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Lecture Content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Remote Learning of University Education - Focused on the Cases of M University -)

  • 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77-39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194명과 M대학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1,54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교육과 학생 23명과 이공계 학생 8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수업동영상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학기말에 학생들의 각 교과목에 대한 강의평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원격수업 유형 중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식은 강의 자료를 활용한 음성녹음 방식이나 수업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이다. 둘째,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에게 학습 만족도가 높은 수업방식이다. 셋째, 교수자의 많은 사전 준비와 학습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문제해결 중심의 자바프로그래밍 온라인 강의 교안 개발 (The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Oriented Java Programming Online Course Contents)

  • 이상곤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0-21
    • /
    • 2002
  •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창의적인 인재의 양성이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소프트웨어 산업분야에서는 최신 프로그래밍 기법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기술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언어를 통하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기법과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강의 안을 설계하고 온라인 학습환경 하에서 서비스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요소 탐색과 수준 분석 (An Exploration of Interaction Factors and Analysis on Interaction-Level of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n University)

  • 한형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4-25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 있어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상호작용 수준을 확인하고 상호작용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 수준에 대해 대학의 학습자들은 면대면 교육이 실시간 온라인 교육보다 상호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실시간 온라인 교육은 비실시간 온라인 교육보다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소그룹 활동과 스캐폴딩, 의사소통 통로의 다양화, 학습자 질문을 학습 내용에 통합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요소에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 느껴지는 거리감, 학습자 간 낮은 친밀감, 내용이나 지식 전달 중심의 교육, 비언어적 의사소통 정보의 제한, 안정적이지 못한 시스템이나 마이크의 잘못된 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필요 요소로는 상호작용적 수업 활동 등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호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교수학습 방법과 활동, 도구 및 시스템, 환경 측면에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시간 비대면 수업환경을 2년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연구: 방사선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The Study on Satisfactory Rate with Students Which Experienced Non-face-to-face Online Class Environment for Two Years: For Radiology Majoring Students)

  • 손진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6호
    • /
    • pp.679-688
    • /
    • 2021
  • This study is a questionnaire about the lesson environment that radiation major students prefer in a non-face-to-face live online lesson environment for a total of 133 students, 65 second graders and 68 third graders who a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hecked the satisfactory level by grad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1st real-time non-face-to-face lectures, 2nd professor lectures, and 3rd corona lectures. A total of 14 questions, with multiple choice and descriptive response methods. As an evaluation method, in the case of a multiple-choice question, the average was calcula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f the SPSS program, the response by grade was P > 0.05, and no significant result was shown by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second grade. As for the lecture method of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fter the end of Covid-19 virus, it is better to promote face-to-face lessons in radiation training subjects and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in subjects centered on radiation theory.

온라인 강의에서 의사통방식의 효과: 질문에 대한 답변제시 방식을 중심으로 (Effect of Communication in the Online Lecture: Focused on the Answering Way)

  • 채정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2
    • /
    • 2016
  •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 강의에서 수강생들의 강의관련 질문과 답변 내용을 주간 단위로 모아서 수강생들에게 추가로 공지하는 상호작용이 학업성과와 강의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실험법 중 통제집단사후측정 비교설계 방식에 따라 진행하였다. 각 집단은 한 분반이 200명 단위로 분반되는 대형수강과목을 1개 선정하여 600명을 3개 분반에 무선할당 하여 각각 실험집단1, 실험집단2,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1에게는 이메일로 내용을 전달하고, 실험집단2에게는 과목공지게시판을 통해서 내용을 전달하며,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종속변수는 해당 과목에 대한 수강생들의 학업성적과 강의만족도이었다. 그 결과,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에서 학업성적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 중에서는 1집단이 2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학업성적은 높았는데, 강의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강의관련 질문에 대해 교수자가 수강생들에게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는데, 상호작용의 방식은 과목공지게시판보다는 학생에게 보다 편리한 이메일 전달방식이 더 효과적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 PDF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n-face-to-face Lecture by College Fresh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 강진호;손성민;한승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97-408
    • /
    • 2020
  • 본 연구는 COVID-19로 비대면 강의를 경험한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한 것을 알아보기 위해 1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비대면 강의 운영', '강의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 '한 방향 듣기', '강의 수강의 편리함'이었다.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비대면 강의 운영'의 경험으로는 혼선의 비대면 강의 시작, 번거롭고 불편한 온라인 시스템, 등록금 환불 요구를 경험하였다. '강의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의 경험으로는 강의 집중의 어려움, 학습내용 인식 정도의 결손, 과제 및 시험에 대한 부담을 경험하였으며, '한 방향 듣기'의 경험으로는 교수자 및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부재와 현장의 생동감 미반영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강의 수강의 편리함'으로 내가 원하는 시간에 어디서든 강의 수강 가능과 반복학습 가능에 만족감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참여자들은 수준 높은 강의 콘텐츠 및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 작용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였으며 대학에서는 수준 높은 강의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행·재정적 지원과 교육 설계 및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NS 활용한 강의와 교수신뢰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applying SNS to lecture and professor trust)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31-539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에서 SNS를 활용한 강의가 교수신뢰 및 학업성취도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학부 내의 학부기초를 수강하는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SNS를 활용한 분반, 기존의 온라인 강의 지원 시스템을 활용한 분반으로 나누어 동일한 강의 내용, 강의 자료, 강의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교수 신뢰를 친밀도, 전문성, 강의능력, 지도력 4개의 변인으로 나누고 중간 및 기말 평가 내용을 학업 성취도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친밀도와 기말평가가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환경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토론교육 - 공대 신입생 대상 온라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Education under Non-Face-to-Face Situation - Through Online classes for Freshmen at the Engineering College)

  • 신희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34-45
    • /
    • 2021
  •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about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Education" class which was done for freshmen at the engineering college of "S" Women's University. Real time remote classes through LMS and ZOOM were the most effective tools under on-line circumstan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video lectures only cannot cultivate students' capabilities of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analysis on students' self-reflection journals and lecture evaluations, this paper examined considerable future points and the pros and cons of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Education" under onlin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ituation. As research outputs, students told they could feel less nervousness and anxiety when they exercise and have a presentation because they could choose familiar space for them. In addition, students also told that they feel comfortable about both self-feedback and peer evaluation, repeatedly seeing the recorded video clip. However, on the contrary, sometimes students felt uncomfortable due to unstable internet connection through the online classes, and they also were regretful about the missing chances of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nd of intimate exchanges among students. They also told they had felt a kind of limit of enhancing their presentation skills just in front of the monitor. Considering these outcomes, this research paper points out that online education needs to be proceeded by strengthening multi layered feedback to students with the build-up of a non-face-to-face stable educational infrastructure, application of online instructional strategy, and utilization of YouTube platform and video contents. Through this research paper, I hope the new system of encompassing on/off line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n be developed soon by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online education.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 (Satisfaction Analysis of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COVID-19)

  • 장현철;노미라;전병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19-524
    • /
    • 2021
  • 코로나19 상황이 국내 유입으로 인한 확산과 함께 지역사회로까지 감염이 계속되어 대학들 마다 전면 온라인 수업 및 부분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수업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주목하여 콘텐츠 및 수업내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11일까지 대구시 소재 S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비대면 수업 전공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는 평균 3.78 ± 0.75점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만족도는 평균 3.00 ± 1.14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 수강 시 학생의 수업 태도와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 간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r=0.555, p<0.01),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와 학습 만족도 간에도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0.331, p<0.01). 비대면 온라인 전공 수업 시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함께 학생들과 교수자의 상호작용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LMS for Web based e-Learning on the SCORM

  • Woo, Young-Hwan;Chung, Jin-Wook;Kim, Seok-Soo;Kim, Soon-Goh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80-83
    • /
    • 2004
  • The core purpose of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s to help learners pursue proactive and self-oriented education by allowing learners to proactively configure their own content, that is, learners no longer have to be restricted by prescribed sequence of lectures. Although a variety of standardization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were produced to develop and effectively manage web contents in response to active diffusion of internet application, practical changes to assist online learners are not yet to be foun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troduce a LMS that can support self-leading education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learners at Virtual University with delicately organized educational contents for maximum efficiency. The system allows a learner to select a lecture or a chapter which has been presorted to meet his educational needs and intellectual ability. In general, most LMSs cannot meet every individual's educational needs because they structure their programs by letting learners simply choose from a list of available lectures at prescribed level or difficulty. However the Self-Leading LMS eliminates such boundaries by allowing learners to choose contents and difficulty within the limit set by their own educational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