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arental Experience of the Fathers for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Received : 2017.01.11
  • Accepted : 2017.02.07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rental experiences of the fathers who reared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Since a brain lesion is considered a lifelong disability, children with brain lesions need the medical and social management through their entire life. Due to the lack of specialized caring servic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for such children, their families are forced to take care of them.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fathers who are rearing the children with brain lesions. For this purpose, four fathers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 to one in-depth interviews. Using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stantial themes were "charred heart", "surviving the hardships", "the ruins of life", "attitude against reality", "the unique composition of family life", "children as fate", "father's love." Based on the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cure the psychological and institutional difficulties and to provide supportive services for the fathers and families who care the children with brain lesions.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가 경험하는 양육경험을 바탕으로 그동안 사각지대에 있던 중증뇌병변장애인의 생활을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어머니의 장애자녀 양육경험 연구에서 벗어나 아버지만의 고유한 양육경험을 Giorgi 현상학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 4명이 참여하였고, 일 대 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Giorgi(2004)의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양육경험의 명확한 주제는 '숯 덩어리 가슴', '개똥밭에서 살아나기', '삶의 폐허', '현실에 대항하는 자세', '가족 생활양식의 구성', '업(業)으로서의 자녀', '부성 바로 세우기'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의 경험을 통해 장애자녀의 어려움과 구조적 문제들을 논의했고, 사회복지 실천차원에서의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경, 2016,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4(4): 181-204,
  2. 강선경.최윤, 2016,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20(4): 79-106.
  3. 강명선, 2003, "통합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일영.김철.황경열.권욱, 2007,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인식과 장애아동 자녀에 대한 인식정도가 심리 안녕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서정신과학, 10(1): 27-36.
  5. 김난숙.김민주, 2009, "장애부모의 다차원적 양육지원에 대한 욕구 분석", 재활복지, 13(2): 199-223.
  6. 김정연.윤형준, 2013, "장애를 가진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양육경험 연구", 특수교육, 12(3): 333-356.
  7. 노지현, 2015, "산업재해를 겪은 후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삶에 대한 연구: Giorgi 현상학 연구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9(1): 315-347.
  8. 박현정, 2014,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 아버지의 부성경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학술대회지, 1: 87-120.
  9. 백경선, 2001, "뇌성마비 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체험",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송정숙, 2012,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진숙.안인실, 2009, "지적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와 요구 분석", 지적장애연구, 11(1): 161-182.
  12. 안범현.양민옥, 2014, "장애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장애 인식과 생의 의미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371-396.
  13. 양진향, 2001, "한국여성의 음식양생에 한 체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유영주, 1982, 가족관계학, 서울: 교문사.
  15. 이기영, 2008, "장애자녀가 있는 아버지의 양육경험",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명희.김안나, 2012, "중증.중복 뇌병변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어려움과 요구", 특수교육, 11(2): 117-143.
  17. 이부영, 2001, 아니마와 아니무스: 남성 속의 여성, 여성 속의 남성, 서울: 한길사.
  18. 이정현, 2011,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의 개선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이현주.성정숙, 2011, "장애를 가진 자녀를 키우는 여성의 생애사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14: 27-49.
  20. 임종호.이영미.이은미, 2013, 장애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21. 임현주.이승희, 2011, "레트장애아동의 실태와 부/모의 스트레스 및 역할만족도", 자폐성장애연구, 11: 35-65.
  22. 정동화, 2007, "뇌성마비 장애청소년 어머니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채화영, 2012,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최윤, 2016,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의 양육경험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조흥식 역, 2010, 질적연구 방법론: 다섯가지 접근2판, Creswell. J. W., 2010,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2nd ed.), 2007, 서울: 학지사.
  26. 한경임.김지현, 2007,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자녀 양육경험 분석",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49(1): 277-297.
  27. 한국장애인개발원, 2013, 중증뇌병변 장애아동 및 가족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28. 홍영수.김재엽, 2003,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배우자 지지", 연세사회복지연구, 9(1): 211-230.
  29. Denzi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McGraw-Hills.
  30. Giorgi, A. and Giorgi, B., 1999,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Experience perspectives in methodology and design, 243-273.
  31. Giorgi, A.,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Giorgi 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Advanced Workshi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2-55.
  32. Liebow, E., 1993, Tell them who I am: The life of homeless woman, New York: Penguin.
  33. Lincoln, S. and Guba, G., 1985, Naturalistic Inquiry. Thousand Oaks, CA: Sage.
  34. Lofland, J. and Lofland, L., 1995, Analyzing Social Settings: A guide to qualitative observation and analysis(3th ed.), Belmont CA: Sage.
  35.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cks. CA: Sage.
  36. Padgett, K., 1998,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 and rewards, Thousand Oac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