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Children Relation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1초

부모 사후 장애자녀의 미래계획은 있는가?: 장애자녀를 가진 부모의 미래 주거지 및 보호자 계획을 중심으로 (Preparing for the Futu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parents' plans of residence and guardia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the death of a parent -)

  • 정은혜;김미옥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251-277
    • /
    • 2017
  • 이 연구는 최근 탈시설화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시설입소 의향에 대한 미래계획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시설입소를 예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은 장애자녀, 가족, 사회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서 미래계획은주거지 및 보호자로 구분하여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장애인의 부모사후 '미래 주거지 계획'에서는 장애인의 의사소통수행능력이 높을수록 미래의 주거지로서 시설입소를 선택할 의향이낮아졌으며, 가족의 긍정성이 높고 양육부담이 낮을수록 부모사후 시설입소 의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부모 사후 '미래 보호자계획' 또한 장애인의 의사소통수행능력이높을수록, 가족의 긍정성이 높을수록 부모 사후 시설입소에 대한 의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자녀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의 긍정성이 부모사후 시설입소를 결정하는데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서, 시설입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함을알 수 있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사회 요인은 부모 사후 미래계획에 대한 유의도가 낮은 것으로나타났으나, 변수구성 등의 한계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부모 사후, 장애자녀의 주거지 및 보호자에 대한 미래계획의 중요성과 시설입소예방을 위한사회복지적 함의를 논의하고 있다.

신체장애인 부부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어머니를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Disabled Parents'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Focusing on Mothers)

  • 이송희;임정숙;이미우;정세미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27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ssence of disabled parents'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Method: Five families, which were composed with par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to this study. One-tim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mother of each family and it was recorded, coded, and analysed using method of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Result: Three superordinate themes, nine subordinate themes, and 22 concepts were derived. The essence of disabled parents'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was "disabled parents' growth with their children despite of prejudice." This represented that even though disabled parents faced with diverse kinds of difficulties, they put their heart and soul into raising their children and they encouraged their children to have their feet on the ground firmly. Finally, disabled parents went out into the world with their childre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illustrated how those stories about raising children could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mily relation, and suggested possible ways to support disabled parents for raising children.

심리전기적 심층면담(PII)이 부모의 통찰수준 및 부모-자녀 관계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sychobiographical Intensive Interview on Parent's Insigh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Characteristic)

  • 강상현;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95-50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전기적 심층면담(Psychobiograpical Intensive Interview: PII)이 부모의 통찰수준, 부모-자녀 관계특성 및 상담회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PII를 실시했다. PII는 심리전기적 정보탐색을 위한 심층면담과 이에 대한 해석상담이 포함되어 있는 반구조화된 형태이다. 연구결과 부모의 자녀 문제에 대한 통찰과 자신의 문제와의 관련성에 대한 통찰 수준이 의미 있게 높아졌다. 반면, 자녀와 의 관계특성에 대해 알아본, 부모효능감,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평가에서는 양육스트레스 중 일부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있었을 뿐이다. PII에 대한 상담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상담회기영향평가를 통해 알아본 결과 과제영향, 관계영향 및 유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Social Competence,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of Kindergartners: The A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백지숙;권은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9-114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의 1203명 이였다. '사회적 유능감 검사도구', 'SECCYD', 'HEQ', 'PIPPS', '교사-유아 상호작용 검사도구' 들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 인지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한 변인은 자기조절로 나타났고 이어서 언어능력이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언어 및 문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유능감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부모-유아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또래상호작용이 추가적인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및 문해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예측변인으로는 또래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교사-아동상호작용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부자유친성정과 자아분화 및 대인관계성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박수영;이재연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89-200
    • /
    • 2005
  •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Bu-Ja- Yu-Chin-SungCheong, child's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cultural virtues. Bu-Ja-Yu-Chin-Sung-Cheong which is the Korean traditional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defined as a characteristic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ithin Korean culture by Choi, sang jin.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656 students from 4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they were 5 and 6th grades. The study was executed by surveying them with questionnair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were: (l)the Korean traditional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a child. (2)The Korean traditional bonding has a impact on a child's acceptance of others and social behavior.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a child's self differentiation a child's dominance-ascendance, ostentation-narc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clination increased.

  • PDF

미혼 성인자녀의 부모-자녀 간 유대감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심 지각이 결혼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Perception on Marriage Attitudes of Single Males and Females)

  • 박정윤;김예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3-24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 the effects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marriage attitude among unmarried persons and to utilize the findings as source material in assessing changes to marriage and family value. In total 654 unmarried persons above the age of 20 in this study. A survey format was used to asked questions, and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Version 15.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religion was significantly relate to marriage attitude(p < .001).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rriage value(p < .05). Specifically, high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relationship with father was related to more positive marriage attitudes. Finally, effective socioeconomic variables in marriage attitude were religion, job,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father.

인터넷 중독 소아-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취약성 (PSYCHOSOCIAL VULNERABILITIES OF CHILD-ADOLESCENT INTERNET ADDICTS)

  • 김은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04-11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취약성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107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고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과 비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간에 인터넷 기대, 자기통제력, 부모와의 의사소통, 친구관계, 외톨이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인터넷 중독을 예측하는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터넷 중독 집단은 비중독 집단에 비해 인터넷 이용시 자존감 고양, 갈등해소, 정보화 획득, 인간 관계 증진 면에서 더 많은 것을 기대하였고 자기통제력이 낮았으며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였고 친구가 없는 외톨이 경향이 많았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데 가장 유의미한 심리적 변인은 인터넷 기대의 하위 요인인 갈등 해소와 자존감 고양이였으며 자기통제력도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다. 또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환경적 변인은 부모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통제였으며 친구관계나 외톨이 성향 등은 유의미하게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 PDF

학령기 아동들의 부모에 대한 애착관계가 거부민감성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PEERRELATION IN SCHOOL-AGE CHILDREN)

  • 이경숙;서수정;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51-59
    • /
    • 2000
  • 본 연구는 영유아기에 부모와의 애착에서 형성된 내적작동모델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이 학령기에 들어서 아동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타인들의 거부에 대한 민감성, 또래 관계에서의 수용, 거부와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18명이었으며, 측정 도구로는 부모와의 애착 관계 측정도구, 거부민감성 질문지, 또래 관계 사회측정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들은 거부민감성의 하위척도인 불안, 분노, 신념, 심리적 반응 모두에서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또래 관계에서 수용되는 아동들은 거부당하는 아동들보다 부모와의 애착 관계 척도에서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들은 거부민감성이 증가하여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이 거부당했다고 더 쉽게 지각하고 불안과 분노를 더 느끼고 과잉 반응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 형성한 안정적인 애착 관계는 대인관계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아동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갖게 되고 따라서 또래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어 실제 대인 관계에서 수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성별에 따른 지지적.통제적 양육행동: 5개국 비교 연구 (The Gendered Pattern of Parental Support and Control over Adolescent Children: A Comparative Analysis)

  • 이선이;이여봉;김현주
    • 한국인구학
    • /
    • 제31권2호
    • /
    • pp.45-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스웨덴 등 5개국 청소년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지지와 통제가 부모 및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청소년 자녀에게 더 지지적이고 덜 통제적이며, 아들보다 딸에게 더 지지적이고 덜 통제적이어서, 모녀관계에서 지지적 특성이 가장 강하고 부자관계에서 통제적인 특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로부터 시작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한국청소년개발원이 2006년에 실시한 5개국 설문조사자료를 사용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한국사례에 대해서는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으며, 다른 국가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5개국 모두에서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더 지지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부모가 아들보다 딸에 대해서 더 지지적인 것으로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자녀 성별의 효과는 부모 성별의 효과만큼 뚜렷하지는 않았다. 통제적 행동의 경우는 한국과 미국에서만 성별 효과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The Relation to Perceived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 and Internet Addiction in the Upper Year Grade Students)

  • 김순구;이미련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2-122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 to perceived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s and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in the upper year grade students. Method: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which perceived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s and internet addiction. This study population was comprised of 668 students who enrolled 4~6 year-grade in Kwangwon-Do.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of subjects was rather low. Of the children, 88.2% reported being average on-line users, 7.3%, heavy on-line users, and 4.5%, internet addicted. Gender, existence of father, mother's attitude when child overuse on-line, average playing time of on-line per day, frequency of on-line visits per week and purpose of on-line use for average on-line user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heavy on-line users. The level of perceived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s were abbreviat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in subjects. Conclusion: We suggest these results be used to develop a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