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lay Education and Space Design for Developing Creativity of Children -Focusing on domestic childcare facilities and education program analysis-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놀이교육 프로그램 및 공간 기획 연구 - 국내에서 운영중인 유아 보육시설과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

  • Choi, Kyung Ran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
  • Kim, Myoung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 최경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 전공) ;
  • 김명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 전공)
  • Received : 2015.02.17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and environment do not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daycare by facility, manpower, and budget deficits although Korea has also been interested in the convergent human resource with integrated ideas by creative educ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 old children in 2011.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reschool education program and design the proper space for developing the creativity of childre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daycare programs after examining the existing Korean daycare facilities and programs based on documented references about designs for daycare facilities. Second, this study proposes the program plans based on the framework establishment for developing preschool education programs by combination of 5 types of children's behavior on play and 5 types of formative principles for creative education with play. Third,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designs and conditions of daycare facilities for effectively managing the programs previously mentioned. As a result of theprocedu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lineates the education program models and space plans for developing the creativity of Korean children,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model of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by establishment of frameworks and the significance of space for effectively managing the model.

2011년 5세 유아의 누리과정이 도입된 이후로 국내에서도 창의 교육을 통한 통합적 사고를 갖춘 융합적 인재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보육 수요에 비해 시설과 인력, 예산의 부족으로 인해 국내의 교육 프로그램과 환경은 이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의 구축과 이에 걸맞는 공간 기획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조사와 유아 보육시설 디자인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운영중인 유아 보육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보육 프로그램 구축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였다. 둘째, 놀이를 통한 창의 교육을 위하여 유아의 놀이 행태 5가지와 조형원리 5가지를 조합하여 유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레임웍을 구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앞서 구축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보육공간의 조건과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국내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델 및 공간 기획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프레임웍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델이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공간 또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