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Creativit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3초

귀추전략을 이용한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 김희연;강버들;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492-150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n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21 students(10 boys, 11 girls) from K Elementary School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y were asked for questionnaires developed by researchers after 20 times of reframed science lessons using abductive strateg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we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interest(ave.=4.19) on science.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n questionnaires asking utility of the classes showed the students' positive reactions to science lessons using abductive strategies. It was thought that the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components of utility, i.e., overall science(4.48), generating hypothesis(4.19), conceptual understanding(4.19), and meta-cognition(3.76). Third,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improvement on the science classes. The components of improvement, i.e., creativity(4.19), concentration(4.29), transfer(3.76), comprehension(4.29) were perceived positively by students. Fourth,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sciences classes showed ave.=3.71. Last, students expressed satisfaction on the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and experienced a change of thinking about attitude toward science.

Social Media Marketing and Business Performance of MSM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SYAIFULLAH, Jahid;SYAIFUDIN, Makmun;SUKENDAR, Markus Utomo;JUNAEDI, Junaed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523-531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media marketing on the performance of micr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SM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research method uses a quantitative approach and the analytical tool used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 The sampling technique used purposive sampling and the sample in this study was MSMEs who use social media for marketing. The social media used are Facebook, Instagram, and Whatsapp. The number of samples in this study was 254 MSMEs. Data collection used online questionnaire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use of social media marketing is influenced by compati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use of social media for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MSMEs, especially in increasing sales, customer relationships, productivity, and creativity. This means that the better the management of social media for marketing, the better the performance of MSMEs will be.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to this research is built on the TAM and UTAUT theories and their impact on social media marketing on MSMEs in developing countries that are liv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ing Types and Creativity Level of Scientific Humors Made by General and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for Educational Benefits of Making Scientific Humor)

  • 권진희;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15-42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이 만든 과학 유머의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의 일반 학생 42명과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학생 38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학생들이 만든 과학 유머의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유머의 유형의 경우 생성 형태와 기술 형태 등의 '형태' 측면과 교육과정 포함 여부, 과학 학문 영역, 과학 지식 활용 유형, 상황의 작위성 등의 '내용' 측면의 생성 비율에서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들이 더 유창하고 융통적이며 독창적인 과학 유머를 만들었으나, 과학 유머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들이 유사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들이 과학 유머 만들기의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진취성,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지향성이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oac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Orientation on Work Commitment)

  • 이상길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167-175
    • /
    • 2018
  •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이상길과 하규수(2017)의 연구를 토대로 직장인과 자영업인의 진취성, 지각된 유용성, 학습지향성이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업무몰입은 조직행동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업무몰입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과 생산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었고, 일에 대한 몰입적 태도는 개인의 경쟁력 향상은 물론, 조직성과 향상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회사원, 전문직 및 자영업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178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진취성과 학습지향성이 업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업체 조직의 협력역량 요인에 대한 팀장과 팀원들의 인식을 통한 타당화 연구 (Validation Through Perceptions between Leader and Team Members on Collaborative Competencies in Corporate Organization)

  • 이유나;하유란;이상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284-295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components of practical collaborative competencie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corporate personnel on practical collaborative competencies. The study reviewed the theories of collaborative intelligence, collective intelligence, cooperative learning, and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derived seven categories of participative motivation for group activities, ability to share thinking and consciousness, motivation to share experiences, ability to control emotion, ability to promote interaction,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performance as the core competencies. To validate the elements, survey was conducted for 186 corporate personn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nels perceived the following elements as important collaborative competencies: participative motivation for group activities, motivation to form participatory atmosphere, ability to manage conflict effectively, ability to form relationships, ability to form positive team atmosphere.

변혁적 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 정대용;김희숙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96-699
    • /
    • 2010
  •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을 통해 창의성에 미치는 관계모형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해 직무의 특성상 공통점이 있고 매일의 수업상황에서 창의성이 요구되는 사립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207명의 유아교사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몰입은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간의 정(+)적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성원이 조직의 목표에 부합하는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조직몰입의 역할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그리고 실무적으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행위가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이끌어내면서 조직에 유용한 창의성 발휘를 높일 수 있다는 전략적 제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 PDF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of Mathematics

  • Trance, Naci John C.;Marapo, Roger B.;Pornel, Jonny B.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18-1332
    • /
    • 2012
  • This paper takes another approach in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Instead of asking for verbal description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we asked the respondents who were all college students to draw their perception of mathematics. This relatively new approach enabled students to take a second look of how they perceived math and, at the same time, explored students' creativity and provided a less austere appearance to mathematics which was taken usually in a more formal and severe manner. This approach of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generated new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normally gleaned from other approaches like Likert Scale. Some drawings of mathematics of the respondents reinforced their math affect towards mathematics. For those who hated math, their drawings revealed so the same is true with those who loved mathematics. Examini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mathematics and looking for commonalities, the researcher found a number of interesting themes that may shed some light to educato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 affect.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MOOCs continuance intention

  • Jo, Donghyu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8호
    • /
    • pp.3992-4005
    • /
    • 2018
  • In our current information-based society in which knowledge is a fundamental asset to production, the cap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and produce knowledge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has become essential to learning.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 light of such changes and are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open education. MOOCs' capabilities are being acknowledged in lifelong education in terms of reeducation and knowledge sharing, and also in terms of improving teaching quality, and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by supporting high-level content and teaching.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n extended research model that combines information system (IS) continuance and task-technology fit models. Our study researches previous literature, revealing factors of continuous use after accepting MOOC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model empirically. The ideal environment for MOOCs learners is evaluated, and a strategic approach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and diffusion of MOOCs is presented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창의적 웹디자인 컨셉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Web Design Concept Development)

  • 서미라;박상진;곽훈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36-143
    • /
    • 2006
  • 다양한 미디어의 출현과 변화가 가속화되어가는 현대사회는 디자이너에게 경쟁력 있게 변화에 대처 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현대사회의 핵심 디자인 산업분야 중 하나인 웹 디자인 분야도 제작 기술 전문화에서 창의적 디자인 개발 구도로의 전환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창의적 디자인 개발 능력은 학습을 통해 익힐 수 있다. 따라서 창조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한 창의력 개발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창의적 사고훈련이 경쟁력 있는 디자인을 위한 핵심 요건으로 인식되면서 이에 대한 교육방법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디자인 컨셉을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새로운 사고방식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디자인 컨셉 도출을 보다 창의적으로 설정하는데 도움을 되는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에서 제시된 컨셉 개발 프로세스는 창의적인 웹 디자인 컨셉 도출을 위한 과정을 체계화시키며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디자인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Major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Class Implementation)

  • 심재호;신명경;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0-1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직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의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으로 창의성, 자유탐구, 과학글쓰기, 토론, STS를 다루었으며, 각 특징에 대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내적 특징인 필요성, 명료성, 복잡성을 기준으로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또,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중에서, 특히 최소 6차시가 배정되어 실시될 예정인 자유탐구의 실행과 관련하여 교사들의 준비 및 실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과학 교사들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즉, 창의성, 자유탐구, 과학글쓰기, 토론, STS를 수업에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대체로 명료하지는 않으며,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특히, 자유탐구의 경우 다른 주요 내용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실행 어려움의 이유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변화 내용을 교실 수업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개발자와 교육과정 실행자 간의 인식의 간극을 줄이고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유의미한 해석과 실천을 높이기 위해‘이중 실행연구’(Dual Action Research) 모형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