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Thre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imulation Teaching in Terms of Data-text Transforming Discourses

Data-Text 변형 담화의 측면에서 본 세 초등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시연 사례의 비교

  • Received : 2022.01.18
  • Accepted : 2022.01.27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how thre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the data-text transforming discourses in their science simulation teaching and how their epistemological conversations worked for learners'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Three preservice teachers, who had presented simulation teaching on the seasonal change of constellat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one preservice teacher, who had implemented the transforming discourses of data-to-evidence and model-to-explanation, appeared to facilitate learners' knowledge construction. The other two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helping learners construct science knowledge due to their lack of transforming discourses. What we should consider for improv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was discussed based on a detailed comparison of three cases of preservice teachers' data-text transforming.

이 연구는 세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모의수업 시연에서 data-text의 변형 담화가 구현되는 양상을 탐색하여 교사의 인식론적 대화가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변화를 주제로 모의수업을 시연한 초등 예비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그들의 모의수업 시연의 수업 담화 중 교수법적 발화에서 data-text의 변형 담화에 해당하는 발화를 선택하여 수업의 흐름에서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에서 증거로 변형하는 담화와 증거에서 여러 모델에서 설명을 도출하는 변형 담화를 구현했던 예비교사의 수업은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기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데이터를 인식하는 변형 담화 또는 증거를 찾는 변형 담화에 멈추거나 변형 담화가 발견되지 않은 예비교사의 교수법적 발화는 학습 목표로서 과학 지식을 전달할 수 있었지만,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지 못했다. 세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현된 교수법적 발화를 data-text의 변형 담화 측면에서 발전적인 부분과 제한적인 부분을 비교함으로써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지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1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1.099
  2.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3. 손연아, 신종란, 민병미(2007). 생물 예비교사의 수업 시연에서 나타난 과학 수업 모형 적용 과정 분석: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495-507.
  4. 윤혜경(2013). 과학 모의수업에 대한 반성 저널 쓰기와 토론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초등과학교육, 32(2), 113-126.
  5. 윤혜경(2014). 수업 반성 저널의 메타 분석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초등과학교육, 33(2), 322-334.
  6.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미래세대 과학교육 표준: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 한국과학창의재단.
  7. Bernstein, B. (2000). Pedagogy,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Theory, research, critique (Rev. ed.).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8. Duschl, R., Avraamidou, L., & Azevedo, N. H. (2021). Data-Texts in the sciences: The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Science & Education, 30, 1159-1181. https://doi.org/10.1007/s11191-021-00225-y
  9. Duschl, R. A. (2003). Assessment of inquiry. In J. M. Atkin & J. Coffey (Eds.), Everyday assess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pp. 41-59). Arlingon, VA: NSTA Press.
  10. Duschl, R. A. (2008). Science education in three part harmony: Balancing conceptual, epistemic and social learning goal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32, 268-291. https://doi.org/10.3102/0091732X07309371
  11. Duschl, R. A., & Grandy, R. E. (Eds.). (2008).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Rotterdam: Sense Publishers.
  12. Merriam, S. B. (199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San Francisco: Jossey Bass.
  1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R. A. Duschl, H. A. Schweingruber, & A. W. Shouse (E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5. Sandoval, W. A., Enyedy, N., Redman, E. H., & Xiao, S. (2019). Organising a culture of argumentation in elementary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3), 1848-1869. https://doi.org/10.1080/09500693.2019.164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