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Evaluation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의 프로젝트기반 수업에서 팀 활동에 대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특성 및 활용방안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of Team Activities in University Project Based Classes)

  • 조수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55-64
    • /
    • 2022
  •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of team activity participation in project-based learning and their usability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valuation scores was very high. When students' scores from their peers correlate very well with the scores they give themselves, it means that they apply the same criteria to their peers and to themselves when evaluating team activity.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scores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written test scores. The fact that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scores do not change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shows that the two evaluation areas are independent. Third, the self-evaluation score in project-based learn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 received from peers. This raises doubts about the fairness of self-evalu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self-evaluation of team activities in project-based learning is carried out together with peer-evaluation, but only peer-evaluation is reflected in credits.

공과대학생의 팀 기반 수업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Peer- and Self-Evaluation in Team Based Learning Class for Engineering Students)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5호
    • /
    • pp.3-12
    • /
    • 2016
  • This paper aims to apply two ways of student evaluation, i.e. peer- and self-evaluation to TBL(team based learning) class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evaluations by gender and grade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s, and finally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ways in TBL class.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about TBL and its related factors. Howeve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es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peer- and self-evaluation to TBL class,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m in terms of the engineering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51 engineering students at P University, and peer- and self-evaluation in TBL class have been measured.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self-evaluation of engineering studen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in peer-evaluation. Third, we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self- and peer-evaluat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variables of subcategori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application of peer- and self-evaluation in TBL class and will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related courses in engineering school.

팀원 기여도에 대한 동료평가의 신뢰성과 성적 반영 방법에 대한 연구 -종합설계교과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Peer-evaluation for Team Members' Contributions and Incorporating Method into Grades - Focusing on the Capstone Design -)

  • 장현재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63-70
    • /
    • 2024
  • The capstone design classe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are often team project-oriented, and teamwork skills are reported to positively impact problem-solving abilities. While team project courses have various advantages, they also come with challenges such as social loafing and issues related to free riders, which consistently hinder the positive effects of team project courses. To prevent these issues,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clear evaluation-reward system for team members' contribution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iability of peer evaluation scores for team members' contributions and reviewed methods to incorporate them into team project grades. The review results indicated that peer evaluation scores are deemed to have considerable reliability from a qualitative perspective. However, due to the relatively small team size in team project courses (3 to 6 members per team), using the arithmetic mean of peer evaluation scores is statistically challenging. As a complementary approach, this study proposes limiting the reflection ratio of peer evaluation scores and applying a more macroscopic processing method, not the arithmetic mean, to incorporate peer evaluation scores for team contributions into grades.

문제중심학습에서 평가주체에 따른 평가 - 튜터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Problem Based Learning Evaluation and Evaluation Agents - Focused on Tutor, Peer and Self Evaluation)

  • 김수진;강희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32-3738
    • /
    • 2013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 동료, 자기평가간의 평가점수를 비교하고 평가주체 점수간의 관련성과 평가주체별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영역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는 간호학과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 효과도구를 가지고 3차에 걸쳐 튜터, 동료,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 1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차례의 수업 모두 자기평가 점수가 튜터, 동료평가 점수보다 높았다. 평가주체별 점수간의 관계는 3차례의 수업에서 튜터평가와 동료평가간에 관련성이 있었다. 평가주체별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영역은 튜터평가는 '문제해결능력'이었고,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는 '협동학습능력'이었다.

자아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 Strength, Stress Coping Style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 김세영;최나야
    • 아동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52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odel the effects of ego strength, stress coping styl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effects these concepts have up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580 fifth and six grad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summary,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go strength, stress coping styl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eer relationships. Secondly, the ego strength of children was found to have direct influences upon their stress coping styl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eer relationships. Thirdly, out of stress coping styles of children affected by ego strength, only the negative coping style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eer relationships. Fourth,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the part of children was affected by ego strength and negative stress coping styles, and in particular, negative stress coping styles influenced peer relationships through the anxiety induced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Impact of Peer-assessed Fundamentals of Nursing Skills Education and Self-leadership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s

  • Su-Jin Won;Yoo-Jung Kim;Eun-Young Cho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1호
    • /
    • pp.36-46
    • /
    • 2024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undamentals of nursing skills education with peer evaluation on self-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The factors affect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peer evaluatio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attitude (F=118.81,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0.4%.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attitude were peer evaluation, self-leadership,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48.89,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9.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peer evaluation and promote self-leadership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와 지필시험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Tutor, Peer, Self-Evaluation and Paper Test in Problem-Based Learning)

  • 김수진;김성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75-28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 동료, 자기평가간의 평가점수와 평가주체별 관대화와 중심화의 경향을 알아보고 평가주체별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는 간호학과 학생 중 연구에 동의한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동료, 자기평가는 문제중심학습 효과 도구를 가지고 실시하였고 지필시험은 문제중심학습 수업이 종료된 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료평가, 자기평가, 교수평가 점수 순으로, 학생평가 점수가 교수평가 점수보다 높았다. 관대화와 중심화의 경향에서도 동료평가, 자기평가가 교수평가보다 높고 강하게 나타났다. 평가주체별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의 관계는 교수평가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동료평가나 자기평가 점수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평가는 교육목표와 밀접한 관련을 갖기 때문에 문제중심학습이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목적에 맞는 평가방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평가방법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며 문제중심학습 평가와 관련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가상 수학수업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수업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IRTUAL MATHEMATICS LESSON -focused on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evaluation-)

  • Seo, J.J.;Kim, T.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9권4호
    • /
    • pp.495-521
    • /
    • 2011
  • 예비교사들에게 가상수업을 실시하여 가상 수학수업에 대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및 교수자의 평가를 실시한 결과, 가상 수학수업에 대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교수자의 평가에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가상수업에 대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많은 경험을 통하여 교수방법을 반성할 기회를 가지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생물교과논리 및 논술' 에서의 논증글쓰기에 대한 동료평가-자기평가-교수자 평가 간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among Peer Evaluation, Self-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on Argumentation Writing in the 'Biology Logic and Essay')

  • 강경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1호
    • /
    • pp.75-87
    • /
    • 2023
  • 이 연구는 '생물교과논리 및 논술' 수업에서 실시된 논증글쓰기에 대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교수자 평가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4명의 예비 생물교사들이 네 차례에 걸쳐 논증글쓰기를 하였고, 이 결과물들을 대상으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교수자 평가가 이루어졌다. 논증글쓰기에 대한 동료평가는 평균 2.70점이었고, 자기평가 평균은 2.68점, 교수자 평가 평균은 2.71점이었다. 하위 평가 영역별 평균을 살펴보면 동료평가에서는 과학지식이 가장 높았고, 자기평가에서는 구성 영역이 가장 높았다. 또한 교수자 평가에서는 과학지식 영역이 가장 높았다. 표준편차를 살펴본 결과 자기평가의 표준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평가 유형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료평가와 교수자 평가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평가와 교수자 평가 간에는 보통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에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가 영역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간에는 과학 지식, 과학 논증, 구성, 표현의 네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동료평가와 교수자 평가 간 분석에서는 과학 지식, 과학 논증, 구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평가와 교수자 평가 간에는 표현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과논리 및 논술' 수업에서 동료평가의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평가 유형에 따른 평가 기준 세분화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with Peer Evalu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 정선경;박남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8-17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 동료평가를 위한 수업 절차 설계, 동료평가 유형과 문항 개발, 동료평가 실시, 수업만족도 조사 및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문제중심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 선정된 협력학습 기반 수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는 수도권 소재 A대학에서 협력기반 수업 참여자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동료평가를 위한 협력학습 절차는 팀 구성, 과제 수행 계획, 과제수행, 중간평가, 과제 수행 완료, 발표 및 평가, 자기평가로 설계하였고, 동료평가는 팀내. 팀간 평가로 유형화 하였고, 단계별 동료평가문항을 설계하였다. 동료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12인의 CVR로 평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동료평가의 수업만족도는 평균 4.05(SD=.91)로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집중, 수업의 성실성, 자발성, 학습 분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수준 차이 검증 결과, 성별과 학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업 유형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이 프로젝트기반 학습에 비하여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교육에서의 동료평가 적용 및 확대를 위한 수업설계와 운영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