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ic Compound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41초

Various Bioactivities of Two Polyphenolic Compounds from the Brown Alga Grateoupia elliptica

  • Kim, Eun-Sook;Kim, Chan-Sook;Lee, Bong-Ho;Choi, Byoung-Wook;Ryu, Geon-See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90.2-190.2
    • /
    • 2003
  • In the course of search for various bioactive compounds from marine algae, we foun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the brown alga G. elliptica.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ODS flash, gel-filtration on Sephadex LH-20, HPLC] of the BuOH layer of the methanolic extract afforded two known polyphenolic compounds, 6,6'-bieckol (1) and dieckol (2). Compound 1 showed acetylcholinesterase (AChE) and butyrylcholinesterase (BuChE) inhibitory activitie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DPPH (1,1-diphenyl-2-picryl-hydazyl) with IC$\_$50/ values of 91.2, 45.6 and 15.5 $\mu\textrm{g}$/$m\ell$, respectively. (omitted)

  • PDF

발아시간과 압출성형온도가 발아현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Time and Extrusion Temperature on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 김미환;;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36-642
    • /
    • 2007
  • 본 연구는 식미가 뛰어난 압출성형 발아현미 식품소재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원료 발아현미와 압출성형 발아현미의 물리적 특성, 페이스트 점도, 색도 및 항산화성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아는 24 hr, 48 hr 동안 $30^{\circ}C$에서 실시하였으며, 현미 및 24시간, 48시간 발아현미를 시료로 하였다. 쌍축 동방향 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수분함량 20%, 배럴온도는 $100^{\circ}C$$120^{\circ}C$로 조절하여 압출성형하였다. 압출성형물의 발아시간에 따른 팽화율은 배럴온도 $100^{\circ}C$에서는 증가, $120^{\circ}C$에서는 감소하였으며, 밀도는 $100^{\circ}C$에서 감소, $120^{\circ}C$에서 증가하여 팽화율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발아시간에 따른 파괴력은 배럴온도 $100^{\circ}C$에서는 증가하였으며, $120^{\circ}C$에서는 감소하였다. 페이스트 점도는 발아현미는 발아시간에 따라 페이스트 점도가 감소하였으나, 압출성형물은 발아시간에 관계없이 배럴온도 $100^{\circ}C$$120^{\circ}C$보다 약간 높은 페이스트 점도를 나타내었다. 색도의 명도는 압출성형물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갈색도는 배럴온도 $100^{\circ}C$에서는 24 hr 발아현미가, $120^{\circ}C$에서는 48 hr 발아현미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gamma$-Oryzanol의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였으며, 압출성형에서는 배럴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ic compound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압출성형물에서는 발아시간이 증가하고 배럴 온도가 증가할수록 polyphenolic compound 함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 생약재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by Fermented Products of Some Medicinal Plants)

  • 차재영;양현주;정재준;서원석;박준석;옥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40-947
    • /
    • 2010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한방 생약재의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40종의 한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시켜 얻은 발효 한방액의 phenolics, flavonoids, minerals,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 함량과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 하였다.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물에서 Corydalis turtschaminovill 0.24%~Syringa velutina 11.42% (건물기준) 범위 였으며, 발효 한방액에서는 Poria cocos 0.18%~S. velutina 12.27% 범위였다. 한방 생약재 추출물의 코직산 함량은 Poria cocos Sclerotium 0.02~S. velutina 9.67 mM 범위였으며, 발효액에서는 P. cocos 0.33~S. velutina 10.32 mM 범위였다. 특히 Syringa velutina은 높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과 코직산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추출물 보다는 발효액에서 더 높았다. 높은 항산화 활성(>60%)은 A. sessiliflorum, Citrus nobillis 및 Angelica gigas의 추출물과 A. sessiliflorum의 발효액에서 다른 한방 생약재 보다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의 높은 저해 활성(>50%)은 Morus alba, Glycyrrhiza glabra 및 Rubus coreanus 추출물과 G. glabra, Cnidium officinale 및 S. velutina 발효액에서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 40종의 한방 생약재 중에서 G. glabra, C. officinale 및 S. velutina 3종은 발효에 의해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코직산이 증가함으로서 이를 활용한 기능성 미백 화장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Butein의 Jurkat T 림포마 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괴사 효과 (Butein-Induced Apoptosis in Human T Lymphoma Jurkat Cells)

  • 김나영
    • 생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0-154
    • /
    • 2008
  • Butein is a one of polyphenolic compound widely available in numerous plants. It has broad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hich contributed to its protective effects against cancer. Evidences that butein influence proliferation of tumor cells make it important to determine how butein affects cell death of various cancers. In this study, we show that butein, a phenolic compound, induces apoptosis in human T lymphoma jurkat cells. We found that treatment of cells with butein increased apoptosis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as determined by staining cells with Annexin V and 7AAD. There was no significant apoptotic cell death when normal lymphocytes and monocytes from healthy donor were treated with butein. We also found caspase-3 activity was increased during butein-induced apoptosis. The buteininduced apoptotic cell death was blocked by the treatment of cells with caspase-3 inhibit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utein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an effective strategy against cancer with the advantage of being widely avalible.

솔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 유지현;차재영;정영기;정경태;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63-867
    • /
    • 2004
  • 식물성 성분 중에서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솔잎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DPPH법, thiocyanate법, TBA법 및 microsome 생 체 막 지 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TBARS법으로 측정 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61%이었으며, DPPH 측정법에서는 짙은 자색의 탈색되는 정도로 나타내는 전자 공여능이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농도에서 BHT와 비슷한 수준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간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67.7%)>0.05% (63.1%)>0.01%(28.2%) 순으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한 thiocyanate법에서는 0.01%, 0.05%, 0.1%의 농도에서 모두 반응 7일째까지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TBA법에서는 반응 6일째까지 는 0.1%>0.05%>0.01%의 순으로 농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솔잎 수용성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Chlorogenic Acid의 면역보조제 효과 (Immunoadjuvant Activity of Chlorogenic Acid)

  • 한용문
    • 약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94-499
    • /
    • 2010
  • We have been focussing on discovery of natural compounds that have immunoregulatory activities for many year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f chlorogenic acid (CRA), a polyphenolic compound, has an immunoadjuvant activity. Prior to examining the immunoadjuvant activity, effect of CRA on proliferation of T- or B-lymphocyte was determined. Results showed that CRA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those lymphocytes in dose-dependant manner (P<0.05), and the proliferation enhancement by CRA was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to B-cells than to T-cell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was tested with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Candida albicans cell wall (CACW) as antigenic sources if CRA has an immunoadjuvant activity. In experiments, BSA alone or a mixture of BSA plus CRA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mice (BALB/c strain). For a negative control, mice were given only diluent (DPBS) by the same route. In other experiment, CACW was tested by the same way as did with BSA. Three weeks after the first immunization these animals were boosted. Antisera collected from the mice one week after the booster were analyzed by ELISA. Results displayed that the induction of anti-BSA antibody was increased in mice that received the mixture of BSA and CRA as compared to anti-BSA induction in BSA only-given mice groups (P<0.05). In case of CACW, a similar observation as did with BSA was made, resulting in that there was app. 40% increased production of the anti-CACW antiserum from the combination (CACW plus CRA)-received mice as compared to antiserum induction from CACW alone-given animals. Taken all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CRA has an ability of enhancing antibody production regardless of nature of antigenic sources. Presumably, activation of B-cell proliferation by CRA ma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mmunoadjuvant activity of the polyphenolic compound.

항산화 활성을 지닌 귤피 분말을 이용한 초콜릿의 동서 융복합적 예방식품개발 연구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Oriental and Western Convergence Prevention Food of Tangerine Peel Powdered Chocolate with Antioxidant Activity)

  • 박성혜;차경옥;박해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531-540
    • /
    • 2015
  • 귤피가 비습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지 수 있어 과도한 단맛의 식품 섭취에 의해 증가되는 비습을 제거하여 소화기능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초콜릿의 향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초콜릿의 기능성과 귤피의 기능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리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초콜릿을 개발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귤피가루를 첨가한 초콜릿의 일반성분과 무기질 조성, 물리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약식 동원의 개념과 질병 예방의 중요성 및 현대인의 생활형태 등을 고려할 때 올바른 식생활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오감을 고려한 관능적 특징을 가지고 경제적이면서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의 개발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한방 재료를 이용하여 그 기능성을 전통적인 효능에 의한 접근이 이루어져야하며 그 기능성에 관한 동서 융복합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함이다.

한약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 박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31
    • /
    • 2002
  • 한약재를 기능성 식품에 이용하기 위하여 한약재의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한약방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국화(Chrysanthemum morrifolium Ramat), 구기자(Lycium chinensis Mill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대추(Zizyphus jujuba Miller),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DPPH법, SOD유사활성 측정법, thiocyanate법 및 TBARS법으로 측정하였다. 에탄을 추출물에 비하여 물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기자 물 추출물의 함량이 1.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 중 국화는 63.0% 그리고 에탄을 추출물 중 감초가 63.8%으로 BHT의 전자공여능(49.7%)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은 물 추출물 중 황기에서 41.8%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으며 에탄을 추출물 중 구기자에 38.2%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다. 물 추출물 중 감초와 대추가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당귀와 국화의 TBARS 값이 대조구에 비하여 5.0이상으로 항산화 활성이 BHT의 항산화 활성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Thiocyanate법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국화, 구기자, 감초, 작약의 물 추출물의 유도기간이 8일까지 연장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감초와 국화의 유도기간이 8일가지 연장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황기, 국화, 구기자, 감초, 당귀, 대추, 작약, 천궁의 물과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 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적송잎 추출물의 proanthocyanidin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검증을 통한 추출공정 확립 (Establishment of the Extraction Process by Evaluation of Proanthocyanidin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 이옥희;김기영;장민경;유기환;유병홍;김성구;김미향;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92-9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솔잎추출제품 제조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추출공정 확립을 위하여 두 가지 추출법을 조합한 추출법에 의해 얻어진 솔잎 추출물들의 proanthocyanidin 성분, 총 polyphenolic 함량 및 이들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기존의 단독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들과의 비교를 행하였다.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과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의 총 폴리페놀성 성분의 농도는 각각 225.4 및 116.6mg/g으로 타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proanthocyanidin농도 또한 각각 9.9 and 3.6 mg/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송잎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폐놀성 성분에 대한 proanthocyanidin의 함량을 계산한 결과,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 및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의 경우 각각 4.3%와 3.9%로 열수 추출물(3.6%)보다 높은 proanthocyanidin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으로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 및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의 항산화 활성($IC_{50}$)을 측정한 결과 각각 41.5 및 $50.7\;{\mu}g/m$로 타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tiocyanate법과 TBA법으로 측정한 linolic acid system에 의한 항산화 활성의 경우도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과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추출법을 조합한 추출물인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과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은 단독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들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추출공정은 식품소재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시판되는 일부 다류 제품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 최용민;김명희;신정진;박주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23-72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차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차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ABTS 와 DPPH radica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 성분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비타민 C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홍차, 허브티 I, 녹차 I, 허브티 II, 녹차 II, 한차 I에서 101.51~62.60 mg범위로 다른 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허브티 II, 한차 I, 홍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총 비타민 C의 경우 한차 I이 15.78 mg을 나타낸 제품을 제외 하고 다른 것들은 모두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난 차는 주로 녹차류와 홍차였으며 이들의 항산화력에 기여하는 물질이 주로 비타민 C나 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폴리페놀성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