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disaster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4초

재난 후 재건사업의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 재건접근 단계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Post-Disaster Reconstruction Projects - Focused on the Reconstruction Approach phase -)

  • 김화랑;이광표;전영준;장현승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76-84
    • /
    • 2022
  • 최근 자연재해 발생빈도 증가로 막대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재난관리에 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발전적 재건 개념에 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재건설 시 이에 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 후 재건설의 재건접근 단계 시 고려되어야 하는 영향요인에 관한 도출과 국외 재난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향요인별 상대적 중요도 평가와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재건사업 수행 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난에 따른 농촌주민의 심리적 영향을 고려한 재난대책 방안 (A study on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impact of rural residents)

  • Seo, Eunyoung;Kim, Yeounjung;Lee, Young-Kune;Park, Mir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7-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난을 경험한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재난 후 개인의 변화와 재해인식, 심리적 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농촌주민의 재난대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7년 7월 집중호우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충청남도 청주시에 거주하는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재해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많은 주민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고찰 및 제언을 통해 농촌주민의 재난 후 성장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도시방재정보 구축을 위한 PPK GNSS 기반의 무인항공사진측량 (PPK GNSS System based UAV Photogrammetry for Construction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 박준규;김민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55-362
    • /
    • 2017
  • 무인항공기는 최근 공간정보 분야 수요 증가에 따라 측량, 지도제작, 공간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신속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사진측량을 도시방재정보 구축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에 대한 PPK(Post Processed Kinematic) GNSS 기반의 무인항공영상 취득 및 데이터 처리를 통해 수치표고모델과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결과물을 이용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PPK GNSS 방법을 적용한 무인항공사진측량의 업무흐름을 기존 방법과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대상지역에 대한 도시방재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었으며, 기존 무인항공사진측량과 비교를 통해 PPK GNSS 방법의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향후 도시방재정보 구축 분야의 무인항공사진측량 활용에 있어 PPK GNSS 기법을 활용한다면 신속한 데이터 취득 및 처리로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학에서 재난관리분야의 학문적 연구경향 (Trends of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 안혜원;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83-190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행정학 연구가 전개되어 온 과정에서 재난관리 분야의 연구경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재난관리 연구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학문적 발전을 위한 재난관리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동안의 재난관리 분야의 연구경향을 살펴본 결과, 첫째 시대별 변화추이에서 2000년도 이후의 재난관리 분야 연구 논문이 전체의 81.8%를 차지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둘째 연구 방법적인 면에 있어 사례연구가 47.7%를 차지함으로써 사례연구에 치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연구목적의 경우 정책대안의 제시 논문이 79.5%로 가장 많았으며, 이론검증의 경우 13.6%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학문적 기반 형성을 위해서는 이론의 정립 및 검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넷째 재난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2001년 이후, 사회적 재난 및 사회적 인적 자연적 재난의 복합적인 연구가 각각 27.3%, 50%로써 매우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정책대상별로 살펴보았을 때 중앙 지방정부 민간부문 및 NGO등의 통합 적 재난관리 운영에 대한 연구가 5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재난관리단계별 변화추이에서는 사전전략(예방 준비), 사후전략(대응 복구) 전 과정에 있어서의 연구가 56.8%로 가장 많으며, 단계적 구분에 있어서는 사후전략에 더욱 치우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험절토사면의 안정성평가 및 상시계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A Study on Stability Evaluation and Numerical Analysis for Installing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on Risky Road Cut Slope)

  • 최지용;이종현;이정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39-1146
    • /
    • 2009
  • Collapse of cut slope includes many uncertainties in view of the reason and time. So, in the past, risky cut slopes have been dealt after they've been collapsed through post-management measures. But recently, advanc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is required, and as a part of that RTMS(Real-Time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In this study, stability of risky cut slope was evaluated by site investigation. To grasp deformati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lope, numerical analysis based on FEM was performed and using results of that, specific standards for installatio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were suggested.

  • PDF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 본 재난 분야 정부 R&D의 특징 (A Study on the Disaster Management R&D of the US and Japan)

  • 이주영;최수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3-129
    • /
    • 2016
  • Through two case studies o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and thereb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This paper analyzed government-funded disaster management R&D for each country: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warded projects from 2005 to 2015 for the United States, and Grants-in-Aid for Scientific Research from 2011 to 2015 managed by the Jap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for Japan. As a result, four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1) pursuit of R&SD(Research & Solution Development) instead of R&D, 2) shift from prevention to life-cycle management, 3) necessity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and 4) emphasis on post-disaster investigation.

Development of Earthquake Damage Estimation System and its Result Transmission by Engineering Test Satellite for Supporting Emergency

  • Jeong, Byeong-Pyo;Hosokawa, Masafumi;Takizawa, Osamu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2-19
    • /
    • 2011
  • Drawing on its extensive experience with natural disasters, Japan has been dispatching Japan Disaster Relief (JDR) team to disaster-stricken countries to provide specialist assistance in rescue and medical operations. The JDR team has assisted in the wake of disasters including the 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nd the 2008 Sichuan Earthquake in China. Information about the affected area is essential for a rapid disaster response. However, it can be difficult to gather information on damages in the immediate post-disaster period. To help overcome this problem, we have built on an Earthquake Damage Estimation System. This system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distributions of the earthquake's seismic intensity and structural damage based on pre-calculated data such as landform and site amplification factors for Peak Ground Velocity, which are estimated from a Digital Elevation Model, as well as population distribution. The estimation result can be shared with the JDR team and with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rough communications satellite or the Internet, enabling more effective rapid relief operations.

  • PDF

기상정보 활용 및 방재를 위한 태풍 사례 연구 (Pilot Study on the Typhoon for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Application and Disaster Prevention)

  • 박종길;정우식;최효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통권24호
    • /
    • pp.21-28
    • /
    • 2007
  • 최근 기후변화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자연재해의 피해를 정확히 예상할 수는 없으나, 중대한 현상이 예상될 때 그에 맞는 적절한 예방활동을 통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2000년 들어 기상재해에 의한 피해가 수조원에 달하는 만큼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를 많이 입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5년 9월 $5{\sim}7$일 동안 한반도에 영향을 끼친 태풍 Nabi와 1998년 일본 4개 현(懸)에 큰 피해를 입힌 호우에 관하여, 기상청과 방송, 신문의 기상정보 발표 현황과 보도내용, 기상정보 전달체계, 사후 평가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방재기상정보의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대한 현상이 예상될 때는, 기상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기상청에서 보다 많은 보도자료를 발표해야 하며, 좀 더 정확한 피해 규모를 제시하기 위해서 국내 현황에 맞는 재해피해 예측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방송사와 신문사는 공공기관의 재해대응, 현상의 자세한 정보와 예측, 방재상 주의점, 피해내역 및 복구 등 시민들이 알고자 하는 내용을 재해대응 단계에 맞게 적극적으로 보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해종료 후에 기상청과 소방방재청, 방송사 등은 방재관련 유관기관과 주민들을 상대로 반드시 사후검토를 실시하여 제공하고 있는 방재기상정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자연재해 피해정보 산출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최적 영상처리 및 임계치 결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Optimal Image Processing and Identifying Threshold Value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Damage Information from Natural Disasters)

  • 서정택;김계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1-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구축된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한 영상변화 탐지과정에서 보다 정확도 높은 풍수해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2008년 국지성 호우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경상북도 봉화군의 춘양면 일대를 선정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항공영상은 해상도 30cm의 피해 전 흑백영상과 40cm의 피해 후 칼라 영상을 사용하였다. 영상분석에 있어 전처리 단계로서 피해 전 후 영상의 해상도 차이나 시계열적인 차이로 인한 오차 보정을 위하여 노멀라이징과 대비강조, 이퀄라이징의 기법을 적용하여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피해규모는 피해 전 후 영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밝기 값을 1:1로 비교하는 방식으로 산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피해 전 후 화소 밝기의 차이 값을 설정하여 조사자가 원하는 피해규모를 추출할 수 있도록 임계치를 설정하였다. 최적의 영상처리 및 임계치 선정의 결과는 오차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해정보 추출 과정에서 동일한 제원을 갖는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신속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규모의 산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피해 전 후 다중밴드 영상을 추가로 확보하여 활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피해항목에 대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아가 토지피복분류도나 지적도 등 다양한 주제도를 영상변화 탐지에 활용한다면 정량적인 피해규모의 산출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난대응 구호주거 성능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Development of Post-disaster Refugees Housing Performance Index)

  • 남혜령;이원학;강수민;김성태;조영준;이병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44-754
    • /
    • 2017
  • 본 연구는 구호주거 성능 기준 및 개발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구호주거 성능지표 체계를 개발하고 지표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분석 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진행하였다. 구호주거 성능지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구호주거를 항구적 주택이 마련되기 전까지 일정 기간 사용되는 중장기 임시 거주 시설로 정의하고 안전성, 신속성, 재사용성, 거주성, 경제성을 주요 성능 요소로 도출하였고, 주요 성능 요소와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를 연계하여 계층화된 성능지표 체계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구호주거 성능지표 체계의 항목별 중요도를 계층적 분석 기법에 따라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요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 가중치 1-10 순위의 성능 기준과 각 범주별 1 순위의 성능 기준인 총 14 개의 성능 기준을 필수 성능 기준(반드시 충족), 그 외는 권장 성능 기준(선택적 충족)으로 분류하여 구호주거 개발의 모든 단계를 고려한 성능지표를 구축하였다. 추후 구호주거 성능지표의 완성으로 재난에 의해 발생하는 이재민의 안정적인 거주 보장과 빠른 일상복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