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n-face-to-face Lecture by College Fresh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 Kang, Jin-Ho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ollege) ;
  • Son, Sung-M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ollege) ;
  • Han, Sueng-Ta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Howon University)
  • 강진호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 손성민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 한승태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Received : 2020.09.23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15 college freshman from J college to find out their experiences in non-face-to-face lectures with COVID-19.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and conducted, and the meaning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cus group interview procedure through repeated listening. Components were 'Operation of non-face-to-face lectures in unprepared situations', 'Loss of orientation in lectures and departure from learning', 'One way listening', 'The convenience of taking a lectures'. The experience of 'Operating non-face-to-face lectures in unprepared situations' included the start of mixed non-face-to-face lecture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online systems, and the demand for tuition refunds. The experience of 'Loss of orientation in lectures and departure from learning' has experienced difficulty in concentrating on lectures, Deficiency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learning content, and burden of assignments and exams. The experience of 'One way listening' has experienced lack of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and non reflection of liveliness in the field. Finally, participants experienced satisfaction with being able to lectures and repeat lectures at anytime and anywhere they wanted with the convenience of taking lectures. Based on this study, participants called for improvements in the quality lecture contents and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and it is thought that universities will ne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education design and system construction to construct high-quality lecture contents.

본 연구는 COVID-19로 비대면 강의를 경험한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한 것을 알아보기 위해 1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비대면 강의 운영', '강의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 '한 방향 듣기', '강의 수강의 편리함'이었다.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비대면 강의 운영'의 경험으로는 혼선의 비대면 강의 시작, 번거롭고 불편한 온라인 시스템, 등록금 환불 요구를 경험하였다. '강의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의 경험으로는 강의 집중의 어려움, 학습내용 인식 정도의 결손, 과제 및 시험에 대한 부담을 경험하였으며, '한 방향 듣기'의 경험으로는 교수자 및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부재와 현장의 생동감 미반영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강의 수강의 편리함'으로 내가 원하는 시간에 어디서든 강의 수강 가능과 반복학습 가능에 만족감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참여자들은 수준 높은 강의 콘텐츠 및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 작용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였으며 대학에서는 수준 높은 강의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행·재정적 지원과 교육 설계 및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미(2020). 코로나 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6): 1091-1100.
  2. 오재호(2020).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이슈&진단, 421: 1-25.
  3. 박중열(2020). 코로나 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기계저널, 60(7): 23-26.
  4. 김창수(2008). e-러닝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도구의 프로토타입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2): 237-266.
  5. 전보라(2020). 학습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문사회 21, 11(3): 1375-1386.
  6. Do, J. W.(2020). "An Investigation of Design Constraint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Face to face course into Online Course PDF icon".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2): 153-17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7. 정희연, 윤지원(2020).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인문사회21, 11(3): 1305-1318.
  8. 이혜정, 이성혜(2007).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블렌디드 이러닝 활성화 방안: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분석으로부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77-102.
  9. Morgan, D. L.(1998). The Focus Group Guidebook Focus Group Kit 1.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0. Krueger, R. A.(1998).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 Focus Group Kit 6.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1. 김영혜, 강순화(2014). 상담전문가의 개업 경험과 소진에 관한 탐색적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6(1): 1-26. https://doi.org/10.17315/KJHP.2021.26.1.001
  12. Krueger, R. A., & Casey, M. A.(2009). Focus Group: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4t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3. 김수진(2020). 간호학과 학생들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인식-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융합정보논문지, 10(6): 59-69.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6.059
  14. 강진호, 남영옥, 오명화(2019).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299-309.
  15. Guba, E. G., & Lincoln, Y. S.(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Jessey-Bass.
  16. 김수진(2019).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간호학생의 만족도 조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7): 411-419. https://doi.org/10.15207/JKCS.2019.10.7.411
  17. 김동일, 이혜정, 손지영(2005).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blended e-Learning 체제 정착 방안 연구: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6(4): 97-123.
  18. 이신남(2010). Blended Learning 활용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만족에 대한 연구. 회계연구, 15(3): 113-131.
  19. 구양미(2005).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e-learning 도입 및 운영의 장애요인 분석. 교육과학연구, 36(1): 55-79.
  20. Lee, J. H., & Lim, B. R.(2007). The Current Status of e-Learning and Strategies to Enhanc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Korean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8(1): 1-18.
  21. 기영화, 노호정(2005).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과 블랜디드 러닝 수업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연구: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1(1): 63-80.
  22. 이인숙(2005). 시간관리전략의 활성화를 촉진 시키는 교수설계기반의 e-Learning 교수모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1(4): 101-121.
  23. 임정훈(2007).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5.
  24. 신나민(2004). 효과적인 원격교육체제 구축을 위한 이론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0(2): 83-99.
  25. 정재화, 이봉민(2016). 방송대 학생-교수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한 게시판 통합 운영 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책과제, 16: 1-132.
  26. 임은정(2009). 의학교육에 있어서 이러닝(e-laerning)의 가능성과 한계. 의학교육논단, 11(1): 21-33. https://doi.org/10.17496/KMER.2009.11.1.021
  27. 이인숙(2002).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규명. 교육공학연구, 18(2): 51-67.
  28. Britton, B. K., & Tesser, A.(1991). Effects of time-management practices on college gra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3): 405. https://doi.org/10.1037//0022-0663.83.3.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