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actical skills

Search Result 724, Processing Time 0.212 seconds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소방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의 기능반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Students of Technical High School on Fire Safety : Focusing on Skills Student in the Seoul Metropolis)

  • 조승호;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07-112
    • /
    • 2006
  • 이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소방안전의식을 파악하고, 소방안전교육의 필요성과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소방안전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공업계고등학교에서 안전사고에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는 기능반 학생 10개 학교 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 기능반의 적지 않은 학생들이 인생에서 생활안전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소방안전이 아주 필요하지만 시설물 안전에 비해 덜 중요도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소방교육의 주체는 주로 학교이었고 거의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이 소방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응답하는데, 학교 전체 교육보다 학생의 전공과 기능종목에 적합한 소방교육이 필요하였다. 셋째, 기능반 학생들의 소방안전에 관한 환경은 적지 않은 위험요소에 노출되어 있었는데, 작은 사고도 반드시 보고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체제와 방안이 필요하였다. 넷째, 정규교육과정 공업입문과목의 소방안전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로 만족하였지만, 소방안전에 대한 내용을 늘리고 실제적인 것을 배울 수 있기를 원하였다. 궁극적으로 소방안전을 포함하는 안전에 관한 전문적인 독립 교과목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였다.

학제간 융합수업의 핵심역량 향상 효과 분석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Analyzing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urse of Design, Business and Literature : Focusing on Human Relations, Resource & Information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 이상선;김동민;서성은;박경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1-17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생 대상 학제간 융합 전공수업이 수강생의 대인관계, 자원 정보 기술의 활용, 의사소통 역량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제간 융합수업 수강생 43명을 실험집단으로, 융합수업과 관련이 없는 교과목 수강생 44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각 역량 및 하위영역의 역량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 내변화량 차이 대응표본 t-검정, 사후검사 집단 간 차이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제간 융합수업은 대인관계 역량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원 정보 기술의 활용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제간 융합수업 설계 시, 기존의 자원 정보 기술의 활용과 의사소통 역량 향상 활동에 대한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융합수업의 효과를 검증한 것으로서 핵심역량 기반 융합수업의 경험적 연구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국내 이공계 대학생의 의사소통 교육 인식조사 (A Study of Communication Education of Engineering Undergraduates)

  • 한국은;원상봉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51-161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이공계 대학생 355명을 설문 조사하여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실증적인 인식을 파악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조사한 내용 중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공계 학생들은 의사소통 영역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듣기와 말하기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 소통의 시대에서 듣기와 말하기 역량이 업무 성과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현상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앞으로 읽기와 쓰기 못지 않게 듣기와 말하기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공계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앞으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를 제공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대형 의류벤더의 테크니컬 디자이너 실무 분석 (Analysis of Practical Tasks of Technical Designers of Big Vendors)

  • 하희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555-566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practical tasks and required competency for technical designer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training of domestic technical designers. The survey was applied to 21 technical designers of big vendors as well as investigated tasks, task flow, important tasks, time-consuming tasks, and required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chnical designers were in charge of several brands of buyers and distributors of fashion companies, or several lines of the same brand. The main production items were cut and sewn knits. Second, the flow of task and tasks were in the order of buyer comments analysis, sloper decision to matching style, sewing specification, productive sewing method research, size specification suggestion, pattern correction comments, construction decision to matching style & fabric, sample evaluations, fit approval, business e-mail writing, specification & grading confi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buyer. Third, five tasks (analysis of buyer comments analysis, communication with buyer, pattern correction comments, productive sewing methods research, sample evaluation) were important and time-consuming tasks. Fourth, reeducation was required in order of sewing, pattern, English, fabric, and fitting. Fifth, competencies to be a technical designers were fitting, pattern correction, size specification & grading, construction & sewing specification, sewing terms & techniques, and communication skills. In conclusion, technical designer training should focus on technology-based instruction, such as sample evaluation, fitting, pattern correction, and productive sewing methods research of cut and sewn knits.

Training-Effectiveness and Team-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

  • UMAR, Akmal;TAMSAH, Hasmin;MATTALATTA, M.;BAHARUDDIN, B.;LATIEF R, Abd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1021-103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 in empirical relationships in a model that becomes the process of Team-Performance due to participation in practical training through causality between Training Effectiveness variables, soft-skill competence, Employee-Creativity, and team performance. This study uses a quantitative approach. The analytical tool used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AMOS version 23 software. Accidental sampling technique is used to collect the sample. As many as 202 respondents filled up a survey questionnaire with complete and valid answers. This study's result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fill the gap of inadequate empirical evidence that can answer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missing link between training and employee-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between training-effectiveness and team-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practical training would encourage employees' soft-skill competence, improve Employee-Creativity, and improve Team-Performance. Furthermore, training-effectiveness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employee-creativity and helping in optimal team-performance.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creativity and team-performance did not show positive and significant results; therefore, empirically, it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built in this study. Practical training targeted towards increasing soft-skills and creativity is a fundamental reason which not only aims to contribute towar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also provides personal feedback for self-development.

시간빈곤 해결을 위한 가족자원경영학의 과제: 교육에서의 코칭적 접근 (Resolving time poverty in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 coaching approach in education)

  • 김혜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2호
    • /
    • pp.43-56
    • /
    • 2016
  • Time poverty is a kind of objective and subjective state which a person does not have a enough time to do his/her work or is in the mood to do something in a hurry. The major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has studied time as a resource to manage for long years. How to manage time has been a major part in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The education itself in nature has focused to inform knowledge and the disciplines of time management, to the students, on the other way, has a rare interest with a each student how to apply them or whether do in practical. Coaching is characterized as a practical learning and mutual communication skills with open questions, which help for a individual student to find his/her own goal related with time poverty or furthermore, whatever he/she wants to achieve in life. If the benefits of the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s well as the benefits of practical learning of coaching could be merged in education on time managemen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resolve time poverty is able to be increas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suggests a coaching approach in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to resolve time poverty, by some comparisons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nd coaching about time and time management.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을 통한 텍스타일 상품개발 제안 및 수업만족도 고찰 (Study on Textile Product Development and Song HaYoung Class Satisfaction through Capstone Design Curriculum)

  • 송하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5호
    • /
    • pp.124-136
    • /
    • 2019
  • Capstone design is a creative and comprehensive educational program requiring practical adaptation skills for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design development, lectures and curriculum satisfaction for textile fashion products based on four years of capstone design curriculum from 2015 to 2018. The curriculum consists of 26 groups of 72 students and a total of 26 final results were obtained via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e materials for product design development included differentiated clothing, leisure goods, bags, dog goods, smart goods, interior goods and recycled products based on textil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ectures involving the capstone design class was very high, with 4.2 out of 5.0 when the number of students was less than 10. However, when the number of students was 20 or higher and the number of students was large,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below 3.88. Therefore, the capstone design class comprising less than 10 students was better at individual teaching and teamwork.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capstone design curriculum,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 teaching method addressing the needs of industry and academia facilitated practical learning. It was very helpful in improving competency related to the design and development majors and future employment. The capstone design curriculum was effective in the training for practical design development and planning.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re-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rack and Field Practical Skill Test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Yu, Young-S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27-13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간 내면의 감정, 의견, 인식 등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3가지 유형이 탐색되었고, 각 유형은 전문시설지원요구형과 전문기술지도요구형 그리고 평가방법개선요구형으로 명명되었다. 결론으로,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를 준비하는데 있어 예비체육교사들은 전문시설의 지원과 전문기술을 지도받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 그리고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 안내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디지털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취업에 관한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y Type of Subjectivity Regarding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igital Content)

  • 이석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763-768
    • /
    • 2024
  • 본 연구는 실기 교육에 중점을 두는 디지털콘텐츠 전공 대학생들이 취업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다각도에서 이해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주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임의로 선정한 31명의 P 표본으로부터 취업스트레스와 취업불안을 중심으로 구성된 Q 표본을 활용하여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실무경험 부족', '취업 및 실무역량 부족', '진로 결정장애 및 의지박약', '멘토 및 취업정보 부족' 등 총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을 제공하며, 진로 탐색 워크숍을 운영하고, 선배 멘토링을 확대하는 등의 시사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제조 적용을 위한 NCS 및 임베디드 기반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NCS and Embedded System-Based Training Program for Smart Manufacturing Application)

  • 이우영;손덕수;오재준;유종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83-289
    • /
    • 2019
  • 최근 스마트제조에 따른 제어시스템은 제품 이동성, 데이터 호환성, 통신 연계성 등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임베디드 시스템은 가전제품, 통신, 국방 등 전 산업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인력 수요는 더욱 더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프로그래밍 능력과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산업현장 실무능력을 겸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은 아두이노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을 수행하고 있지만 이는 비전공자와 초심자 중심이며 임베디드 시스템 전공자 교육과정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의 시제품 연구는 활발하지만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매우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마트제조 적용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실무인재 양성을 위해 NCS 기반 전문가 10인의 심층 인터뷰와 설문 분석을 바탕으로 능력단위를 선정하고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컨텐츠를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