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1.345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Its Complementary Plan on Activities of Social Relationships & Art Experience Area in the Nuri-Curriculum  

Chung, Da-Uon (국립경상대학교 교육학과)
Yoon, Yang-Su (경남 의령유치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gree of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with respect to educational activities of social relationships area & art experience area in the Nuri-curriculum and to provide complementary material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enhancing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tool for this study was a number of questionnaires on teacher's understanding in two area. The number of survey participants were 650 teachers and 78 preliminary teachers, 728 in total. Statistical analysis to this research responses was done by SPSS 23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01, .001 each. Research findings reached a conclusion of proposing differentiated complementary materials and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types of kindergarten, qualification of teachers and their demographics. That is, it should be adjusted to the differences in establishment-operation types of kindergarten, location/size/ages of class, careers/ages/license of teachers, and current-preliminary teacher's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ocial relationships area should be focused on an attitude of valuing oneself and family by browsing and practicing what one can do for oneself and family.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area should be focused on integrated experience of artistic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by exploring musical, movement and artistic elements.
Keywords
Nuri-curriculum; Activities of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Its Complementary Pla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찬기오, 문승한, 이광우, 김훈희, 양은진, 정다운, 교육과정개발과 수업설계, 파주: 양서원, 2014.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4 https://ko.wikipedia.org/wiki/%EC%98%88%EC%88%A0
5 http://100.daum.net/search/entry?q=%EC%98%8 8%EC%88%A0
6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EC%98%88%EC%88%A0&searchType=&dicType=&subject=
7 박선영, 홍순옥,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플래시에 대한 유아교사의 활용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527-537, 2017.   DOI
8 윤은경, 이미나,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과학교육 내용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588-596, 2015.   DOI
9 한선아, 곽정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언어교육 활동 내용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511-521, 2013.   DOI
10 김소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와 지침서에 대한 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1 김은미, 만 5세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초등 1학년 사회과 교육의 연계성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2 노민자, 누리과정에 그림책을 연계한 유아 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3 배윤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에서의 활용에 적합한 그림책 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4 이은정, 유아 사회정서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5 함정안, 5세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영역을 기독교적 나눔 교육과정으로 변환 적용 가능성 연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6 강향숙, 전통음악과 예절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7 김용석,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에서 놀이미술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8 김혜숙, 클래식음악을 활용한 유아동요 노랫말 분석 및 음악활동 프로그램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9 안명숙, 숲에서의 놀이를 통한 유아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 최윤의, 유아 디자인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통합 교육적 접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1 F. W. Parkay, E. J. Anctil, and G. J. Hass, Curriculum Planning(8th ed), NY: Pearson Education, Inc, 2006.
22 강현석 역, 예술교육론-미술교과의 재발견,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07.
23 E. W. Eisner, The Art and the Creation of Mind, New Haven: Yale Univ. Press, 2002.
24 B. Joyce, M. Weil, and E. Calhoun, Models of Teaching(9th ed), NY: Pearson Education, Inc,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