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sterol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9초

광평옥과 다청옥의 수이삭과 수염에서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 발현 분석 (Expression Analysis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s of Tassel and Silks in Gwangpyeongok and Dacheongok)

  • 고영삼;배환희;최유찬;손재한;하준영;신성휴;정태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240-247
    • /
    • 2021
  • 본 실험은 광평옥과 다청옥 품종의 수이삭과 수염을 대상으로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분자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향후 기능성 옥수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1. 광평옥에서는 수이삭과 수염에서 모두 안토시아닌이 형성되지 않은 반면, 다청옥에서는 모두 형성되었다. 전체 안토시아닌 함량은 수이삭과 수염에서 모두 다청옥이 광평옥에 비해 30배 정도 높았다. 또한, 안토시아닌 성분은 다청옥의 수이삭에서 C-3-G만 측정되었고, 수염에서는 각각 C-3-G는 45.2배, Pg-3-G는 27.3배, M-3-G는 37.6배 광평옥에 비해 더 검출되었다. 2. 광평옥의 수이삭에서 F3'H, DFR, GST 유전자가 발현이 감소하였고, 수염에서는 F3'H와 DFR 유전자가 발현이 감소하였다. 반대로 다청옥에서는 수염에서 DFR 유전자만 발현이 감소되었고, 나머지 유전자들은 정상적으로 발현되었다. 또한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조절인자는 광평옥 수이삭에서는 P1이 수염에서는 R1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3. 광평옥의 수이삭과 수염에서 다청옥에 비해 각각 linoleic acid (C18:2)가 6.6%, 10.9% 감소하고, linolenic acid (18:3)는 8.5%, 8.5% 증가하였다. 또한, 광평옥의 수염에서는 palmitic acid (C16:0)가 4.1% 증가하고, oleic acid (C18:1)는 다청옥에 비해 2.1% 감소하였다. 그러나 stearic acid (18:0)는 수이삭과 수염에서 성분 변화가 전혀 없었다. 그리고 광평옥의 수이삭과 수염의 전체 지방산 함량은 광평옥에 비해 각각 10.3%, 30.4% 증가하였고, 각 지방산 성분과 함량 분석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phytosterol 성분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β-Sitosterol에 의한 인체 대장암 HCT116 세포의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β-Sitosterol Induced Growth Inhibition is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of Cdk Inhibitor p21WAF1/CIP1 in Human Colon Cancer Cells)

  • 최영현;김영애;박철;최병태;이원호;황경미;정근옥;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
    • /
    • 2004
  • $\beta$-Sitosterol은 과일과 야채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고등식물에 존재하는 중요한 phytosterol의 하나로서, 인체 암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ta$-sitosterol의 암세포 증식억제 기전의 해석을 시도하기 위하여 인체 대장암세포 HCT116의 증식에 미치는 $\beta$-sitostero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beta$-Sitosterol의 처리로 HCT116 암세포의 증식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7.5 $\mu$M 이상 처리에서는 급격한 성장억제 효과가 있었다. 또한 5.0 $\mu$M 처리군에서부터 apoptotic body의 형성이 관찰되었고, $\beta$-catenin 단백질의 분해 현상과 연관성이 있었다. 그리고 $\beta$-sitosterol이 처리된 암세포에서는 종양억제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이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모두 증가되었다. 본 결과는 그동안 연구가 거의 진행되어져 있지 않았던 $\beta$-sitosterol에 의한 암세포주기 조절 해석을 위한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달맞이꽃 종자유와 미강유로부터 효소적 합성한 재구성 지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Evening Primrose Seeds Oil and Rice Bran Oil)

  • 김효진;이경수;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56-1164
    • /
    • 2010
  • 미강유(RBO)와 달맞이꽃 종자유(EPO)를 기질로 한 다양한 몰비율(1:3, 1:4, 1:5)을 가지고 효소촉매를 이용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gamma$-linolenic acid(C18:3n-6)가 각각 74.9%와 8.1%를 차지하였다. 비율별로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을 살펴보면 oleic acid, linoleic acid, $\gamma$-linolenic acid가 전체 지방산 조성의 88% 이상을 차지하였다. 합성한 재구성 지질은 $\gamma$-linolenic acid를 각각 7.2%(1:3)와 7.9%(1:4), 8.3%(1:5)로 함유하였다. 반응에 사용된 기질 및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TAG 조성을 reversed-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강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한 peak인 LLL(trilinolein) peak는 감소하였고, 새로운 peak의 형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구성 지질 및 반응에 사용된 미강유와 달맞이꽃 종자유의 $\alpha$-, $\gamma$-, $\delta$-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미강유는 $\alpha$-tocopherol과 $\gamma$-tocopherol이 각각 7.60, 2.11(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elta$-tocoph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달맞이꽃 종자유는 $\alpha$-tocopherol 및 $\gamma$-tocopherol은 각각 13.36과 10.82(mg/100 g)를 나타내었다. Phytosterol 함량은 달맞이꽃 종자유가 744.4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미강유는 606.64 mg/100 g이었다. 한편, scale-up한 재구성 지질의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반응하기 전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 함량이 3시간 반응 후 감소하였다. 이로써 필수지방산인 $\gamma$-linolen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산림자원에서 추출한 유지자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검토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pids Extracted from Forest Resources)

  • 김미소;박준형;임호정;김다솜;김회성;이경태;박용배;신의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9-5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림자원에서 추출한 유지자원의 이용에 대한 잠재력을 확인하고자 지용성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영양성분의 경우 높은 불포화 지방의 비율(>80%)을 보였고, 지용성 비타민인 tocopherols과 식물성 스테롤인 phytosterol의 다양한 함량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화학적인 특성을 볼 때 1차 산화생성물인 산가와 과산화물가의 값은 안정적인 값이었으며, 2차 산화생성물의 지표인 p-anisidine value의 값을 확인하였다. 갈변도와 색도의 경우 유지 자체의 색도를 포함한 값으로 인해 신선도를 판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색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적용 분야를 적용할 수 있는 근거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산화안정성의 지표인 산소유도기간에서도 불포화지방산과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T의 함량에 따른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인 결과를 산림유지 자원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다고 판단된다.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를 이용한 저트랜스 유지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Low Trans Fats Using Rice Bran Oil, Palm Stearin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70-478
    • /
    • 2009
  •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하여 저트랜스 유지를 합성하였고, 합성 시 Thermomyces lanuginose로부터 획득된 TLIM 효소를 이용하였다. 반응 기질의 비율에 따라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solid fat content(SFC)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각 온도에 해당하는 SF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팜스테아린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SFC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SC를 통한 흡열 및 발열 곡선 분석결과, 팜스테아린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피크가 높은 온도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트랜스 유지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palmitic acid(C16: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가 주요 지방산들로써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총 트랜스지방산은 비율별로 0.5 area%의 수치를 보이며, 1% 미만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Triacylglycerol (TAG) 조성을 reverse-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TAG 조성은 OOL, PLO, PLP, OOO, POO, POP, POS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그 중 PLO와 POO 및 POP가 전체 조성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한편, 여러 비율별로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총 tocopherol은 $6.94{\sim}11.83$ mg/100 g의 함량을 보였고, oryzanol은 $0.18{\sim}0.49$ mg/100 g의 함량을 보였으며, phytosterol 함량은 전체적으로 $182.48{\sim}269.07$ mg/100 g 사이의 다양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들기름과 미강유 혼합 식용유의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및 식물성 스테롤 및 산화안전성 측정 (Fatty Acid Composition, Contents of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and Oxidative Stability of Mixed Edible Oil of Perilla Seed and Rice Bran Oil)

  • 이미진;조문구;오석흥;오찬호;최동성;우자원;박기홍;정문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5
    • /
    • 2014
  • 들기름 및 미강유를 베이스로 개발한 혼합 식용유는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렌산 함량이 약 20% 정도로 매우 높다. 이는 기존의 일반 식용유 중 오메가-3 지방 함량이 매우 높은 콩기름과 카놀라유의 리놀렌산 함량이 각각 6% 및 10%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식용유에 비하여 새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2~3배 높은 비율로 오메가-3 지방산을 제공할 수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부족한 현대인의 식단에서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 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토코페롤 함량도 약 46.77 mg/100 g oil 정도인데, 가장 주목할 일은 토코페롤 동족류 중 비타민 E의 활성이 가장 강한 알파-토코페롤(31.71 mg/100 g oil)이 가장 많이 존재하여, 총 토코페롤의 64%를 차지하고 있어서 비타민 E로서의 기능이 높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이 알려진 파이토스테롤 함량이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에 약 7,200 ppm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식용유의 3,000 ppm의 약 2.3배에 달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일반적인 식용유인 콩기름과 거의 유사한 산화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일반 들기름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산화안정성이 확보되었다.

β-Sitosterol Contributes in the Resistance to Invasion and Survival of Brucella abortus 544 within RAW264.7 Cells, and Cytokine Production with Reduced Susceptibility to Infection in BALB/c Mice

  • Reyes, Alisha Wehdnesday Bernardo;Arayan, Lauren Togonon;Huy, Tran Xuan Ngoc;Vu, Son Hai;Min, Wongi;Hur, Jin;Kim,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482-489
    • /
    • 2020
  • We previously identified β-sitosterol (BS) as one of the most abundant compounds found in Korean red ginseng oil. BS is a widely prevalent vegetable-derived phytosterol with many known health benefits. Here,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BS against Brucella (B.) abortus infection. BS showed no effect on bacterial growth but attenuated internalization, intracellular survival and MAPKs-linked intracellular signaling in RAW264.7 cells. BS treatment in cells is also associated with increased nitrite concentration during infection at 24 h. Slightly enhanced resistance to B. abortus infection was observed in mice orally given BS, which could be mediated by 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aken together, our study demonstrates the contribution of BS treatment against B. abortus infection although further investigation is encouraged to maximize its beneficial effects against intracellular infection.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UDP-Glucose:Sterol 3-O-Glycosyltransferase from Micromonospora rhodorangea ATCC 31603 and Enzymatic Biosynthesis of Sterol-3-O-β-Glucosides

  • Hoang, Nguyen Huu;Hong, Sung-Yong;Huong, Nguyen Lan;Park, Je 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477-482
    • /
    • 2016
  • A uridine diphosphate-glucose:sterol glycosyltransferase-encoding gene was isolated and cloned from the established fosmid library of Micromonospora rhodorangea ATCC 27932 that usually produces the aminoglycoside antibiotic geneticin. The gene consists of 1,185 base pairs and encodes a 41.4 kDa protein, which was heterologously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DE3). In silico analyses of the deduced gene product suggested that it is a member of the family 1 glycosyltransferases. The recombinant protein MrSGT was able to catalyze the transfer of a glucosyl moiety onto the C-3 hydroxy function in sterols (β-sitosterol, campesterol, and cholesterol), resulting in the corresponding steryl glucosides (β-sitosterol-3-O-β-ᴅ-glucoside, campesterol-3-O-β-ᴅ-glucoside, and cholesterol-3-O-β-ᴅ-glucoside). This enzyme prefers phytosterols to cholesterol, and also shows substrate flexibility to some extent, in that it could recognize a number of acceptor substrates.

홍화유 Tocopherol 분석, Phytosterol 추출 최적화 및 CLA를 함유한 재구성지질 합성

  • 박래균;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4.1-104
    • /
    • 2003
  • 홍화유를 35$^{\circ}C$, 8$0^{\circ}C$ 추출조건 온도에서 각각 1, 3, 6시간 추출하여 HPLC 사용하여 $\alpha$,${\gamma}$,$\delta$-tocopherol 정량하였다. 정량결과 $\alpha$-tocopherol 함량이 ${\gamma}$-tocopherol 함량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delta$-tocoph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총 tocopherol 함량은 35$^{\circ}C$ 추출조건에서 보다 8$0^{\circ}C$ 추출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8$0^{\circ}C$ 6시간 추출조건에서 0.23%라는 함량을 나타났다. 또한 반응표면분석에 의하여 홍화유 추출조건에 따른 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 및 total sterol의 추출 최적화를 모니터링하였으며, 추출온도(35~75$^{\circ}C$, X$_1$), 추출시간(1~11시간, X$_2$), 시료의 전처리 가공 온도(60~10$0^{\circ}C$, X$_3$)를 변수로 한 중심합성계획으로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추출온도, 추출시간 및 시료의 전처리 가공 온도가 각각 54.69$^{\circ}C$, 4.02시간, 98.37$^{\circ}C$ 이었을 때 campesterol은 0.3852% 추출율을 보였으나 stigmasterol, $\beta$-sitosterol 및 total sterol 반응표면분석 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한편, 추출된 홍화유와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를 1:3 ㏖ 비율로 혼합한 후 고정화효소인 IM60 lipased와 1, 2, 3, 6, 24시간 동안 합성하여 재구성지질을 생성하고 GC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총 CLA의 함량은 각각 2.134%, 6.524%, 8.606%, 21.590%, 31.791%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nges in Functional Constituents of Grape (Vilis vinifera) Seed by Different Heat Pretreatments

  • Lee, Ki-Teak;Lee, Jun-Young;Kwon, Yun-Ju;Yu, Feng;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44-149
    • /
    • 2004
  • Changes in functional constituents of grape (Vitis vinifera) seeds prepared by three different heat pretreatment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non-treated grape seed. The recovery of grape seed oils was generally increased by roasting, steaming and microwave processes, although the recovery of specific constituents varied among three heat pretreatments. The recovery of MeOH extracts of the seeds increased following the roasting process, whereas that of MeOH extracts decreased gradually with steaming and microwave treatments. Levels of four catechins in grape seeds: (+)-catechin, procyanidin B$_2$, (-)-epicatechin, and (-)-epicatechin gallate,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roasting and steaming time, but were unaffected by microwave treatment. During the three different heat pretreatments, levels and compositions of fatty acid did not change, whereas those of phytosterol compositions decreased grea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ild heat pretreatment, controlled for temperature and time, is needed to prevent a considerable loss in the level of valuable functional components in grape s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