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i Educatio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19초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놀이교육 프로그램 및 공간 기획 연구 - 국내에서 운영중인 유아 보육시설과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lay Education and Space Design for Developing Creativity of Children -Focusing on domestic childcare facilities and education program analysis-)

  • 최경란;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659-668
    • /
    • 2015
  • 2011년 5세 유아의 누리과정이 도입된 이후로 국내에서도 창의 교육을 통한 통합적 사고를 갖춘 융합적 인재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보육 수요에 비해 시설과 인력, 예산의 부족으로 인해 국내의 교육 프로그램과 환경은 이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의 구축과 이에 걸맞는 공간 기획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조사와 유아 보육시설 디자인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운영중인 유아 보육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보육 프로그램 구축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였다. 둘째, 놀이를 통한 창의 교육을 위하여 유아의 놀이 행태 5가지와 조형원리 5가지를 조합하여 유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레임웍을 구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앞서 구축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보육공간의 조건과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국내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델 및 공간 기획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프레임웍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델이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공간 또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의 권리에 대한 경험적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tial Cognition of Child Care Teachers' Rights)

  • 이서영;양성은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50
    • /
    • 2018
  • 최근 보육교사가 수행하는 업무의 다중성 및 법적 신분과 관련된 쟁점이 부각되고 있다. 보육교사는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이면서, "영유아보육법"상의 보육교직원이고, 누리과정 실시로 인해 "유아교육법"상의 유치원 교사의 업무도 수행한다. 영유아를 보호하고 양육하는 보육교사의 주업무를 기본으로 유아를 대상으로는 누리과정을 통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보육교사의 직업적 의무가 법적인 권리와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보육교사의 권리와 의무는 불균형적인 상황에 놓여 있게 된다. 본 연구는 해석주의 인식론에 기반한 질적방법을 활용하여 보육교사들이 현장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권리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수도권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61명이며, 자료수집을 위해 프로토콜(protocol) 서술과 포커스그룹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13)이 제안한 자료분석법에 따라 중심주제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보육교사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육권과 자율권, 근무여건 개선 및 복지후생 요구권, 고충처리 및 신분보장권에 대한 경험적 인식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보육교사들은 어린이집의 열악한 근무여건 및 복지후생을 지적하는 동시에 교육권과 자율권이 양질의 보육활동을 위해 강화되어야할 필요조건임을 강조하였다. 한편, 연구참여자들은 고충처리 및 신분보장권이 자신의 권리라는 점에 대한 인식 자체가 낮았고, 해당 권리의 침해를 감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들의 의무와 권리 사이의 간극을 드러내면서 이에 대한 제도적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유아 전문가로서 인성 및 전문성 강화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높아짐과 동시에 근로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육 현장에 근무하는 교사의 권리 향상을 위한 실천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음식물 쓰레기 분해에 대한 고온성 미생물의 영향 (Effect of Thermophilic Bacteria on Degradation of Food Wastes)

  • 이외수;정지현;박유미;설경조;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3-367
    • /
    • 2006
  • Food wastes were decomposed into the Mugri (Isung Engineering, Korea), a food waste reduction machine, with adding sawdust of cryptomeria. Degradation effects were better when the machine worked at over 45$^{\circ}C$ than those at the lower temperature. Thermophil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cryptomeria sawdust and the food waste products degraded by the machine. The isolates from cryptomeria sawdust were classified into 3 genera (Acinetobacter baumannii, Enterobacter sp. and Erwinia cypripedii) and almost all the isolates from the degraded products were partially identified as Bacillus sp.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isolated thermophilic bacteria showed degra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case of addition of the 30 thermophilic bacteria into the machine, degradation rate of food wastes was almost twice as high with increasing process temperature up to 6$^{\circ}C$.

만 5세 반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이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Music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for a Class of Five-year-old Children)

  • 안명옥;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7-4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making program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medium through the ADDIE model so that teachers can easily apply it to children, and to determine whether it affects children's musical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2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daycare in Seoul, of which 20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music produc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during the same perio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music activities suggested by the Nuri Course. Using the SPSS 22.0 program,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ere calculated. Results: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mproved children's rhythm and tone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aptitude. The music making program enhanced children's music flexibility, music creativity, music logic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crea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music making program presented systemic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which teachers explained the modeling and practiced from simple activities to various activities repeatedly in order to make teachers approach music making more easily. It is recommendable to make the music making program by using I-pad and computers.

세시풍속과 연계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s)

  • 박태순;김승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9-57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s.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twenty-six 5-year-old children who were going to day care cent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Half of them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and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s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ningfully improved. That is to say, the scores of the five sub factors of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the two sub factors of communicative compet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science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that will be conducted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세시풍속과 연계한 요리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 안은정;김승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3-72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thirty-four 5-year-old children who were attending S preschool in Jeollanamdo. Seventeen children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seventeen children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cooking activities according to life themes of Nuri curriculu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s to say, the scores of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field as it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at effectively enhance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Effect of Five Senses Activities in the Forest on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 Kim, Hee-Chan;Koo, Chang-Duc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9-10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five senses activities in forests on the reduction or mitigation of daily stress using various forest healing factors such as water, sunlight, topography, phytoncide, landscape, sound, fragrance, et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aged 5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Cheongju.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five senses activities in the forest in total of 12 sessions (1-2 sessions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from May 8 to June 16, 2017.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five senses activities in the forest, participated in the Nuri Curriculum operated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ests to measure daily stress in three different situations (encountering blame-aggression situation, experiencing anxiety-frustration, and losing self-respect) were conducted on young childre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s a result, daily stress of the young children decreased in all three situation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rough the five senses activities in the forest, young children could feel the nature by observing and exploring it in the forest, so which reduced their daily stress compared to the activities carried out in the classroom.

Role of Supervisor Consultation Toward Work Engagement: A Prospective Cohort Study

  • Nuri P. Adi;Tomohisa Nagata;Kiminori Odagami;Masako Nagata;Koji Mor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2호
    • /
    • pp.147-150
    • /
    • 2024
  • Background: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supervisor consultation, as an actual practice representing supervisor support, and work engagement.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Japan, involving 14,026 participants who met the requirement for a one-year follow-up. Supervisor consultation was measured using a single question, and work engagement was defined using the Japanese version of the nine-item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UWES-9). Associations were examin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pervisor consult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rk engagement after adjusting for gender, age, education, income, and industry (𝛽 = 3.474; p < 0.001). The relationship remained significant after adjustment for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lthough the coefficient decreased (𝛽 = 1.315; p < 0.001). Conclusion: Supervisor consultation probably acted on work engagement in different ways than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숲 체험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Happiness Fullness)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09-317
    • /
    • 2019
  • 본 연구는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어린이집의 A반 유아 실험집단 20명과 B반 유아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동일연령의 환경이 비슷한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 충만감에 대해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계획한 2개월간 16차시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연계활동을 주제로 실외활동을 한 후 사전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재창조능력, 인간관계, 목표달성, 통솔력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행복충만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제와 동시에 촉진요소임이 판정되었다. 이는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에게 놀이를 제공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의 즐거움과 행복충만감을 촉진하게 됨을 의미한다.

TIMSS 2019의 4학년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with the Physical Science Domains of the 4th Grade TIMSS 2019)

  • 김선경;김현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초중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 주제들이 우리나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느 학년에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TIMSS 2019 평가틀의 성취기준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일치하는지 분석한 결과, TIMSS 2019 물상과학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까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로 화학과 관련 있는 '일상생활에서 화학 변화', '열전도', '전기와 간단한 전기회로' 내용이 두드러졌다. TIMSS 2019 평가틀이 국제 성취 기준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누리과정까지 연계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과 범위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하는 개선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량 및 학습 수준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면서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개념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관련 주제를 다루도록 학년군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국제적인 흐름에 맞게 필수적인 개념 및 표준 용어들을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거나 구성되도록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