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Calculus Model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온라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중계산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rivacy Decision Making on the Internet: Focus on Dual-Calculus Model)

  • 김상희;김종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3호
    • /
    • pp.197-21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cision making in relation to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with respect to the integration of the privacy calculus theory and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based on the dual-calculus model proposed by Li(2012).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privacy calculus theory and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have been applied to explain privacy behavior to a certain degree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ain privacy behavior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se two theories. Although Li(2012) proposed the dual-calculus model, he only proposed its framework and did not carry out an empirical stud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hat integrates these two theori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ories through an empirical study.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rela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except the relation between coping appraisal and privacy risk in the risk calculus process. Thus, the results verify that external threat played a decisive role in increasing the risk level of a consumer's privacy. It can be discussed the ways to enhance the privacy behavior of consumer on the internet through these findings.

스마트폰 위치기반서비스에서 정보제공의도 :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을 중심으로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in LBS : Based 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 김종기;김상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1권4호
    • /
    • pp.55-79
    • /
    • 2012
  • LBS(Location-Based Service) is one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services which has been receiving great attention recently. Various applications of smartphone use LBS to provide innovative services. However, use of LBS raises privacy concerns beca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is constantly exposed.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privacy. It is based on the risk-benefit analysis in the economics' perspective. That is, when the benefit expected through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is higher than risk, we are willing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to clarify the eff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of smartphone LBS application users. Based on the main factors of privacy calculus, perception of privacy risk and privacy benefit, the relationship of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was empirically analyzed by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rela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except the relation between privacy concern and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This study showed a strong evidence of antecedent factors based on privacy calculus of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in smartphone LBS applications.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의 경제적 행동에 관한 연구: Privacy Calculus, CPM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net User's Economic Behavior of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cused on the Privacy Calculus, CPM Theory)

  • 김진성;김종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1호
    • /
    • pp.93-12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economic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who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notwithstanding the concern about an invasion of privacy based on th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computation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management theory of communic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Dual-Process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did empirical analysis of the path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dividing Internet users into a group having experience in personal information spill and another group having no experience.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vacy Concern about forms through the Perceived Privacy Risk derived from the Disposition to value Privac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involved in personal information offering occurs due to the Perceived Benefits contradicting the Privacy Concern.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에서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의 영향 (Influence of Privacy Concerns on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Based 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 김종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265-272
    • /
    • 2017
  •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가 활발히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정보의 노출에 대한 염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에 기반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정보의 제공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확인하고자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SmartPL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의 기존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은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며, 위험과 효과 측면을 고려하여 프라이버시 정보의 제공을 결정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라이버시 염려는 위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사용의도는 효과에 의해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적 판단과 행동적 판단이 서로 상이한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행동경제학적 관점과 일치한다.

딥러닝을 이용한 온라인 리뷰 기반 다속성별 추천 모형 개발 (Developing the online reviews based recommender models for multi-attributes using deep learning)

  • 이륜경;정남호;홍태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1호
    • /
    • pp.97-11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economic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who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notwithstanding the concern about an invasion of privacy based on th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computation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management theory of communic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Dual-Process Theory.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vacy Concern about forms through the Perceived Privacy Risk derived from the Disposition to value Privac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involved in personal information offering occurs due to the Perceived Benefits contradicting the Privacy Concern.

Social Network Service에서의 사용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 Resistance in Social Network Service)

  • 박은경;최정일;연지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87-406
    • /
    • 2014
  • Purpose: The widespread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as caused users concern about the disclosure of their privacy or personal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privacy concern and self presentation that affect the user resistance in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s: This study verifies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user resistance in SNS. The research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tested via a survey of 260 SNS users. SPSS and Smart PLS had been used to test the suggested hypotheses.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privacy experience, privacy awareness, self esteem, and social desir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ived risk and that privacy awareness,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perceived risk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ived trust. It also verifies that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trust positively affect user resistance.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high awareness on privacy of SNS user encourages the SNS companies to consider the privacy protection mechanism for eliminating various factors that affecting the risk.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privacy calculus model applies to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n resistance of SNS user.

프라이버시 염려와 제도적 신뢰가 프라이버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전자상거래와 위치기반서비스의 비교 (Impact of Privacy Concern and Institutional Trust on Privacy Decision Making: A Comparison of E-Commerce and Location-Based Service)

  • 김상희;김종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9-8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염려와 제도적 신뢰가 프라이버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기반으로 프라이버시 이익과 프라이버시 위험이 정보제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프라이버시 염려와 제도적 신뢰가 프라이버시 계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때,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분야와 위치기반서비스 분야에 대한 비교를 하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기반서비스 그룹에서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보제공행동 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다른 인과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전자상거래와 위치기반서비스 그룹에 있어 구성개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의 구성요인인 인식구성개념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 그룹이 위치기반서비스 그룹에 비해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고 제도적 신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수집되는 개인정보에 대해 더욱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상의 개인 정보 제공에 있어서 정보 투명성의 역할 -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중심으로 - (Privacy Calculus and the Role of Information Transparency in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 이동주;방영석;배윤수
    • 정보화정책
    • /
    • 제17권2호
    • /
    • pp.68-85
    • /
    • 2010
  •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에 근거하여 정보 투명성이 개인 정보 제공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안된 연구 모형은 개인 정보 제공을 통한 웹사이트 이용의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을 정보 제공의 혜택 요인으로,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을 정보 제공의 위험 요인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정보 투명성이 이들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가상의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 모형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정보 투명성이 웹사이트 이용의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정보 제공에 따른 프라이버시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개인 정보 제공 의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개인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에 요청 이유와 용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정보 투명성을 높일 수 있음도 제시한다.

  • PDF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ivacy Influencing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in Closed-Type SNS: Focusing on BAND Users)

  • 임병하;강동원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91-214
    • /
    • 2014
  • 최근 모바일 환경의 발전으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어짐으로서, SNS에서 실시간으로 서로간의 의사소통과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SNS는 빠르게 대중화가 이루어졌고 오늘날엔 SNS의 영역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경제적, 사회적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기업들은 SNS를 통해 마케팅 전략을 세우거나 소셜커머스로 사용자들과 전자상거래를 하게 되었고, 개인들은 다른 사용자와 특정 이슈에 대해 견해를 교류하거나 정보를 공유하여 오프라인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SNS의 빠른 대중화와 더불어 SNS를 통한 이득을 보기 위해 사용자들은 개인정보를 SNS와 기업에게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정보 프라이버시의 침해 우려는 사용자들이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큰 방해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실제로 이를 시스템적으로 최대한 보호해주는 폐쇄형 SNS가 최근 등장함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폐쇄형 SNS에 몰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Privacy Calculus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SNS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는 이득을 시스템적인 보안과 개인의 심리적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으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된 이득을 위해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는 의도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대표적인 요인들로 알려진 신뢰, 만족, 혜택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지 살펴보는 연구 모형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밴드의 경우에 보안과 프라이버시 염려 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심리적 프라이버시의 경우엔 영향을 미쳤고, 신뢰 역시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사용자의 만족은 여전히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를 완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인 프라이버시가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으로 보아, 기업들은 SNS를 설계할 때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개인의 심리적인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폐쇄형 SNS를 서비스하는 기업들에게 SNS의 어떤 면을 강조해서 서비스해야 하는 지그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사용자가 인지하는 이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또 이것을 어떤 요인으로 조절할 수 있는 지를 밝혔다는 데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Investigating the Role of Interaction Privacy Management Behavior on Facebook

  • Gimu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81-189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하였던 상호작용 프라이버시 관리행위(IPC 사용)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모델의 주요 변수들과 상호작용 프라이버시 관리행위 사이의 관련성을 이론화한 통합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IPC 사용은 위험을 낮추고, 혜택을 높이며, 결과적으로 자기노출의 증가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들의 자기노출이 계산모델에서 제안하는 제한적 노출뿐만 아니라 IPC 사용을 통한 비제한적 노출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계산모델의 이론적 논리를 확장시키는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