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ation Semester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Effects of STEAM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the 1st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전미숙;박문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91-106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학 수업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그 내용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1학년 학생들에게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동기와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준다. 몬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정 지역의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한계가 있으며,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꾸준한 자료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사례기반학습법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인체생리학 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CBL) 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a Human Physiology Course)

  • 김나현;박지연;전상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78-8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CBL) 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a human physiology course. Method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BL scenarios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June, 2013. Nursing students (n=142) who registered for a human physiology course were assigned into either a control or CLB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lectures for 14 weeks. The CBL group received the same 14-week lectures and an additional 5 CBL sessions.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mester. Seven students in the CBL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for a focus-group interview.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hi}^2$-test and t-test,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59% of the CBL group answered with a positive impression on the CBL approach as it helped them to feel a sense of achievement, excitement, to form their identity as nursing students, and so 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BL could be a challenging but useful learning method in a physiology course for nursing students. Further studies with guidance, such as instructors' questions and feedback design are needed to utilize CBL more effectively.

An Analysis of Achievement Goals Changeability in a Software Liberal Arts Class

  • Shin, Seung-Hun;Seo, Joo-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271-281
    • /
    • 2022
  • 교양교육으로서의 소프트웨어(SW)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사회적 공감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SW 교양교육 학습자의 학습 동기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W 교양교육에서 학습동기 및 이의 변화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SW 교육 학습자들의 한 학기 동안의 학습동기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3 × 2 성취목표 모델을 이용해 성취목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성취목표는 집단수준과 개인 수준 모두에서 안정적이었으나, 각 하위 성취목표의 순서는 기존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실목표구조의 숙달목표는 기존 연구보다 높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수행목표는 일부 회피 목표와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SW교양교과에서의 학습동기는 기존 교양교과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SW교과에서 사용하는 교실목표구조 유형에 따른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대학 SW 교양수업의 놀이학습 적용방안 탐색 : 학습동기 제고를 위한 비전공자 수업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Playful Learning in SW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Learning Motivation : Focusing on non-CS students)

  • 곽소아;백재순;유수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27-340
    • /
    • 2022
  • 본 연구는 비전공 학생의 학습동기를 높여 학습 성취를 돕고, 온라인 SW 교양수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대학생 560명에게 효율적인 놀이 교육을 적용하였다. 수업 후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지역변수와 전역변수를 배우는 과정에서 지역별 '무'의 명칭을 즐거운 놀이학습으로 받아들였고, SW수업에서 예상치 못한 내용을 발견한 것에 대한 놀라움, 신기함을 비롯하여 학습에 대한 즐거움, 몰입, 자신감, 내적 동기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 말 온라인 시험에서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관련 문항의 정답률 역시 92%로 전체 문항의 평균 정답률 67.1%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예비 과학 교사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설계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Cases of Real-time Online Class Design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한화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63-572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가 설계한 온라인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예비 과학 교사가 온라인 수업을 위해 사용하는 교수전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경험한 12명의 예비 과학 교사가 작성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수학습과정안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예비 과학 교사는 기존의 대면 수업 설계 시 필수적으로 고려하였던 선수학습 확인, 학습목표 제시, 학습동기 유발, 교수학습방법, 학습내용 정리, 교사-학생 상호작용, 학생 평가 등의 요소를 모두 고려하였으며, 이들 각 요소에서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 수업에서 불가능했던 교수전략을 고안하였다. 또한 예비 과학 교사는 온라인 수업 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과 관련된 온라인 수업 환경 점검 관련 교수전략까지 고려하고 있었다. 다만 학습목표 제시, 학습동기 유발, 학습내용 정리는 대부분의 예비 과학 교사가 시청각 자료 제시 방식의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기존의 대면 수업의 교수전략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학습동기 유발과 학습내용 정리에서 학생 중심의 접근의 교수전략을 매우 드물게 구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 학기 동안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은 부족하며, 예비 교사 교육에서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Statistical Analysis of Clinical Nursing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Hong, Jeong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123-13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nursing competence and self-efficacy of 4th and 2nd semester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most of the performance-based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It was attempted to develop competency evaluation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b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SPSS WIN 24.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knowledge level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received a score of 88.95.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clinical performance was 3.15 out of 5. The mean score of self-efficacy was $4.14{\pm}0.57$ points on 6 points 2)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satisfaction of practice time' differed in the knowledge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religion' and 'health status' differed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practice time', 'nursing satisfaction', 'desired working period' and 'average rating' differed in self-efficacy. 3) The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nursing competency including the knowledge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e nursing satisfacti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e knowledge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verage rating influenced significantly and explained 23.7% of the subjects' self-efficacy.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학습에 대한 PBL과 S-PBL의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 손영주;송영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3-5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long-term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Simulation Problem-based learning (S-PBL) on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t Cheju Halla College. These students were taking problem based learning and simulation as a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with an integra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with repeated measure design. Data was col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1st semester to the end of the 2nd year when the PBL and S-PBL were completed by those who were enrolled in the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One-hundred eighty-three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the repeat data collection. Results: There we re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post PBL and S-PBL.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outcomes from the PBL and S-PBL approach. The students undertaking PBL and S-PBL demonstrated that they developed a more positive attitude about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addition, students' tendency to think critically and problem solve improved through the use of the PBL and S-PBL approach.

대학수학에서 편지쓰기를 이용한 학습태도 변화 (Learning Altitude Change with Letter-Writing at College Mathematics Clas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91-108
    • /
    • 2008
  • 대학수학 학습에서 성공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학생들에게 강력한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글쓰기 과제가 수학 학습의 동기를 불러일으키고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려고 한다. 수업시간에 일어난 또는 의논된, 강의된 내용 중에서 두, 세 개의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주제를 골라 학생들이 보고 느낀 대로 요약하여 친구나 가족 또는 보내고 싶은 사람에게 편지를 쓰도록 하고 편지쓰기 반응과 편지쓰기 결과를 분석하여 편지쓰기 시도가 수학의 저변확대와 수학학습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나아가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고 더 나은 방법을 찾아본다.

  • PDF

초등학교에서 로봇을 활용한 STEAM 교육의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with Robot in Elementary School)

  • 박정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9-29
    • /
    • 2012
  • 최근 PISA와 TIMSS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과 과학에 대한 높은 성취 결과에 비해 교과의 흥미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로봇 활용 STEAM 교육이 수학 학습태도 및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집단에는 과학, 수학, 미술교과를 '에너지'라는 주제로 로봇활용 융합적인 STEAM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세 교과를 분과적인 방식으로 수업하였다. 로봇활용 STEAM교육 수업을 위해 4학년 2학기 수학, 과학, 미술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선택된 '에너지' 주제를 중심으로 STEAM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과학수업은 로봇을 활용하여 열전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실험결과는 수학수업의 꺾은선그래프 단원에 연계하였다. 미술수업에서는 열에너지의 느낌을 형과 색으로 표현해보고 상상 표현을 위해 로봇부품을 활용 하였다. 연구결과 로봇활용 STEAM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전통적 교과수업보다 수학 학습태도 및 과학 학습동기가 높게 나타났다(p<.05). 이와 같은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 STEAM 수업이 수학 및 과학의 흥미 신장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병리학 교과목에 부분 적용한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Partially Applied in a Pathology Course on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of Nursing Students)

  • 유영미;오세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31-3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병리학 교과목에 부분 적용한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2학년 106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Wilcoxon-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기 초에 비하여 학기 말에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학습동기의 하위 항목인 주의력과 만족도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이와 같은 간호대학생의 핵심 역량을 계발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이 융합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