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5초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 관련변인 간의 관계 규명 (An Investigation of the Predictability of Variables Related to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 정애경;홍유나;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17-223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테크노스트레스는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용한 교수학습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U.S. and Korean teacher candidates' approaches to mathematical modeling on a social justice issue

  • Eunhye Flavin;Sunghwan Hwa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25-47
    • /
    • 2024
  •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are gaining popularity in K-12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a worldwide. These activities serve dual purposes by aiding students in making sense of real-world situations intertwined with social justice while acquiring mathematical knowledge. Despite efforts to prepare teacher candidates for instructing in mathematical modeling within a single countr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eacher candidates' approaches to mathematical modeling on a social justice issue from different countries. This article employs an in-depth, small-scale comparative study to examine the approaches of U.S. and Korean teacher candidates in solving a justice-oriented mathematics task. Our findings reveal that, although both U.S. and Korean teacher candidates identified certain variables as key when constructing a mathematical model, Korean teacher candidates formulated a more nuanced model than U.S. candidates by considering diverse variables. However, U.S. teacher candidates exhibited a heightened engagement in linking the task to social justice issues, whereas Korean teacher candidates barely perceived real-world problems in relation to social justice concerns. This study serves as a valuable tool to inform the rol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aped within specific educational contexts.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 탁병주;구나영;강현영;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9-39
    • /
    • 2017
  •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can turn out to be totally useless if we don't appreciate the part sampling plays. However, the conception of sampling is a scheme of interrelated ideas entailing many statistical notions such as repeatability, representativeness, randomnes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This complexity makes many peopl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relying on their incorrect intuitions without understanding sample comprehensively. Some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a sample is understood by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but we want to identify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e as the statistical literacy by a qualitative analysis. We designed four items which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write their understanding for sampling tasks including representativeness and variability. Then, we categorized the similar responses and compared these categories with Watson's statistical literacy hierarchy. As a result, many preservice teachers turned out to be lie in the low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s they ignore contexts and critical thinking, expecially about sampling variability rather than sample representativeness. Moreover, the experience of taking statistics courses in university did no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ir statistical literac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tatistics education.

포스트 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살펴본 예비교사의 관찰 실습경험 (Pre-service Teachers' Observational Experience From Post-modernsist Perspective)

  • 안효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7-211
    • /
    • 2012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experiences encountered b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ir observational practicum at day care centers. This study involved one cohort of 32 junior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Data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s related to observing children was to develop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an unfamiliar context. 2)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s in observing children was to understand the children and their circumstance. 3)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 in observing children wa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istening in child-teacher spoken interaction.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Analyz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based on Gender Roles Identity)

  • 윤정진;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1-20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roles and creativity. This study was done based on 178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Universities around the Busan area. The researchers have collected statistical data by questioning pre-service teachers about creative thinking tests, creative personality tests, and gender role identification awareness tests. The data was interpreted by the Pae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the one-way ANOVA method, and the $Sch\acute{e}ffe$ Post-hoc comparison metho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group perceived of high androgyny type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in important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such as fluency, elaborateness, ness, and openness. This result meant that the more a pre-service teacher was aware of the identity of gender roles, the more she or he thought creatively. Additionally, the acceptance of authority, an element of the creative personality factor,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 high feminity type group. On the other hand, self 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disciplined imagin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 group which perceived the identity of androgyny type roles.

Data-Text 변형 담화의 측면에서 본 세 초등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시연 사례의 비교 (Comparison of Thre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imulation Teaching in Terms of Data-text Transforming Discourses)

  • 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93-105
    • /
    • 2022
  • 이 연구는 세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모의수업 시연에서 data-text의 변형 담화가 구현되는 양상을 탐색하여 교사의 인식론적 대화가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변화를 주제로 모의수업을 시연한 초등 예비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그들의 모의수업 시연의 수업 담화 중 교수법적 발화에서 data-text의 변형 담화에 해당하는 발화를 선택하여 수업의 흐름에서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에서 증거로 변형하는 담화와 증거에서 여러 모델에서 설명을 도출하는 변형 담화를 구현했던 예비교사의 수업은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기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데이터를 인식하는 변형 담화 또는 증거를 찾는 변형 담화에 멈추거나 변형 담화가 발견되지 않은 예비교사의 교수법적 발화는 학습 목표로서 과학 지식을 전달할 수 있었지만,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지 못했다. 세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현된 교수법적 발화를 data-text의 변형 담화 측면에서 발전적인 부분과 제한적인 부분을 비교함으로써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지점을 논의하였다.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중고등학교 학생의 오개념 지도 방안 활성화를 위한 PBL 적용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PBL Application for Improving Teaching Method for Teaching Misconception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Teacher Education)

  • 이동명;고호경;장윤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69-88
    • /
    • 2010
  • 본 고는 예비교사 교육에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을 바로잡을 수 있는 지도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이에 따라 먼저 선행 연구와 문헌 검토를 통하여 학생들의 오개념들을 영역별로 파악하고 예비교사들에게 이를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있어 PBL에 따라 예비교사들은 지도방안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중고등학교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을 이해하고 오개념을 바로잡을 수 있는 수학적 개념을 파악해 나감과 동시에 다양한 수학교육 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PBL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 뿐만 아니라 협동학습 방법과 그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박만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10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수학 교육에서 창의성의 신장은 가장 핵심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나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학교육에서 길러 주어야 할 것으로 창의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 55명이 2주 동안 실습을 하면서 지도교사나 예비교사들이 공개적으로 실시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학 수업 중 수학 창의성과 관련된 활동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관찰하고 기술한 것을 분석하여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학 수업에서 창의적인 활동, 대안적인 활동 등을 포함하여 이들이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의 요소로 주로 융통성과 독창성으로 보았고, 수학 수업에서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을 있음을 보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위해서는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과서의 개발, 그리고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개발과 함께 현직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Efficacy on Mathematics Teaching)

  • 강문봉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53
    • /
    • 2016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것이다. 강문봉과 김정하가 개발한 효능감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개 교육대학의 수학교육과 2학년과 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은 약간 긍정적인 수준에 있으며, 남녀 또는 고등학교 때의 이수 계열이나 대학교의 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간에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신념은 다른 요인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현직수학교사와 예비수학교사들의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한 지식 및 능력에 관한 인식조사 (The perspectives on the knowledge and abilitie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527-546
    • /
    • 2015
  •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abilitie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has been discussed by many mathematics educators and researchers. This study surveyed the perspectives on the knowledge and abilitie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The perspectives of the two teacher groups about teachers' knowledge and abilities for teaching mathematics are very differ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give information on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