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Math teacher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7초

「수학교과교육론」 수업이 예비 중등 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condary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for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instruction)

  • 이종학;최재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69-18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can improve secondary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and correlation on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and mathematics education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test was conducted to the subject of 34 pre-service secondary math teachers of the grade 2 and grade 4 who were chosen from H university in D city and we analyzed the results. Finding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with significant level of 0.05. This proved that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was effective on improving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Second, there was not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 pre-service math teacher' belief and mathematics education achievement.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for linear equations and linear functions)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95-415
    • /
    • 2016
  • 본 연구는 방정식 및 함수와 관련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K시 관내 중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수학 교사 49명과 M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29명을 대상으로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미지수가 1개인 일차방정식을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보다 더 일차방정식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음함수 형태보다 양함수 형태로 표현된 일차함수를 일차함수로 더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에 대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Investigation into Pre-Math Teachers'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 허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449-470
    • /
    • 2015
  •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한 후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플립드 러닝을 실행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측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3단계로 설계한 플립드 러닝을 예비수학교사교육에 적용하고 그에 따른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수학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 결과 플립드 러닝 수업 전반에 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수업 전개 과정에 대하여서는 각 단계의 유용성과 학습 내용 이해 측면에서의 긍정적이었으나 외적인 환경에 대한 개선점이 제기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예비수학교사교육에의 플립드 러닝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유치원 현장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및 인식 변화 탐색 (Exploring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Field-Based Math Lesson)

  • 김정주;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ollow up changes in knowledge related to the mathematics education field work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8 students who were taking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at various universities. This research ran for 15 weeks and was conducted through field work relating to mathematics education.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the diagram of concept, writing journals, interviews, and materials from the internet. Through this procedure,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for mathematics education could later be expanded, ordered, and integrated.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not onl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contents and levels of lesson plans, but also learned how to utilize educational media to make effective lessons. Furthermore,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that the mathematical concepts of students could be expanded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s and students could then apply these concepts into daily situations.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진학동기, 수학 전공공부 및 과외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about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 ways of dealing with university mathematics knowledge and tutoring experiences)

  • 전영국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269-28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사가 되고자 하는 대학생의 진학동기와 수학적 사고와 관련된 패턴 및 고등학교와 대학 수학을 하는 경험, 과외 경험을 통하여 예비교사의 고유한 측면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 사범대학을 선정하여 수학교육 전공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을 인물 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 사이에 수학교육과 2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기초면담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인물 사례 연구방식에 근거하여 스케치 형태로 초상화법을 적용하여 수학교사가 되고자 하는 동기, 고등학교와 대학 수학을 하는 공부양상의 차이점, 과외 경험을 통하여 느끼는 양상을 탐색하고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을 담았다. 마지막에 연구참여자에 대한 사례간의 논의를 통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예비수학교사의 AI 소양과 SW 역량 계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Pre-service Math Teacher's Development of AI Literacy and SW Competency)

  • 김동화;김승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93-117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service math teachers'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to develop their AI literacy and SW competency, and to derive some implications. We conducted a 14-hours AI and SW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with theory and practice, and an analysis on class observation data, video frames of classes and interview, Python programming assignments and papers.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for 3 pre-servic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wo students understoo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ep learning system accurately, furthermore, all students conducted a couple of explorations related with performance improvement of deep learning system with interest. Second, coding and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ython improved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s well as SW competency, which help them give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Third,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cessity of AI literacy and SW competency development, and to applying coding to math class. Lastly, it's necessary to endeavor to give a coding education to the student's eye level according to his or her prerequisite and to ease the burden of student's studying AI technology.

예비교사의 디지털 기반 원주율 교수학습자료 개발 사례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Digital-bas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Pi )

  • 강향임;최은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65-8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반 원주율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과 원주율에 대한 내용지식이 어떻게 나타나고 강화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알지오매스 환경에서 두 명의 예비교사가 블록코딩을 활용하여 원주율 지도를 위한 탐구활동 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알지오매스의 블록 코딩 활동이 예비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발현하고 확장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는 것과 예비교사들의 원주율에 대한 내용 지식을 심화시키는 기회가 되었으며 디지털 자료 개발 환경의 한계점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 프로그램으로 블록 코딩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과 디지털 교수학습자료 개발에 필요한 지식으로 예비교사 교육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ased on storytelling in elementary schools)

  • 권종겸;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83-299
    • /
    • 2013
  • 2013학년도부터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 수업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과서로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하게 될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24명과 예비 초등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인식과 수업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요구 사항에 초점을 맞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의 효율성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이 예비교사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수학 교수 학습 수단으로서 스토리텔링의 적절성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은 예비교사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 현직교사도 스토리텔링 수업자료의 개발과 보급을 필요로 하였고, 교사 연수를 통하여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에 대한 좋은 사례와 구체적인 시범수업에 대한 정보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예비교사교육 단계에서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예비교사는 약 87%에 이르렀다.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설계 (A Study 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esson Plans for Math Underachievers with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ies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87-311
    • /
    • 2022
  • 본 연구는 가설학습경로와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기반으로 초등예비교사가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에게 맞춘 수학 수업을 설계한 사례를 활용한 연구이다. 가설학습경로는 계열성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과에서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에게 맞추어 도움을 제공해야 할 때 그들의 현재 이해 및 발달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반응적으로 수업을 설계할 때 의사결정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또한, 보편적 학습설계는 수업을 설계할 때 수업에 존재할 수도 있는 잠재적 장벽을 제거하여 모든 학생이 접근할 수 있는 풍부한 학습 환경을 안내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에게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의 특성에 맞춘 수업을 설계하는 경험을 제공하여 가설학습경로를 생성하게 하고,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수업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수업안에 나타난 가설학습경로의 특징 및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수학수업 설계 경험의 필요성과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수업설계에서 가설학습경로 및 UDL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산술 평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개념화 분석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ization of Arithmetic Mean)

  • 주홍연;김경미;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2호
    • /
    • pp.199-221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ize arithmetic mean and how their conceptualization was formed for solving the problems involving arithmetic mean.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ization of arithmetic mean was categorized into conceptualization by "mathematical knowledge(mathematical procedural knowledge, mathematical conceptual knowledge)", "analog knowledge(fair-share, center-of-balance)", and "statistical knowledge". Most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ized the arithmetic mean using mathematical procedural knowledge which involves the rules, algorithm, and procedures of calculating the mean. There were a few pre-service teachers who used analog or statistical knowledge to conceptualize the arithmetic mean, respectively. Finally,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types and conceptualization of arithmetic m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