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pathogenic bacteria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초

복합기능성 Bacillus sp. GH1-13 균주의 특징 (Characterization of Multifunctional Bacillus sp. GH1-13)

  • 김상윤;상미경;원항연;전영아;류재환;송재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9-196
    • /
    • 2016
  • 바실러스는 토양 및 반추동물의 소화기관과 같은 다양한 곳에서 분리되고 있으며, 작물의 생육 촉진과 병방제를 위한 미생물 재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바실러스 GH1-13 균주는 전남 완도의 간척지 논에서 분리되었으며, 16S rRNA 유전자와 gyrB 유전자를 이용하여 계통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Bacillus velezensis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GH1-13 균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생육촉진에 관련된 IAA를 생성할 뿐 아니라 벼 뿌리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벼의 주요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할 뿐 아니라 작물의 병원균인 다양한 곰팡이의 생육을 저해하였다. 더불어 식물병원 진균 및 세균의 생육 억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bacillomycin, bacilycin, fengycin, iturin, surfactin을 생성하는 생합성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GH1-13균주가 작물의 생육촉진과 병 방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복합기능성 미생물제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항진균활성 violacein 색소를 생산하는 Collimonas sp. DEC-B5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violacein producing bacterium Collimonas sp. DEC-B5)

  • 이예림;;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12-219
    • /
    • 2016
  • 식물 근권 토양으로부터 색소생성 균주 106균주를 수집하여 색소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로부터 노란색(33개), 주황색(12개), 분홍색, 빨간색, 갈색 그리고 보라색 총 49개의 세균색소를 추출하였다.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능이 우수한 색소를 선발하기 위하여 고추점무늬병원균(Xanthomonas axonopodis), 흑마병원균(Xanthomonas campestris)과 딸기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 고추탄저병원균(Colletotrichum acutatum), 그리고 시들음병원균(Fusarium oxysporum)을 대상으로 항균활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색소생성 Chryseobacterium sp. RBR9 균주가 생산하는 노란색 색소와 Methylobacterium sp. RI13 균주가 생산하는 빨간색 색소는 X. axonopodis와 X. campestris에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차나무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Collimonas sp. DEC-B5가 생산하는 보라색 색소는 항세균 활성과 더불어 B. cinerea와 Colletotrichum acutatum에 항진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보라색 색소는 최소저해 농도 $20{\mu}M$에서 B. cinerea를 65% 이상 생육 저해하였다. 항진균활성 보라색 색소를 HPLC 분석한 결과, violacein (91.6%)와 deoxyviolacein(8.4%)으로 동정되었다. 보라색 색소 violacein의 생산량은 SCB 배지에서 $43.2{\mu}M$이었고 D-mannitol 1.5%, yeast extract 0.2%를 첨가한 경우 $431.6{\mu}M$로 약 10배 높은 색소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Collimonas sp. DEC-B5가 생산하는 violacein 색소는 딸기잿빛곰팡이병원균 방제제로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Cones of Pinus koraiensis

  • Lee, Jeong-Ho;Yang, Hye-Young;Lee, Hong-Sub;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497-502
    • /
    • 2008
  • The essential oil from the cones of Pinus koraiensis was prepared after removing the seed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Hydrodistillation of the P. koraiensis cones yielded 1.07% (v/w) of essential oil, which was almost three times the amount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needles of the same plant. Moreover,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oil against the growth of Gram-positiv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were evaluated using the agar disc diffusion method and broth microdilution method. Eighty-seven components, comprising about 96.8% of the total oil, were identified. The most abundant oil components were limonene (27.90%), ${\alpha}$-pinene (23.89%), ${\beta}$-pinene (12.02%), 3-carene(4.95%), ${\beta}$-myrcene (4.53%), isolongifolene (3.35%), (-)-bornyl acetate (2.02%), caryophyllene (1.71%), and camphene (1.54%). The essential oil was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ies, especially against pathogenic fungal strains such as Candida glabrata YFCC 062 and Cryptococcus neoformans B 42419.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essential oil from the cones of Pinus koraiensi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nontoxic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disinfectant.

버섯재배 배지재료용 수입 농업부산물에서의 세균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bacteria in the agricultural by-products imported for the use as media materials in mushroom cultivation)

  • 김준영;김수산;김성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10-419
    • /
    • 2018
  • 국내 버섯 생산용 배지재료 용도로 수입되는 밀짚, 피트모스, 비트펄프, 면실피, 면실박 등 농업부산물에 대한 안전성 자료 구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에 대한 조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년 동안 호주, 캐나다, 중국, 이집트, 독일, 인도,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한 농업 부산물인 밀짚, 피트모스, 면실박, 면실피, 비트펄프를 대상으로 인체, 식물, 버섯에 유해가능성 있는 세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된 수입된 농업부산물에는 $1.35{\times}10^2$에서 $8.34{\times}10^6CFU/g$ 농도 범위로 세균이 존재하였다. 세균을 분리하여 16S rDNA를 분석한 결과 총 19속 45종의 세균이 동정되었다. Basillus 속 세균이 우점으로 존재 하였고 그 다음으로 Paenibacillus 속 세균이 많이 존재하였다. 종 수준에서는 Firmicutes,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그룹에 속하는 순으로 다양성이 존재하였다. 농업부산물 별로 볼 때는 밀짚과 피트모스에서 더 다양한 속의 세균들이 존재하였다. 이 중 인체 유해성이 보고된 세균은 5속 6종으로서 Enterobacter asburiae, Enterobacter ludwigii,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Pseudomonas monteilii, Bacillus anthracis, Cellulosimicrobium funkei가 존재하였다. 놀랍게도 인체병원균이면서 동시에 식물 병원균으로 보고된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 그리고 식물병원균 Bacillus altitudinis가 존재하였다.또한 곤충 병원성의 Lysinibacillus sphaericus와 버섯 병원성의 Ochrobactrum pseudogrignonense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버섯재배 배지용 농업부산물에 여러 종류의 잠재성 있는 병원성 세균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입되고 있는 농업부산물이 버섯생산에 안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위생 검사와 관리가 시급히 필요함을 시사한다.

식물 생장촉진 미생물의 외부 유전자 도입과 그 접종효과 (Transfer of Bacillus thuringiensis toxin gene into Bacillus subtilis and its inoculation effects)

  • 이영환;김광식;김용웅;김영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61-366
    • /
    • 1992
  • 토양전염 병원성 사상균인 Fusarium oxyporum, Rhizoctonica solani에 대하여 길항력을 갖는 균주 Bacillus subtilis를 근권 토양에서 분리하여 동정한 후 이들 균주의 사상균에 대한 길항력, 발아율 및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 균주의 chromosome에 Bacillus thuringiensis(BT) 독소유전자를 삽입하여 균주의 형질변환을 유도하였다. BT 독소 유전자는 southern blotting에 의하여 확인되었으나 이의 최종 생성물인 독소 단백질은 SDS-PAGE에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형질변환된 균주의 생리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균주와 차이는 없었으며, BT 독소유전자가 삽입된 균주는 선충의 유충에 대한 생물학적 검정에서는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누에에 있어서는 1X 균체 희석액에서 10내지 20% 정도의 치사율이 관찰되었다. 모균주와 BT 독소유전자에 의하여 형질변환된 균주 모두 발아율 및 작물의 생육을 향상시켰다.

  • PDF

꿀풀 추출물의 유산균에 대한 생육과 항산화 활성 및 어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on Lactic Acid Bacteria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Fish Pathogenic Bacteria By Prunella vulgaris var. aleutica Fernald Extracts)

  • 문영건;여인규;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47-1554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채집된 꿀풀을 꽃과 잎 부위별로 나누어 각 부위를 열수 추출하여 각 추출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E. faecium KCCM 12118, L. rhamnosus KCCM 32826, L. plantarum KCCM 11542, P. pentosaceus KCCM 40464 균종에 대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배양액을 가지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그리고 어류질병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꿀풀의 꽃과 잎 추출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종의 lactic acid bacteria를 72시간 배양하면서 생육활성을 보았을 때 10%를 첨가하여 48시간 배양 하였을 때가 가장 좋은 생육조건임을 알 수가 있었으며, 또한 lactic acid bacteria 생육 시 꿀풀 꽃과 잎 추출액 첨가가 lactic acid bacteria 증식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꿀풀 꽃 추출액을 10%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합성 항산화제인 BHA(90%)와 BHT(81%)의 EDA와 비교하였을 때 BHA와 유사하거나 조금 높은 활성을 BHT보다는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5% 꿀풀 각 부위의 추출액을 첨가한 배양액에서부터 BHT보다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1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는 BHA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Burkholderia Diversity and Versatility: An Inventory of the Extracellular Products

  • Vial, Ludovic;Groleau, Marie-Christine;Dekimpe, Valerie;Deziel, Eric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9호
    • /
    • pp.1407-1429
    • /
    • 2007
  • The Burkholderia genus consists of over 40 Gram-negative, ${\beta}$-proteobacteria species that occupy remarkably diverse ecological niches. This genus contains species pathogenic to human, animals, and plants, as well as species involved in promoting plant growth and biodegradation of pollutants. This is largely explained by the extraordinary versatility of Burkholderia, as reflected by the remarkable diversity of extracellular products released by these bacteria. We exhaustively surveyed the extracellular enzymes, siderophores, toxins, antimicrobial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the members of this very diverse genus. Available information on regulation, especially quorum sensing mechanisms, and secretion is highlighted.

다제내성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새로운 항생제인 항균 펩타이드 (Antimicrobial Peptide as a Novel Antibiotic for Multi-Drug Resistance "Super-bacteria")

  • 박성철;나재운
    • 공업화학
    • /
    • 제23권5호
    • /
    • pp.429-432
    • /
    • 2012
  • 최근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항생제들을 찾기 위한 노력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미생물의 외부공격에 대해 모든 생명체들은 방어물질을 분비하거나 내재하고 있는 데 그 중 하나가 항균 펩타이드이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새로운 차세대 항생제로써 인식 되어진다. 이에 본 총설에서는 항균 펩타이드의 미생물에 대한 항생활성, 작용기작과 개발현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향유 지상부의 정유의 수종 항생제 내성 병원성 균주에 대한 억제효과 (Study on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from Elsholtzia ciliata against Some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Pathogenic Bacteria)

  • 신승원
    • 약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2-125
    • /
    • 2010
  • The essential oil fraction was extracted from the aerial parts of the plant by steam distillation method and its composition was analyzed by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43 compounds. Dehydroelsholtzia ketone (56.81%) and elsholtzia ketone (30.05%) were identified as the predominant components of this oil.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were assessed by micro-dilution tests against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The oil inhibited most of the tested strains significantly resulting MICs (minimum inhibiting concentrations) between 2 mg/ml and >16 mg/ml. In most cases of this study Streptococcus pneumoniae and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higher sensitivity to this oil than Salmonella strains.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로서의 항균 펩타이드 (Antimicrobial Peptides as Natural Antibiotic Materials)

  • 차연경;김영수;최유성
    • KSBB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9-15
    • /
    • 2012
  • Antimicrobial peptid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organisms as a defense system against infection. The peptides are lethal towards bacteria and fungi, however have minimal toxicity in mammalian and plant cells. In this aspect, it is considered that antimicrobial peptides are new alternative materials for defensing against microbial infection. Here, we describe overall characteristics of antimicrobial peptides based on the mechanism of action, classification of the peptides, report detection/screening methods and chemical/biological production. It is expected that understanding of innate immune system based on antimicrobial peptides tends to develop novel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which might be applied for defens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resistant to conventional antib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