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liminary teachers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3초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예술경험 영역의 교육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와 그 보완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Its Complementary Plan on Activities of Social Relationships & Art Experience Area in the Nuri-Curriculum)

  • 정다운;윤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45-358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를 분석하여 유치원 교원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자료 또는 주요 교육 프로그램 구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사회관계 활동과 예술경험 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 조사 설문 22문항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치원 현직교원 650명과 예비교원 78명으로 총 728명이였다. 조사 결과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 23이었고, 자료 분석의 유의수준은 .05, .01, .001이었다. 본 연구 결과 자료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별로 상대적 보완책을 강화하여 운영 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유치원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연수 활동은 유치원의 설립유형별-운영형태별 분석 결과와 교원들의 근무지역별-담당학급 규모별-담당 유아 연령별 분석 결과, 교원들의 경력-연령-소지자격별 분석 결과, 그리고 현장교원과 예비교사의 이해도 분석 결과별로 보완책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을 위한 사회관계 활동의 경우는 유아 자신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자신이 가능한 일들과 가족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실천하면서 이들을 소중하게 생각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고, 유아교육을 위한 예술경험 활동의 경우는 음악적 요소-움직임 요소-미술적 요소 등을 탐색하여 예술적 표현 활동과 감상 활동이 통합된 경험이 되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 최문경;박정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125-149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현황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영재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 영재의 특성, 영재의 판별, 영재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영재 담당교사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었으며, 영재의 지적 특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의 정서적 특성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그리고 영재의 조기판별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의 판별 기준에 대한 인식이나 판별 능력은 낮은 편이었다. 또한 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접해본 경험 부족으로 인해 매우 낮았으며, 영재 담당 교사 연수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 담당 교사에 대한 의향은 매우 낮았다. 이로써 영재교육에 대한 이론적 인식은 보통이나 긍정적인 수준이었지만 실천적 인식은 영재교육에 대한 열악한 재정적, 행정적 환경으로 인해 낮은 수준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의 현실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 가 있다.

스크래치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활동이 예비 코딩 강사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ata visualization using scratch on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preliminary coding instructors)

  • 김용민;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09-320
    • /
    • 2017
  • 본 연구는 스크래치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 코딩 강사를 대상으로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활동 프로그램은 컴퓨터교육 전공 현직 초등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bigcirc}{\bigcirc}$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주관하고 '${\bigcirc}{\bigcirc}$대학교'에서 진행한 '청년 코딩 사업'에 주 2회 3시간씩 4주 동안 총 21차시의 집합 강의 및 실습 시간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Torrance의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검사지 도형 A, B형을 투입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코딩 강사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개 농촌지역 초등학교 교사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성평등의식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6th Graders at a rural area in Korea)

  • 강혜영;허광희;김유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6th graders at 3 rural area in Korea. Methods: There were 78 teachers and 323 6th graders from five elementary schools in Y area in Jeonnam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with 3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June to July 2003. Th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Korean Women Development Institute to test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composed of 20-items (Cronbach's ${\alpha}$ = .87 in teachr group; Cronbach's ${\alpha}$ = .83 in children group) with four subcategories: family life, school life, business life, and social life. The data was analyzed by a one-way ANOVA and t-test using SPSS/PC+. Results: 1.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more affirmative in females (t = 5.313, p = .001) and in the younger teacher group (F = 24.710, p = .00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differences in all four subcategories were also significantly affirmative in the female and younger teacher group. 2.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6th graders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eachers'. School girls (t = 8.988, p = .001) and children from double income families (t = 3.171, p = .042) were more affirmativ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four sub-categories, school girls were also significantly more affirmative in all four subcategori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amily income source, the children from double income families also tended to be more affirmative only in the subcategory of family life (t = 3.196, p = .042) Conclusion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s remarkab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oth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school children. Age was a key variable in teachers fo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urther research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arents, school principals and urban school population would be useful. In order to promot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a mass education campaign should be developed.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창의성 비교 연구 : 예비유아교사, 예비디자이너, 예비공학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reativity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designers and pre-engineers)

  • 김형재;이준연;엄세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9-27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예비디자이너 및 예비공학자 간의 창의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와 T대학교의 유아교육과, 디자인학과, 미디어공학과의 4학년 총 132명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창의성 검사(TTCT:도형)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전공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창의성은 예비디자이너가 예비유아교사 및 예비공학자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창성은 예비유아교사 및 예비디자이너가 예비공학자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으며, 독창성은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상성은 예비유아교사가 예비공학자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정교성은 예비디자이너가 예비유아교사 및 예비공학자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개방성은 예비디자이너가 예비공학자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았으며, 예비공학자가 예비유아교사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창의성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전공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식 분석 (A Study on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in Free Learning Semester)

  • 김성숙;김정현;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124
    • /
    • 2017
  •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시점에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자유학기제가 학교교육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 및 가정과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조사대상 중학교 가정과교사들은 자유학기제가 운영되는 목적으로 학생의 진로탐색 및 1차적 진로 의사결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 참여 중심 수업방법을 핵심과제로 하여 꿈과 끼를 탐색하는 교육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자유학기제의 도입취지나 목적에 대한 이해도도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기 위한 자료나 정보를 취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활동도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학교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일반학교 교사들의 경우 자유학기제 관련 교사연수의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수 경험이 없는 연구학교와 일반학교 교사 모두 자유학기제 관련 내용의 연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역할로는 생애설계적 관점에서 진로교육을 지도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생애를 자기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학교 시기는 자아, 소질, 기회 등을 탐색하며 여러 가지 실질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적성이 무엇인지 탐색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자유학기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고, 여러 가지 다양한 길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앞으로 가정 교과를 통해 생애설계적인 진로계획을 수립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인생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은 자유학기가 한 학기의 이벤트성 운영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 일반학기에도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 수업으로 연계성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프로그래밍 교육과 필요성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Recognition Changes Regarding Programming Education and Necessity)

  • 차승은;김정아;김종혜;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3
    • /
    • 2009
  • 국가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정보 교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정보 교육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기 위해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를 자발적으로 인식하고 의식변화를 얻을 수 있다는 가설을 중심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비전공 예비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사전설문조사, 12차시에 걸친 프로그래밍 수업, 사후설문조사 총 3단계를 거쳐 예비교사들의 인식이 변화됨을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은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서 대다수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참가자들의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 교사의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의 변화 (The Conside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on Mathematics)

  • 임해경;추신해;김정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3-121
    • /
    • 2010
  • 초등교사의 수학과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고자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연구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형과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여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외에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각각의 문항에 대한 통계처리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표로 나타내었고, 문항 별로 특이한 점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연구 결과 중 특이한 점은 "생활과 수학"과목을 수강한 후 수학에 대한 신념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 PDF

가정과 교사의 학교평생교육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School Life Long Education through Home and Family Life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5
    • /
    • 2004
  • 본 연구는 학교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과 관련된 제반 양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 접근법을 통하여 모형화 시키고 이를 기초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본 탐색적 연구이다. 관련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변화하는 사회에서 평생교육과 가정생활교육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는 학교가 가진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제반 특성 때문에 평생교육의 구심체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평생 교육적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은 교육 수요자의 교육요구 측면이나. 교과 이미지와 정체성 강화 및 전공자의 사회적 기여를 증진시키는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평생 교육적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의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하여 탐색적 체계모형이 제안되었고. 이 모형에 근거한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무용교원자격 및 교과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 및 문화예술교육사 취득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thods to Improve Qualification for Dance Teacher and Subject System: Focused on Cases of Acquiring Certificat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 홍애령;김지영;박재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2호
    • /
    • pp.363-372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교원자격 취득 및 교과 운영에 관한 제도와 현황을 살펴보고 중등학교에서 무용을 가르치는 교원의 유형별 교원자격과 교과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학교무용교육이 교육과정 개정과 예술강사 지원사업 시행을 계기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이한 가운데, 기존의 중등학교 정교사 2급(체육) 자격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사 2급(무용) 자격이 신설되었고, 최근 중등학교 정교사 2급(무용) 자격자가 배출되고 있어 무용교원자격 전반에 관한 주목이 요청된다. 무용교사로서 중등교원자격을 취득하는 예비 교사들이 배출되는 시점을 맞아 기존의 중등학교 정교사 2급(체육) 자격과 문화예술교육사 2급(무용) 자격취득 제도와 방법을 문헌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구적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중등교원자격 및 문화예술교육사 취득자 6명의 사례를 통해 주요 현안과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학교의 정교사로서 무용교원자격의 제도, 취득경로, 방법, 교과 제도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