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s Teacher

검색결과 795건 처리시간 0.026초

평면도형 영역에서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한 학생의 오류에 대한 예비 교사의 지식 분석 (Interpre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by Shulman-Fischbein Framework : For Students' Errors in Plane Figures)

  • 김지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297-314
    • /
    • 2018
  • 본 연구는 교사지식 중에서 예비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식을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이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우리의 교사교육의 현실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Shulman-Fischbein 개념틀은 수학의 알고리즘적 SMK, 수학의 형식적 SMK, 수학의 직관적 SMK, 수학의 알고리즘적 PCK, 수학의 형식적 PCK, 그리고 수학의 직관적 PCK의 여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일련의 평면도형 영역의 문제를 다루고 학생의 오개념을 포함한 지필과제를 5명의 예비교사에게 제시하고 그들이 제출한 답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상당히 강한 SMK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수학의 형식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시 학생들의 수준을 깊게 고려하지 않았고, 오개념을 고치기 위한 교수학적 방법을 제안할 때에 구체적이지 못하고 피상적인 답변만을 제시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교사 자기 효능감과 놀이지원 (Early Childhood Educators' Teacher Self-Efficacy and Play Support by Personality Types)

  • 성안나;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57
    • /
    • 2023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ersonality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amine the variations in teacher self-efficacy and play support based on these personality typ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02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sible for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 "sensitive group" (29%), the "conservative group" (10%), the "passive group" (28%), and the "active group" (34%).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cores were observed for teacher self-efficacy and play support across these personality types. Notably, the active group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s of both teacher self-efficacy and play support. Consequently, the active group emerged as the most effective and functional personality typ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types in their teaching practice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se personality types.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Hum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 Efficacy)

  • 김지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41-151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에 유머감각과 정서지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WIN V.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유머감각과 정서지능, 교사효능감은 대체로 보통 이상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 정서지능,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머감각의 하위요인인 유머의 생성과 유머에 대한 선호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 요인 중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요인이 교사효능감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유머 감각과 정서지능이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교사효능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ased on storytelling in elementary schools)

  • 권종겸;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83-299
    • /
    • 2013
  • 2013학년도부터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 수업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과서로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하게 될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24명과 예비 초등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인식과 수업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요구 사항에 초점을 맞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의 효율성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이 예비교사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수학 교수 학습 수단으로서 스토리텔링의 적절성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은 예비교사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 현직교사도 스토리텔링 수업자료의 개발과 보급을 필요로 하였고, 교사 연수를 통하여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에 대한 좋은 사례와 구체적인 시범수업에 대한 정보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예비교사교육 단계에서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예비교사는 약 87%에 이르렀다.

현직교원과 예비교사간의 정보활용능력 격차 분석 (An Analysis on Gap of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 김형진;남영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3-52
    • /
    • 2012
  •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은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자기주도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중등학교에서 정보소양 및 정보활용교육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 없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등학교에서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 계발은 교사의 교과 수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며, 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원과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간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교원과 예비교사의 종합 정보활용능력 지수는 각각 74.4점과 50.5점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현직교원의 약 68%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 도교육청 및 교원양성기관은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수립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예비수학교사의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 탐색 연구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69-285
    • /
    • 2016
  •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은 수학교육학 분야에서 다각도로 활발하게 탐구되어온 주제이다. 본 연구는 PCK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에 주목하고, 예비수학교사들의 KCS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예비교사들로부터 다양한 답변을 기대할 수 있는 내용을 자유응답형으로 구성하였으며, 네 가지 질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답변을 기술하고 유형화함으로써 연구 문제로 설정한 학습자의 전형적인 오류, 학습자의 내용 이해, 학습자의 발달 계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사고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예비교사들은 설문에 대한 응답에서 수학적 관점 혹은 교육적 관점을 갈등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학교수학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 중 여러 학교급과 학년 혹은 여러 영역에서 중층적으로 설명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교사양성 과정에서 각 주제들이 학교급과 학년을 관통하여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종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담화 맥락을 고려한 예비과학교사의 발문 반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on of Questions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 김성훈;전유선;강훈식;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459-471
    • /
    • 2022
  • 이 연구는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워크숍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4학년 예비과학교사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과학교사들은 워크숍에 참여하였고 이들이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담화 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과학교사가 자신의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된 발문 유형을 적극적으로 고려', '학생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 부족', '학생의 응답 여부를 중요한 반성 요소로 고려', '발문 빈도를 바탕으로 한 발문 평가', '단일한 발문에 초점을 둔 반성', '다양한 PCK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 부족'의 6가지 주요 특징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 이해정;좌승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1-38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4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384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의 인식 수준은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창의적 인성을 매개로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인성 중 집요성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 및 변화 양상 (Korea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elief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its Evolution)

  • 김영민;이현주;김재권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40-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과학 교수와 학습 및 교실 환경에 대해 어떠한 신념과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그러한 신념과 인식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의 두 대학에서 과학 교사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을 묻는 32문항으로 구성된 BARSTL에 응답하였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1년 뒤 4학년이 되었을 때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신념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수업 및 학생들의 과학 학습, 그리고 교실 환경과 교육과정에 대해 긍정적이긴 하지만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며 그 수준은 졸업하는 시점인 4학년 말이 되어서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 PDF

예비수학교사의 문제해결 지도 실행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Experiment on Problem Solving Process)

  • 김남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59-175
    • /
    • 2008
  • 문제해결은 우리나라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수학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의 제안, 평가의 제안, 교육기자재 활용 목적 등 여러 측면에서 명시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 현상의 수학수업을 이끌어 갈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해결 지도 능력을 실제적으로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과정에서는 사법대학 수학교육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문제해결 지도에 중점을 둔 지도과정을 구성, 실행하도록 안내하였다. 연구의 실행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구성 및 실행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정리하고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실행을 통해 에비수학교사들이 수학수업에 대해 갖게될 생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예비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법대학의 교사교육에서 이론적 지식에 대한 지도 못지않게 방법적 지식에 대한 지도도 중요함을 부각시키고 방법적 지식의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사례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