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20.23.3.007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Remote Learning of University Education - Focused on the Cases of M University -  

Lee, Heonsoo (Mokpo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3, no.3, 2020 , pp. 377-39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non-face-to face classes at the univer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professors and 1,543 students at M University. In addition, 23 mathematics majors and 80 students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using video contents methods. It surveyed the evaluation from students after progressing online classes using video for one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eferred distance education type was an audio recording using lecture materials or class video contents. Second, an online class using video content was preferred by the students who are well self-control or have an autodidactic background. Finally, professors advanced preparation and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students enhanced the course satisfaction of students.
Keywords
COVID19; Online learning; VOD lecture; Self-directed lear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Yvette E. Gelogo & Hyejin Kim (2015). LotG: "A Design of Adaptive u-learning System".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3), 239-249.   DOI
2 Thomas A. Peters (1998). Culture of the interne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9(2), 188-190.   DOI
3 교육부 (2018).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4조의 2 관련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기준. 교육부 대학학사제도과(2018. 12.)
4 교육부 (2020a). 온라인 개학 이후 원격수업의 현장 안착 대책. 교육부 보도자료(2020. 3.31.)
5 교육부 (2020b). 2020학년도 2학기 학사운영 관련 등교 원격수업 기준 등 학교밀집도 시행 방안. 교육부 보도자료(2020. 7.31.)
6 김동률 (2018). 대학교양수학의 플립러닝과 플립 PBL 효과성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6), 209-215.   DOI
7 김미량 (2000). 웹활용 수업사례에 기초한 사이버 교수-학습 운영의 기본 전략 및 향후 과제. 교육공학연구, 16(1), 48-58.
8 김미영.안광식.최완식 (2005).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한국공업교육학회지, 30(1), 106-119.
9 김미용.배영권 (2012).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3(5), 77-92.
10 김성옥 (2016). 대학의 미적분학 교과목에서 수업 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0(1), 47-65.
11 김예진, 조지연, 이봉규 (2015). 스마트러닝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성공전략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16(6) 123-131.
12 문혜성.박경모 (2013).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요구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1(5), 175-190.
13 민숙 (2019). 대학 미적분학 플립드 수업에서 팀프로젝트 탐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3(2), 47-66.
14 박경은.이상구 (2016). '선형대수학'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강의 모델 설계 및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0(1), 1-22.
15 박동철 (2015).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러닝 속성에 관한 연구 -몰입(Flow)과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4(5), 127-148.
16 임정훈 (2007).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6.
17 이상수 (2007).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225-250.
18 이헌수 (2019).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4), 395-413.
19 임걸.이동엽 (2012).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학교정책 개선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0(9), 47-57.   DOI
20 임진형.고선영 (2015).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8), 5232-5239.   DOI
21 정순모.박혜연.김응환 (2015).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1), 123-148
22 최병수.유상미 (2013). 컴퓨터교과교육: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3), 49-60.   DOI
23 최영림 (2020).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4(2), 369-383.   DOI
24 이상기, 권민화 (2014). 스마트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4(2), 258-294.
25 허난 (2015).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에 대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4), 449-470.
26 홍예윤.임연욱 (2018). 고등 수학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육환경 및 학습자 역량의 확장.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7), 213-222.
27 홍효정 (2017). 블렌디드 러닝기반 기초수학 수업에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0(6), 3-11.   DOI
28 Anderson, T., Rourke, L., Garrison, D. R., &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