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ot Study on the Typhoon for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Application and Disaster Prevention

기상정보 활용 및 방재를 위한 태풍 사례 연구

  • 박종길 (인제대학교 환경공학부, 대기환경정보연구센터) ;
  • 정우식 (인제대학교 대학원 대기환경정보공학과) ;
  • 최효진 (인제대학교 대학원 대기환경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It is very difficult to forecast accurately a damage from the natural disaster which occurs frequently due to the climate change. When the significant weather event is forecast, it will be able to minimize a damage with the suitable prevention action. But 2000's our country meterological disaster damage is a several trillion wo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Japan Meterological Agency, television and newspaper have reported, information substance, transmission system, an ex post facto valuation about typhoon Nabi between september $5{\sim}7$ in 2005 and heavy rainfall in 1998 at Japan. Through the investigation, we want to present basic data order to rises the application effect of disaster prevention meterological information. We think KMA must present many information report to promote a people's understanding about the meterological information and the serious disaster situation. Also the disaster damage estimation model development is necessary, which forecasts the accurate damage scale due to the weather event, such as typhoon, heavy rainfall, strong wind. And also we think the K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related agency, television and newspaper must positive reports the contents which is suitable to disaster response phases and an ex post facto examination. Then it grasps the problem of disaster prevention meterological information and must improve effectively.

최근 기후변화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자연재해의 피해를 정확히 예상할 수는 없으나, 중대한 현상이 예상될 때 그에 맞는 적절한 예방활동을 통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2000년 들어 기상재해에 의한 피해가 수조원에 달하는 만큼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를 많이 입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5년 9월 $5{\sim}7$일 동안 한반도에 영향을 끼친 태풍 Nabi와 1998년 일본 4개 현(懸)에 큰 피해를 입힌 호우에 관하여, 기상청과 방송, 신문의 기상정보 발표 현황과 보도내용, 기상정보 전달체계, 사후 평가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방재기상정보의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대한 현상이 예상될 때는, 기상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기상청에서 보다 많은 보도자료를 발표해야 하며, 좀 더 정확한 피해 규모를 제시하기 위해서 국내 현황에 맞는 재해피해 예측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방송사와 신문사는 공공기관의 재해대응, 현상의 자세한 정보와 예측, 방재상 주의점, 피해내역 및 복구 등 시민들이 알고자 하는 내용을 재해대응 단계에 맞게 적극적으로 보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해종료 후에 기상청과 소방방재청, 방송사 등은 방재관련 유관기관과 주민들을 상대로 반드시 사후검토를 실시하여 제공하고 있는 방재기상정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부 (2003). 국가방재기상체계 최적화방안에 관한 연구. pp. VII
  2. 기상청 (2005). 보도자료 158, 159, 163, 167
  3. 기상청 (1987-2003) . 기상연보
  4. 김만재 (2005). 자연재난 보도의 특성 분석 : 태풍 루사의 사례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5(3). pp. 1-9
  5. 마산기상대, 2005, 기상정보(제 09-5호)
  6. 박종길, 문승의 (1989). 우리나라의 태풍에 의한 강수의 특징, 한국기상학회지, 25(2), pp. 45-55
  7. 박종길, 장은숙, 최효진 (2005a). 한반도에서 발생되는 기상재해, 한국환경과학회지 14(6), pp. 613-619 https://doi.org/10.5322/JES.2005.14.6.613
  8. 박종길, 장은숙, 최효진 (2005b). 경상남도 수자원재해관리를 위한 자연재해현황과 피해특성조사, 한국 환경과학회지 14(6), pp. 621-627 https://doi.org/10.5322/JES.2005.14.6.621
  9. 박종길, 정우식, 최효진 (2006). 기상정보 활용 및 방재를 위한 호우 사례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5(11), pp. 1003-1010 https://doi.org/10.5322/JES.2006.15.11.1003
  10. 소방방재청 (2005). 국가 재난관리 정보화 기본 계획(안) (2005-2009). pp. 113
  11. 소방방채청 (2006). www.nema.go.kr
  12. 한국언론재단 (2004). NHK의 재난보도 시스템, 일본 언론의 재난보도 현황에 관한 심포지엄, 2004. 6.23., http://www.kpf.or.kr, 세미나토론회
  13. 植松久芳, 白石品二(2006). 氣象情報 . 防災情報の利活用促進するために, 2006年度秋季大會豫 稿集, 日本氣象學會, pp. 200
  14. FEMA (2000). Effective Disaster Warnings, reported by the Working Group on Natural Disaster Information Systems, Subcommittee on Natural disaster Reduction
  15. Fischer, H. (1998). Response to Disaster : Fact Versus Fiction & Its Perpetuation The Sociology of Disaster.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Lanham. pp.37
  16. JMA (2000). Heavy Rainfalls in 1998-In Niigata, Tochigi and Fukushima, and Kochi Prefectures, Technical Report of the Japan Meteorological Agency, No 121. pp. 145-170
  17. WMO (2002). Reducing Vulnerability to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WMO -NO.936, Geneva, Switzerland, pp.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