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ion learning

검색결과 1,065건 처리시간 0.051초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Programming Courses

  • Kim, Ji Sim;Kim, Kyoung Ah;Ahn, You Jung;Oh, Suk;Jin, Myung 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13-121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outcomes in programming cours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learning participation is composed of three sub components: participation in preview, class, and review. Learning outcomes are categorized by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7 students enrolled in programming courses from three IT departments at Myongji College.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review and participation in class predicted all sub components of learning outcomes. Participation in review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learners'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class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motivation.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class was not an influential factor for learning outcomes. Implications for enhanci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조직의 학습전이풍토가 기술사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계속전문교육(CPD) 참여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Transfer Climate and Learning Transfer in Professional Engine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 배을규;정보라;이민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23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betwe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transfer climate and learning transfer.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ransfer climate, learning transfer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CPD, organizational learning transfer climate had indirect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through participation motivation of CPD.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professional engineers' participation and learning transfer in CPD and implement future research on professional engineer's CPD.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Corporate Support in Learning o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 김지영;장원섭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133-156
    • /
    • 2010
  • 이 논문은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기업에서의 학습지원과 개인의 학습참여가 조직학습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과 연세대학교가 공동으로 실시한 '대졸 청년층 직장생활 적응능력 향상 연구'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서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에서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의 지원여부는 개인의 형식학습 참여와 공식적 관계학습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의 학습지원과 개인의 학습참여는 조직학습의 각 요소(수용력, 조직기억, 학습능력, 환경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혜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Adult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Outcomes: Mediating Effect of Wisdom)

  • 노유석;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89-4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 그리고 지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혜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에서 평생학습에 참여하였거나 참여하고 있는 20세에서 69세 이하의 성인학습자 4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특성, 평생학습 참여동기, 지혜,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 간 상호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특성, 평생학습 참여동기, 지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학습성과에 영향력을 가장 많이 미치는 변인은 학습가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인지적 역량, 활동지향 동기, 학습지향 동기, 긍정적 인생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혜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학습특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혜가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고,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혜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이 성인의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지혜를 매개로 학습성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교육 현장에서 학습특성과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고려하여야 하며, 지혜는 학습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인이므로, 지혜와 관련한 학습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의식, 참여동기,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적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Adult Learners' Lifelong Education Consciousness,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Outcome)

  • 구주형;한상훈;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37-4548
    • /
    • 2015
  •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의식, 참여동기,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5개구에서 운영 중인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성인학습자 31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의식은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의식은 참여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는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의식과 학습성과는 참여동기를 매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평생교육의식, 참여동기가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평생교육의식 전환이 이루어져, 평생학습에 대한 참여동기가 부여되고, 학습성과 향상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평생학습 참여기회가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팀상호작용과 팀메타인지가 대학생 학습공동체 지속참여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A study about the convergent effects of team interaction and team metacognition affecting a continuou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y of university)

  • 노혜란;최미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69-78
    • /
    • 2016
  • 이 연구는 대학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팀상호작용과 팀메타인지가 학습공동체 활동의 지속참여 의향에 어떠한 융복합적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팀상호작용 19개 문항과 팀메타인지 17개 문항으로 된 측정도구로, A 대학교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15개 팀 11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밝힌 연구 결과는 첫째, 학습공동체 지속참여 의향에 팀상호작용 수준과 팀메타인지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상호작용 수준이 높을수록, 팀메타인지 수준이 낮을수록 지속참여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둘째, 학습공동체 지속참여 의향에 영향을 주는 팀상호작용 요인 중, 학습 횟수가 많을수록, 팀원들이 학습을 위해 서로 격려할수록 지속참여 가능성이 증가하였고, 팀원들이 열심히 활동하지 않을수록, 학습에 몰입하지 않을수록, 학습 시간이 적을수록 지속참여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공동체 지속참여 의향에 영향을 주는 팀메타인지 요인 중, 학습 횟수가 많을수록 참여 의향 가능성이 증가하고, 다양한 학습도구를 사용할수록, 평균 학습시간이 많을수록 참여 의향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지속참여를 위한 융복합적 지원 방안은 다음과 같다. 팀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 횟수를 늘리고, 팀원간 상호 격려하도록 지원하여 긍정적인 학습공동체 경험을 유도하고, 팀메타인지 활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학생들이 충분히 인식하도록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교육서비스 품질과 참여의도가 교육성과 향상에 미치는 연구: Action Learning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n Educational Performance through a Case of Action Learning)

  • 이돈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847-86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participation inten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 action learning class. Method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hypothese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one of action learning clas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educational service quality(reliability, assurance, tangibles, empathy, information accuracy, and relationship quality) positively affects participation intention which in turn improve educational performance, including aspects of before and after class of action learning. In addition, participation intention in classroom positively affects educational performance with both groups. For after class of action learning, the result confirms the effect of responsivenes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participation intention, however, in before class of action learning there is not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Conclusion: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can be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by the instructor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es who want to apply the active learning forum in classroom.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Learn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Policy in Dental Hygiene Students

  • Su-Kyung Park;Da-Yee Je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3-102
    • /
    • 2023
  • Background: To investigate political participation by dental hygiene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therein based on the learn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policy. Methods: A total of 239 dental hygiene students who were expected to graduate responded to the survey. The data were collected onlin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6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10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15 on the learn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polic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learn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policy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0.05). Results: Among the dental hygiene students, 60.7% voted in all three recent presidential, general, and local elections, and 14.2% did not. For political parties supported, 65.7% responded that they had "no supporting party," and 34.3% indicated that they had a "supporting party." In terms of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0~50 points), the average score was 25.8 points, with the average passive political participation (0~25 points) score at 15.6 points and the average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0~25 points) score at 10.2 points. With an increase in dental hygiene policy learning efficacy, both passive and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showed higher scores (p<0.05). Conclusion: Dental hygiene students showed low political participation. The presence of a supporting party, higher voting participation, and higher learn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policy were associated with higher passive and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Therefore, to increase this population's interest in political participation, various opportunities for related learning need to be promoted and provided in academia, leading to the enhancement of their political capabilities. In this manner, dental hygienists should expand their capabilities in various roles such as advocates, policy makers, and leaders.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교육만족도와 학습참여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 황미영;장계원;원복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91-109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44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Gyeongsangdo from June 2 to 24,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3 items), choice reason of dental hygiene(7 items), educational satisfaction(22 items), and learning participation(11 items).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were assessed by Likert 5 points scale.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Results: Educational satisfaction included educational environments, teaching,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effect. Learning participation included class flow,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readiness. Gyeongsangdo students tended to have higher score than other areas. The educational effect and teaching effect had more influence on learning participation. Conclusion: To improve the better dental hygien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and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for class immersion.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 강민석;김진일;박인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35-14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사이버대학 e-러닝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e-러닝 학습 참여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어떤 학습 참여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학습자 배경(성별, 연령별, 학년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은 무엇인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연구 결과, 학습 참여 변인 중 출석률과 토론게시판 게시 횟수가 학업 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누적학습시간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으로는 출석률, 토론 게시판 게시 횟수, 강의실 접속 순으로 규명되었다. 학습자 배경별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참여 변인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제고하기 위해 학습 참여 변인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