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Concern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1초

페이스북에서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 연구 : 듀얼팩터이론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Privacy Paradox in Facebook Based on Dual Factor Theory)

  • 유재호;이애리;김경규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1호
    • /
    • pp.17-47
    • /
    • 2016
  • People use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o share information, to express themselves, and to strengthen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Meanwhile,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infringement become a social issue and thu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bout inappropriat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crease in SNSs (e.g., Facebook). Although people have privacy concerns in SNSs, they behave in a contradictory way, voluntarily presenting themselves and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This phenomenon is called 'privacy paradox'. Using dual factor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enomenon of privacy paradox by looking into enablers (e.g., self-presentation) and inhibitors (e.g., information privacy concern) for continuous use of Facebook that can co-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also includes antecedents of self-presentation (i.e., narcissism, need for affiliation, involvement, and self-efficacy) and those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e., previous experience of privacy infringement, privacy awareness, and privacy control). The results show that most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supported. These findings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SNS providers who want to promote continuous use of SN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which enhanced privacy policies are required,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on information privacy issues in SNSs.

  • PDF

온라인 쇼핑에서 프라이버시 염려의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rivacy Concern on the Online-Shopping)

  • 민병권;김이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25-37
    • /
    • 2006
  •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에서 최근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고객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염려와 관련하여 온라인 쇼핑몰 업체들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다.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염려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로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직접마케팅 태도, 정보통제 욕구, 정보노출에 대한 부정적 결과예측을 도출하였으며, 결과변수로는 기업명성과 구매경험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쇼핑에서 직접마케팅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프라이버시 염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보통제 욕구 및 정보노출에 대한 부정적 결과예측은 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업명성과 구매경험이 프라이버시 염려의 중요한 결과변수인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특히 프라이버시 염려는 기업명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 업체가 고객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접마케팅에 대한 태도 등 원인변수에 대한 관리와 더불어 결과변수인 기업명성에 대한 관리가 고객의 반복적 구매경험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으로 인한 개인정보 무관심 형태에 대한 연구 (Indifference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Social Media Users due to Privacy Paradox)

  • 김연종;박상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3-225
    • /
    • 2019
  • Privacy paradox is a paradoxical behavior that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even though you are concerned about privacy. Social media users are also often concerned about their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t is even reluctant to describe personal information in profile. However, some users describe their personal information in detail on their profile, provide it freely when others request it, or post their own personal inform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oogle Docs centered on Facebook user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As an independent variable, we use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experiences. As a mediator, we use privacy indifference, privacy concer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act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Social media users have become increasingly aware of the fact that they can not distinguish between the real world and online world by strengthening their image and enhancing their image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ies, sharing lots of information and enjoying themselves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Therefore, despite the high degree of privacy indifference and high degree of privacy concern, the phenomenon of privacy paradox is also present in social media.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인지가 개인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톡 이용자를 중심으로 (The Experimental Research of Protection Behavior depends on Privacy Concern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n Privacy Policy for KakaoTalk Users)

  • 이은숙;이준기;차경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5-150
    • /
    • 2016
  • 대부분의 웹 사이트에서는 법을 준수하기 위해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를 구하는 이용약관이나 개인정보 취급방침(이하 '취급방침')을 마련하고 있다. 국내 온라인 및 모바일 서비스에서 이용자로부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을 명시하고자 마련한 취급방침을 대부분의 이용자는 읽지도 않고 그냥 넘기는 등 이용자 관점에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급방침을 확인했을 때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인지 및 서비스 이용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카카오톡 이용자를 중심으로 실험하였다. 332명의 실험 참여 인원을 구성해 취급방침에 대해 기존 행동을 유지하는 그룹과 Display를 확인하여 내용을 인지하는 그룹을 구성해 개인 프라이버시 민감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개인정보보호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민감군과 무관심군으로 나누었을 때 취급방침 인지로 나타나는 보호행동을 제시하고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 실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프라이버시 염려와 제도적 신뢰가 프라이버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전자상거래와 위치기반서비스의 비교 (Impact of Privacy Concern and Institutional Trust on Privacy Decision Making: A Comparison of E-Commerce and Location-Based Service)

  • 김상희;김종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9-8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염려와 제도적 신뢰가 프라이버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기반으로 프라이버시 이익과 프라이버시 위험이 정보제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프라이버시 염려와 제도적 신뢰가 프라이버시 계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때,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분야와 위치기반서비스 분야에 대한 비교를 하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기반서비스 그룹에서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보제공행동 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다른 인과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전자상거래와 위치기반서비스 그룹에 있어 구성개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의 구성요인인 인식구성개념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 그룹이 위치기반서비스 그룹에 비해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고 제도적 신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수집되는 개인정보에 대해 더욱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cial Network Service에서의 사용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 Resistance in Social Network Service)

  • 박은경;최정일;연지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87-406
    • /
    • 2014
  • Purpose: The widespread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as caused users concern about the disclosure of their privacy or personal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privacy concern and self presentation that affect the user resistance in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s: This study verifies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user resistance in SNS. The research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tested via a survey of 260 SNS users. SPSS and Smart PLS had been used to test the suggested hypotheses.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privacy experience, privacy awareness, self esteem, and social desir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ived risk and that privacy awareness,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perceived risk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ived trust. It also verifies that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trust positively affect user resistance.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high awareness on privacy of SNS user encourages the SNS companies to consider the privacy protection mechanism for eliminating various factors that affecting the risk.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privacy calculus model applies to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n resistance of SNS user.

개인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ivacy Concern Measurement Tool in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 이기호;정영철;한경석;송태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6호
    • /
    • pp.197-208
    • /
    • 2014
  • 정보사회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는 가장 중요한 윤리적 이슈 중 하나이다. 특히 업무특성상 진료를 목적으로 민감한 개인의 의료정보를 수집, 저장 및 처리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경우 정보 유출시 개인의 사생활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 소비자 관점에서 개인의료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고객의 염려를 측정하기 위한 개인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인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측정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측정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는 국민의 개인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염려수준 및 관심 영역을 파악하여 적절한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의료기관의 경우 의료서비스 소비자가 우려하는 해당 의료기관의 개인의료정보보호 문제점 및 그 수준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대책을 도출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핀테크 사용에 대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이용자 저항에 대한 연구: 조절초점성향과의 상호작용 효과 고찰 (Fintech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User Resistance: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 Effect with Regulatory Focus)

  • 이애리;안효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09-226
    • /
    • 2016
  • 최근 금융과 IT가 결합된 핀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핀테크 서비스는 확산 초기 단계에 있으며, 사용 확산을 위한 이슈로서 정보 보안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핀테크 서비스 실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정보프라이버시 염려를 중심으로 사용 저항 정도를 분석하고, 이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사회적 영향 정도와 모바일 인터넷 활용 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조절초점성향과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의 상호작용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핀테크 서비스에 대한 저항 감소 및 사용 확산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바일 헬스 앱 사용의도 동기요인: 조절초점성향과 프라이버시계산이론을 중심으로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 Apps: Focusing on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Privacy Calculus Theory)

  • 소현정;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33-53
    • /
    • 2021
  • 모바일 앱 사용이 확대되면서 사용자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염려는 증가되고 있지만 사용자들은 앱을 사용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기꺼이 공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절초점성향과 프라이버시계산이론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앱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을 제시한다. 제시한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헬스 앱을 사용하는 전국의 성인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PLS-SEM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절초점 두 성향 중 향상초점성향은 정보프라이버시염려와 프라이버시위험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예방초점성향은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정보프라이버시염려는 모바일 앱 사용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프라이버시이익과 프라이버시지식은 모바일 앱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앱 사용의도는 모바일 앱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앱 사용자의 조절초점성향이 정보프라이버시염려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이에 따른 모바일 앱 사용의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개인정보 유출 사고 후 웹 사이트 가입 지속 및 프라이버시 무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Website Retention and Privacy Unconcern After the Disclosure of Privacy Information)

  • 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7-119
    • /
    • 2013
  • 본 연구는 왜 인터넷 사용자가 자신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무관심한지를 설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프라이버시 무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과 웹사이트 유용성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정보 유출 경험이 있는 사람의 경우 그리고 해당 웹사이트가 유용하다고 느끼게 되는 경우 프라이버시 정보에 대해 무관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개인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