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PEERRELATION IN SCHOOL-AGE CHILDREN

학령기 아동들의 부모에 대한 애착관계가 거부민감성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Lee, Kyung-Sook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Hanshin University) ;
  • Suh, Soo-Jeung (Department of Psychology, Ewh Women's University) ;
  • Shin, Yee-Ji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이경숙 (한신대학교 재활학) ;
  • 서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 신의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whether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can differ from children being accepted and rejected in peer relations, and whether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can differ from children having secure and in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Subjects were 218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of primary school.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CRSQ), and peer relation sociometrics were used as measure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in secure attachment with parents had lower scores on the subscales of CRSQ, such as anxiety, anger, belief, and psychological reaction, than children in insur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IPPA scores were higher in children being accepted in peer relation than children being rejected. These results can be considered that early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may influenc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peer relation.

본 연구는 영유아기에 부모와의 애착에서 형성된 내적작동모델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이 학령기에 들어서 아동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타인들의 거부에 대한 민감성, 또래 관계에서의 수용, 거부와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18명이었으며, 측정 도구로는 부모와의 애착 관계 측정도구, 거부민감성 질문지, 또래 관계 사회측정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들은 거부민감성의 하위척도인 불안, 분노, 신념, 심리적 반응 모두에서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또래 관계에서 수용되는 아동들은 거부당하는 아동들보다 부모와의 애착 관계 척도에서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 아동들은 거부민감성이 증가하여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이 거부당했다고 더 쉽게 지각하고 불안과 분노를 더 느끼고 과잉 반응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 형성한 안정적인 애착 관계는 대인관계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아동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갖게 되고 따라서 또래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어 실제 대인 관계에서 수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