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rental Attitude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온라인 게임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arental Sty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Parent's Perception Types of Online Game)

  • 김지연;도영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65-76
    • /
    • 2015
  • 아동,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 이용과 관련된 여러 사회 문제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예방, 개입하기 위해서는 핵심 이해 당사자인 부모의 온라인 게임 인식 및 이와 관련된 부모-자녀 관계의 속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부모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8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부모의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은 온라인 게임 인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4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성별 및 자녀의 온라인 게임 이용에 대한 태도 및 반응에서 유형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을 예측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집단에서, 그리고 통제적인 양육태도와 역기능적이지 않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각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 환경 및 부모-자녀 관계의 맥락에서 아동, 청소년의 게임 이용 문제를 고찰하고, 부모의 게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DEPRESSIVE TRAIT IN YOUNG ADOLESCENTS)

  • 한성희;이현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167-178
    • /
    • 1996
  • 연구 목적 : 부모의 양육태도와 소아 ${\cdot}$ 청소년의 우울 성향과의 상호 관련 양상을 연구한다. 연구 방법 : 남녀 중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소아·우울척도와 부모 양육 태도 검사를 이용한 자가보고형 설문형식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 부모의 양육태도와 우울성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아버지와의 관계보다 어머니와의 관계가 자녀들의 우울성향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부모와의 결합의 형태에 따라 군을 분류하여 보았을 때 부모 모두 돌봄이 적고 과보호가 많은 군(애정없는 통제군)에서 우울성향이 가장 높게 보고되었고. 돌봄이 많고 과보호가 적은 군(적합한 결합군)에서 우울성향이 가장 낮게 보고되었다. 결 론 :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기의 우울 증상에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과보호가 적고 돌봄이 많은 형태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서 과보호가 많고 돌봄이 적을수록 우울성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arental Experience of the Fathers for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 강선경;최윤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199-222
    • /
    • 2017
  •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가 경험하는 양육경험을 바탕으로 그동안 사각지대에 있던 중증뇌병변장애인의 생활을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어머니의 장애자녀 양육경험 연구에서 벗어나 아버지만의 고유한 양육경험을 Giorgi 현상학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 4명이 참여하였고, 일 대 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Giorgi(2004)의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양육경험의 명확한 주제는 '숯 덩어리 가슴', '개똥밭에서 살아나기', '삶의 폐허', '현실에 대항하는 자세', '가족 생활양식의 구성', '업(業)으로서의 자녀', '부성 바로 세우기'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의 경험을 통해 장애자녀의 어려움과 구조적 문제들을 논의했고, 사회복지 실천차원에서의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 PDF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또래관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협동심의 직렬다중매개효과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Coope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in Children)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485-49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협동심의 역할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남아 1299명과 여아 12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팬텀변수와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자존감, 협동심,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협동심과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동심은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협동심이 부모양육태도와 또래관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한 직렬다중매개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또래관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와 함께 아동의 자존감과 협동심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와 임상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청소년 영재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과 영재의 상담에 대한 태도가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Gifted Youths' Intentions Toward Counseling: Parental Emphasis on Academics and Surrounding Attitudes for Consultation)

  • 최민경;김세원;소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35-1054
    • /
    • 2013
  • 영재상담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최근 활성화되고 있지만, 실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구안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의 상담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영재 상담을 방해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영재 상담 프로그램의 개선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재의 학업 강조 경향성,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성, 영재의 전문적 도움 추구에 대한 태도, 영재의 상담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및 인식이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학부모의 학업 강조 경향성은 영재의 전문적 도움 추구와 영재의 상담에 대한 일반적 태도 및 인식을 매개로 영재의 상담의향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영재상담의 실제에 갖는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부모세대가 받은 훈육방법과 그들의 자녀 훈육방법과의 비교 -서울시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iplinary Method in Korean Family: Comparing the cases of two gener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 김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5-241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at of the children in the disciplinary methods by means of parental social population variation. With these purpose in mind, the problems have been suggested like following: 1) what are the general differences of between the two generations of parents and children in disciplinary method? 2)What are the general differences of the views between those two generations according to sex? 3) What are the general differences between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e child generation according to age? 4) What are the general differences between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e child generation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5) What are the general differences between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e child generation according to income leve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questionnaries were distributed on this appendix 374parents (father: 177, mother: 197) who have the children. Questionnaires were compose on "Parents Inventory" of Radke were employs, classfied five measures. To test and verifying the above hypothes, the following five measures. were used. 1) Philosophy of authority (authoritarian vs. democratic) 2) Parental restrition (strict and stubbon vs. democratic) 3) Severity of punishment (severity vs. mildness) 4) Parent-child rapport 9desirable vs. undesirable) 5) Relative responsibility of father and mothehr towards child disciplinary (equal vs. diff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follows: 1) In general comparison of two generations, tends to be more democratic in the philosophy of authority, more relaxed and easygoing in the parental restroction, more severe in the severity of punishment, and good rapport in the parent-child rapport than grandparents generation and the responsibility of father don't change but that of mother tends to augment in child disciplinary 2) In comparison of two generation according to sex, the mother showed more democratic in the philosophy of authority and closely perceive her parents in the parent-child rapport as compared with the father. 3) In comparison of two generation according to age, the younger parents showed more relaxed attitudes towards the child disciplinary, the perception better relations of their parents in the parent-child rapport. 4) In the comparison of two generation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the more educated parents showed the more relaxed and easygoing attitude towards in the parental restriction. 5) In comparison of two generation according to income, as the parents of large income generally (not always) showed easygoing than their previous generation in the parental restriction, and they perceive that they have a good one in parent-child rapport. This study caused by the some difficult problem required futher investigation on the result of two generations the problems happened in the inner unitary of items. And, it proposed some problems which constitutes the problems of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between two generations brought about discordance of items between tow generations

  • PDF

여대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Wom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 김영희;김신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309-322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how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daughters(woman college students), who were in the process of pursuit of resonable values, ethics and preparing for marriage and settling down, and another purposes were to help them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aring in the future and set up preliminary parenting education program. Method: The subjects were 120 woman college students who were freshmen to junior in one university in Seoul. Using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in 1999 to March in 2000. The contents which subjects wrote down were categori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 1) The age range of subjects were 19-25 years old and main rearer was mother(85.84%). 2) The perception of parent's child-rearing by subjects were revealed 555 statements and then tied together 50 themes: 'emphasizing on studying hard'(8.3%), 'doing by oneself'(5.6%), 'sternness'(5.2%), 'respect of personality'(4.5%), 'eagerness'(4.0%), 'humanity education'(4.0%), 'moderating in daily living'(4.0%), 'propriety education'(3.8%), 'sacrificing for children'(3.6%), 'expectation'(3.2%), 'concerning'(3.1%), 'parent-centered'(3.1%), 'giving a free hand'(2.9%), 'sharing with'(2.9%), 'consideration'(2.7%), 'over-protectiveness'(2.3%), 'hostile attitude' (2.2%), 'corporal punishment'(2.2%), 'expression of parental love'(2.0%), 'encouragement'(1.8%), 'family-centered' (1.8%), 'treating fairly'(1.6%), 'offering live experiences'(1.6%), 'exacting obedience'(1.62%), 'exemplary parental role' (1.6%), 'sexual discrimination'(1.6%), 'cooperation'(1.4%), 'giving favors'(1.4%), 'indifference'(1.4%), 'understanding' (1.3%), 'confidence'(1.3%), 'intimacy'(1.3%), 'pursuit of health'(1.3%), 'warm-hearted'(1.1%), 'stinginess'(1.1%),'broad-mindedness'(0.7%), 'granting'(0.7%), 'interfering'(0.7%), 'reproach'(0.7%), 'distinction of sex in household affairs'(0.7%), 'help'(0.5%), 'preparing for the future'(0.5%), 'disregarding'(0.5%), 'making environment'(0.4%), 'bringing up a child personally' (0.4%), 'comparing'(0.4%), 'religious life'(0.4%), 'good deed'(0.4%), invasion of privacy' (0.2%), 'controlling desire'(0.2%). 3) 50 themes were categorized by 18 categories once more: 'control' (13.2%), 'crazy for education'(12.3%), 'endeavoring'(8.6%), 'autonomy'(8.5%), 'home education'(7.7%), 'esteem' (6.67%), 'support'(6.67%), 'pursuit of healthy daily life'(5.6%), 'earnestness'(5.4%), 'disregarding personality'(5.4%), 'emotional bonding'(3.2%), 'imposing a burden'(3.2%). 'inhospitality'(3.1%), 'acceptance'(5%), 'discrimination'(2.3%), 'mature parenthood'(1.8%), 'strengthening family tie'(1.8%), 'psychological intimacy'(1.1%). 4) On the basis of this study, 3/5 of subjects(61.2%) perceived their parents had mature and 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s, and on the other hand 2/5(39.5%) of them perceived controlling, just forcing to work harder and personally disregarding attitudes. Conclusion: So we need to offer them nursing implementation such as preliminary parenting education program and parenting consulting like to strengthen positive perception and help improving in realistic, developmental child-rearing attitudes.

  • PDF

개인.가족.학교관련 변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이은정;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355-37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individual-related variables, family-related variables,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individual-related variables were gender difference, academic year,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The family-related variables wer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parents, parental support, sibling's support,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The school-related variables included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friends,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0 students who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Daegu.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survey. It consisted of a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a self-efficacy scale, a communication scale, a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scale, and a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mong the individual-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ffected all sub-factors of how mature they were in matters relating to career.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decisiveness and preparation--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And gender difference and academic year affected preparation and goal orient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family-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at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parents affected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sibling's support affected confidence.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affected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Third, the results of the school-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at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friends affected preparation-- a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 teacher's support affected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and friend's support affected confidence and independence. Fourth,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among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were affected the most by individual variables. And self-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were affected the most by family-related variables.

소아의 열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이해 및 처치 (Parental response, recognition and management about fever in children)

  • 김유진;허재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55-61
    • /
    • 2007
  • 목 적 : 열은 소아에서 매우 흔한 증상 중 하나이지만 부모들은 열 자체를 위험한 질환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열에 대해 올바로 아는 것은 부모의 불필요한 염려를 덜고 환아의 질환과 진단 및 치료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의 열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과거와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 동안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소아의 보호자들에게 열에 대한 지식, 태도, 대처 방법을 묻는 19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136명이 답하였으며 10년 전에 비하여 열에 대한 정보, 태도, 대처 방법 등에서 크게 개선된 점이 없었다. 열에 대한 기본 지식인 열의 기준과 측정 방법에 대해서 잘못 알고 있는 보호자가 많았고, 열성경련과 뇌손상의 가능성에 대한 염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었다. 열은 항상 해롭고 위험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체온에서도 실제보다 심각한 결과를 걱정하며 해열제를 투여하고 병원에 방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론 : 보호자들은 열이 이로운 점을 가진 생리 반응중의 하나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실제보다 심각한 결과를 예상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우려와 치료를 택하게 된다. 이런 잘못된 인식은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큰 변화가 없었으며 따라서 소아과 의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부모들에게 해열제를 사용하도록 할 때는 열이 해롭지 않으며 해열제의 목적은 열로 인한 아이의 불편감을 덜어주는 것임을 반복하여 알려주고, 더 나아가서는 소아과 의사들이 좀 더 체계적인 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열에 대한 올바른 인식 형성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 PDF

청소년의 개인, 부모, 학교 요인과 비행 경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Parent, School Factors and Delinquency Experience of Adolescents)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64-275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인지하고 있는 개인적 요인으로서 사회적 위축, 우울, 공격성, 부모 요인으로서 부정적 양육태도, 학교 요인으로서 친구 관계, 학업 무기력과 스마트폰 과의존, 끈기 등이 청소년 비행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PYS 2018) 1차년도 데이터 중에서 중학교 1학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개인 요인으로서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부모 요인으로서 부정적 양육태도, 학교요인으로서 학업 무기력, 부정적 친구관계, 스마트폰 과의존, 끈기 등이 청소년의 비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요인, 부모 요인, 학교 요인이 청소년의 비행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 과의존과 끈기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먼저, 청소년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고 청소년의 비행 행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청소년들의 기대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둘째, 부모의 일관성 있는 양육 태도와 효과적인 양육을 위해 부모 및 조부모 대상으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친구 관계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자기 인식, 올바른 인간관계 형성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법과 충동성을 완화시키는 상담적 개입과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