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Resolving time poverty in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 coaching approach in education  

Kim, Hyeyeon (Dept. of Faculty of Human Ecology & Welfare, Jeju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0, no.2, 2016 , pp. 43-5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ime poverty is a kind of objective and subjective state which a person does not have a enough time to do his/her work or is in the mood to do something in a hurry. The major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has studied time as a resource to manage for long years. How to manage time has been a major part in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The education itself in nature has focused to inform knowledge and the disciplines of time management, to the students, on the other way, has a rare interest with a each student how to apply them or whether do in practical. Coaching is characterized as a practical learning and mutual communication skills with open questions, which help for a individual student to find his/her own goal related with time poverty or furthermore, whatever he/she wants to achieve in life. If the benefits of the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s well as the benefits of practical learning of coaching could be merged in education on time managemen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resolve time poverty is able to be increas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suggests a coaching approach in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to resolve time poverty, by some comparisons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nd coaching about time and time management.
Keywords
time poverty; time resource; family resources management; the science of coach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민일보(2014). 한국인의 '시간빈곤': 나.가정 돌볼 시간 부족이 '더 가난한 삶'을 부른다. 2014.11.5. 3면.
2 김경섭 역(2002). 소중한 것을 먼저 하라, Covey, S. R.(1996), First thing first, 서울: 김영사.
3 김경섭 역(2004). 프로페셔널 코치로 성공하기, Vilas, S.(2003), Becoming a coach, 서울: 김영사.
4 김선희(1989). 도시 가정주부의 가사노동시간변화와 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1), 111-126.
5 김외숙(2010). 성인취업자의 여가시간 결정요인의 성차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자료집.
6 김외숙, 조희금, 두경자(2000). 시간의 사용과 관리. 서울: 교문사.
7 김은영(2015). 시간관리 훈련이 여대생의 시간관리 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지통제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5(1), 351-371.
8 김정희(1993). 한국주부의 가사노동시간과 경제적 가치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1(4), 37-51.
9 김종명, 황영규, 최종환, 신민철(2012). 코칭방정식. 서울: 정우서적.
10 김혜연(2014). 건강가정사 역량강화 코칭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01-115.   DOI
11 김혜연, 김성희, 이경희, 곽인숙(2008). 가족자원경영의 관점에서 본 코칭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137-147.
12 노혜진, 김교성(2010).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 사회복지연구, 41(2), 159-188.
13 도미향, 정은미(2012). 대학에서의 코칭학 교육과정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코칭연구, 5(2), 5-22.
14 두경자(2002). 시간관리 교육 후의 교육효과측정. 사회과학연구, 15, 1-14.
15 문숙재(1996). 생활시간연구. 서울: 학지사.
16 문숙재, 정영금(1988). 도시주부의 가정생산시간 및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6(2). 103-118.
17 박수정 역(2006). 시간빈곤, Bill Quain..(2005), Overcoming time poverty, 서울: 나라.
18 박정길 역(2009). 비전과 변화를 위한 긍정코칭, Robert Dilts.(2003), From coach to awakener, 서울: 아카데미북.
19 선종욱(2010). 코칭다이나믹스. 서울: 이담북스.
20 송혜림(2015).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81-100.
21 신창호(2012). 교육과 학습. 서울: 온고지신.
22 아시아코치센터(2007). 내 생애 최고의 해 워크북. 서울: 아시아코치센터.
23 윤소영, 김혜진(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9-36.
24 이경희, 곽인숙, 김순미, 홍성희, 김혜연, 고선강(2010). 생활경영: 자기계발을 위한 워크북. 서울: 시그마프레스.
25 이소희(2008). 멋진 응원, 코칭, 서울: 신정출판사.
26 이소희, 길영환, 도미향, 김혜연(2014). 코칭학개론. 서울: 신정출판사.
27 임정빈, 임혜경(1992). 1980년대와 1990년 도시주부의 생활시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0(4), 261-278.
28 임희규, 임혜경, 이민표, 정지영, 조미환, 고보선(1998). 변화하는 사회의 가정경영. 서울:양서원.
29 장미혜(2005). 가족: 계급과 성별 불평등의 또 다른 영역: 중간계급과 노동자 계급간 및 계급내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1(2), 105-146.
30 장연주, 이기영, 최현자(2012). 여가시간과 시간압박감의 관계: 성별에 따른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95-211.
31 전은지 역(2007). 내 생애 최고의 해, Jinny, D.(2000), Your best year yet, 서울: 아시아코치센터.
32 전지현(2012). 취업모의 종사상 지위별 생활시간 사용 양태 및 시간부족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조선닷컴인포그래픽스팀(2013). 한국, OECD 36개국 중 행복순위 '27위'... 오늘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http://inside.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1/25/2013112502050.html
34 정영금(2013).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정착을 위한 체계적인 변화전략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37-54.
35 정진우(2005). 코칭 리더십. 서울: 아시아코치센터
36 주간동아(2015). 시간도둑은 완벽주의자를 노린다. 2015.7.27. 932-935면.
37 한경미(1989). 취업주부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2), 1-13.
38 한국어사전 편찬회(1986). 한국어 대사전. 서울:삼성문화사.
39 한상진 역(2001). 24시간 사회, Kreitzman, L.(1999), The 24 Hour Society, 서울: 민음사.
40 Szollos, A.(2009). Toward a Psychology of Chronic Time Pressu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Review. Time & Society, 18(2/3), 332-35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