리스트와 프라이버시 셋팅)의 역할을 검토한다. 이러한 이유는 사용자들이 상호작용 프라이버시 컨트롤을 사용하여 자신의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에 이것의 사용정도에 따라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노출 사이의 관계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베이 방법을 활용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상호작용 프라이버시 컨트롤 사용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상호작용 프라이버시 컨트롤 사용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상호작용 프라이버시 컨트롤의 사용은 SNS를 대상으로 프라이버시 역설 현상을 검토하는 연구에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상황변수라고 할 수 있다.

택배 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이 심리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태도이론 측면 (Understanding Privacy Infringement Experiences in Courier Services and its Influence on User Psychology and Protective Action From Attitude Theory Perspective)

  • 임세헌;김단종;유현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99-120
    • /
    • 2023
  • 본 연구는 택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이 프라이버시 심리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택배 이용자가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프라이버시 침해 사건에 대해 학습이 이루어지고, 인지가 형성되고, 감정이 형성되고, 행동이 나타난다. 이러한 택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심리의 변화 과정은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 반응을 예측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도이론을 응용해 택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심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에 기반해,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 프라이버시 염려 (즉, 개인정보 오류에 따른 염려, 비인가된 이차 이용에 따른 염려, 개인정보 수집에 따른 염려, 부적절한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염려),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연구모델에 대해 택배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MART-PLS 구조방정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택배 이용과정에서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 프라이버시 위험, 프라이버시 염려, 그리고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안전한 택배 서비스를 위한 프리이버시 보호 행동 연구에 유용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고, 더불어 보다 안전한 택배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IoT 기반 스마트 홈카메라 이용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에 관한 연구: 사용경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vacy Paradox in the IoT-based Smart Home Camera Usage Environment: Focusing on a Comparative Study of User Experience)

  • 루진단;권순동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6호
    • /
    • pp.145-161
    • /
    • 2021
  • Recently, as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devices such as Io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earable devices that focus on the individual have spread, privacy violation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 privacy paradox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o enjoy services while worrying is getting stronger. However, there are still preliminary studies on this. In this study, an intelligent home camera based on IoT technology was selected as a research object, and whether privacy paradox exists in the IoT environment, including smart home camera, was studied. To this end,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 benefit factor of smart home camera use, and privacy concern, a risk factor, on intention to use was verified.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use diff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 experie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eople with and without experience in using smart home cameras, and a total of 298 data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proving that privacy paradox exists in the IoT-based smart home camera environment.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fact that privacy concerns have different effects on usage intentions depending on the user experience, it was verified that those with experience have a strong privacy paradox and those without experience have a weak privacy paradox.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strategic implications to improve service and business performance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attitudes and behaviors of IoT service providers, including smart home cameras.

Online Users' Cynical Attitudes towards Privacy Protection: Examining Privacy Cynicism

  • Hanbyul Choi;Yoonhyuk J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3호
    • /
    • pp.547-567
    • /
    • 2020
  • As the complexity of managing online personal information is increasing and data breach incidents frequently occur, online users feel a loss of control over their privacy. Such a situation leads to their cynical attitudes towards privacy protection, called privacy cynicis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of privacy cynicism in online users' privacy behaviors. Data were gathered from a survey that 281 people participated in and were analyzed with covariance-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privacy cynicism has not only a direct influence on disclosure intention but also moderates an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the intention. The analytical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is a nonlinear effect of privacy cynicism on the outcome variable. This study developed the concept of privacy cynicism—a phenomenon that significantly affects online privacy behavior but has been rarely examined. The study is an initial research into the nature and implications of privacy cynicism and furthermore clarified its role by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ynicism and the willingness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사회적 배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통제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privacy concern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Focused on perceived sense of control)

  • 전수지;정혜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151-16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증가시키고,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지각된 통제감으로 인해 사회적 배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지각된 통제감이 사회적 배제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기존의 프라이버시 관련 연구 분야에서 개인의 심리적 요인도 영향 변수로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Privacy Concerns of Smart Speaker Users in South Korea: A Text-mining Analysis

  • Hong Joo Lee;Guglielmo Maccario;Maurizio Nald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4호
    • /
    • pp.999-1015
    • /
    • 2023
  • Smart speakers represent a growing product in home electronics. However, their capability to record voices in their immediate surroundings has spurred concerns about privacy violations. In this paper, we assess the extent of those concerns in the opinions of smart speaker users by examining the reviews posted by smart speaker users. We focus on South Korea as a representative of advanced Asian economie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smart speaker users are either unconcerned or unaware of privacy issues, confirm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bout UK users, but with an even lower degree of interest in the topic. However, for the few users concerned about privacy, their attitude towards privacy influences their overall opinion about smart spea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