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1초

해독금화산(解毒金花散)의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Haedokgeumhwa-san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하일;이수경;권영미;송용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3
    • /
    • 2015
  • Objective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human pathogen and a major cause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New antibacterial agents that have not been compromised by bacterial resistance are needed to treat MRSA-related infe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ethanol extract of Haedokgeumhwa-san (HGH) which prescription is composed of korean medicine against MRSA. Method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HGH extract was evaluated against MRSA strains by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broth microdilution metho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checkerboard dilution test, and time-kill test; its mechanism of action was investigated by bacteriolysis, detergent or ATPase inhibitors. The checkerboard dilution test was used to examined synergistic effect of ampicillin, oxacillin, ciprofloxacin, vancomycin, gentamicin and norfloxacin in combination with HGH ethanol extract. A time-kill assay was performed a survival curve which was obtained by plotting viable colony counts depending on time on bacterial growth. Result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ethanol extract (HGH) ranged from 1,000 to $2,000{\mu}g/mL$ against all the tested bacterial strains, respectively. We are able to confirm that HGH extract has potentially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In the checkerboard dilution test,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of HGH in combination with antibiotics indicated synergy or partial synergism against S. aureus. A time-kill study showed that the growth of the tested bacteria was considerably inhibited after 8 hr of treatment with the combination of HGH with selected antibiotics. For measurement of cell membrane permeability, HGH $250{\sim}1,000{\mu}g/mL$ along with concentration of Triton X-100 (TX) and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 (Tris) were used. In the other hand, N,N-dicyclohexylcarbodimide (DCCD) and Sodium azide ($NaN_3$) was used as an inhibitor of ATPase. TX, Tris, DCCD and $NaN_3$ cooperation against S. aureus showed synergistic action. Accordingly, antimicrobial activity of HGH was affected by cell membrane and inhibitor of ATPas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edokgeumhwa-san extract has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at HGH extract offers a potential as a natural antibiotic against MRSA.

Bacterial Pathogen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 Chi, Su Young;Kim, Tae Ok;Park, Chan Woo;Yu, Jin Yeong;Lee, Boram;Lee, Ho Sung;Kim, Yu Il;Lim, Sung Chul;Kwon, Yong S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3권1호
    • /
    • pp.32-37
    • /
    • 2012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s the bacterial pathogen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in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Methods: A total of 109 bacterial pathogens from 91 adult patients with VAP, who were admitted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09, were examined. Clinical characteristics, bacterial pathogens, and resistance profiles were analyzed. Results: Staphylococcus aureus (44%) wa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Acinetobacter baumanii (30%), Pseudomonas aeruginosa (12%),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7%), Klebsiella pneumoniae (6%), and Serratia marcescens (2%) were isolated from the transtracheal aspirates or bronchoalveolar lavage in patients with VA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acterial pathogens between early and late onset VAP. All isolated S. aureus were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the imipenem resistance rate of A. baumanii was 69%. Conclusion: The two most frequent pathogens of VAP were S. aureus and A. baumanii. There were no pathogenic differences between early and late onset VAP.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Staphylococcus aureus FORC_001 and S. aureus MRSA252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Antibiotic Resistance and Virulence Factors for Human Infection

  • Lim, Sooyeon;Lee, Dong-Hoon;Kwak, Woori;Shin, Hakdong;Ku, Hye-Jin;Lee, Jong-eun;Lee, Gun Eui;Kim, Heebal;Choi, Sang-Ho;Ryu, Sangryeol;Lee, Ju-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98-108
    • /
    • 2015
  • Staphylococcus aureus is an important foodborne pathogen that causes diverse diseases ranging from minor infections to life-threatening conditions in humans and animals. To further understand its pathogenesis, the genome of the strain S. aureus FORC_001 was isolated from a contaminated food. Its genome consists of 2,886,017 bp double-stranded DNA with a GC content of 32.8%. It is predicted to contain 2,728 open reading frames, 57 tRNAs, and 6 rRNA operons, including 1 additional 5S rRNA gene. Comparative phylogenetic tree analysis of 40 complete S. aureus genome sequences using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revealed that strain FORC_001 belonged to Group I. The closest phylogenetic match was S. aureus MRSA252, according to a whole-genome ANI (99.87%), suggesting that they might share a common ancestor. Comparative genome analysis of FORC_001 and MRSA252 revealed two non-homologous regions: Regions I and II. The presence of various antibiotic resistance genes, including the SCCmec cluster in Region I of MRSA252, suggests that this strain might have acquired the SCCmec cluster to adapt to specific environments containing methicillin. Region II of both genomes contains prophage regions but their DNA sequence identity is very low, suggesting that the prophages might differ.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S. aureus isolated from a real foodborne outbreak in South Korea. This report would be helpful to extend our understanding about the genom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irulence factors of S. aureus for further studies of pathogenesis, rapid detection, an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n foodborne outbreak.

식품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 특징 및 균막 형성 (Antibiotic Resistance and Bacterial Biofilm Formation by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 이주영;왕해진;신동빈;조용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6-104
    • /
    • 2013
  •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다양한 식품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 275균주에서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 균주는 259주(94.2%)이며 benzyl penicillin(P)이 92.0%로 가장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 106(40.7%) 균주가 2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났으며 3가지 이상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 균도 36주(13.8%)였다. Vancomycin에 대해서는 내성을 보인 균주는 없었다. 식품별로는 초밥과 김밥에서 검출된 균주는 8종류의 항생제에 각각 내성을 나타냈으며 MRSA 균주는 11주(전체 275주)가 4% 검출되었다. Oxacillin 내성균은 다제 내성 균주였다. Automated repetitive sequences based PCR microbial typing system(DiversiLab)으로 oxacillin 내성이 있거나 다제 내성인 20주에 대해 유형을 분석한 결과 DiversiLab Analysis Tool for Typing Reports 24529에 의해 90% 이상의 상동성은 2개의 Cluster과 4개의 unique type으로 구분되었다. Congo red agar에 의한 slime production assay로 균막 형성에 대한 양성 결과 균막 형성 양성은 275균주 중 67균주로 24.4%, biofilm assay로 균막 양성인 균주는 30.5%이며 초밥에서 분리한 균주가 34.5%로 가장 많이 형성 되었다. 항생제 내성과 균막 형성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slime 형성 균주는 fusidic acid(FA), mupirocin(MUP)의 단일 항생제의 내성과 통계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다제 내성균의 수와 균막 형성은 상관 관계가 없었다.

흡연자와 비흡연자간의 구강 내 세균 분포 및 항균제 감수성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acteria in the Oral Cavity of Smokers or Non-Smokers)

  • 정현자;김수정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4-340
    • /
    • 2010
  • 흡연은 음주와 더불어 치과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흡연자와 비흡연자간의 구강 내 분포하는 미생물을 조사한 연구는 현재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 30명, 비흡연자 30명으로 나누어 구강 내 분포하는 세균을 분리하고 혈액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분리된 병원성 세균은 Kirby-Bauer 항생제 감수성 검사 방법으로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및 내성을 검사하였다. 각각의 콜로니는 그람 염색을 하였고 자동 동정기인 VITEK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그람 염색법을 이용한 결과 흡연자의 구강에서는 총 41개 균주가 분리되었고, 그 중 그람 양성 구균 63%, 그람 음성 구균 29%, 그람 양성 간균 3%, 그람 음성 간균 5%가 나타났고, 비흡연자의 구강에서는 총 38개 균주가 분리되었고 그 중 그람 양성 구균 55%, 그람 음성 구균 26%, 그람 양성 간균 3%, 그람 음성 간균 16%가 나타났다. VITEK system을 이용하여 세균의 특이적 분포를 조사한 결과 흡연자의 구강에서는 Streptococcus mutans (6/41), Gemella morillorum (6/41), Streptococcus oralis (2/41), Streptococcus pneumoniae (1/41), Staphylococcus aureus (3/41), Streptococcus anginosus (1/41), Streptococcus intermedius (1/41), Streptococcus uberis (1/41), and Streptococcus sanguinis (1/41) 반면 비흡연자의 구강에서는 Streptococcus sanguinis (8/38), Staphylococcus aureus (1/38), Staphylococcus auricularis (1/38), Streptococcus uberis (1/38), Streptococcus intermedius (1/38), Streptococcus mutans (1/38), and Streptococcus oralis (1/38)로 나타났다. 3명의 흡연자에서 분리된 S. aureus는 Beta-lactamase를 분비하는 MRSA로 동정된 반면 비흡연자 한 명에서 분리된 S. aureus는 Beta-lactamase를 분비하지 않고 methicilin에 감수성을 보였다.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상재균은 다른 분포를 보였고 특히 G. morillorum와 MRSA가 흡연자의 구강에서 흔히 발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흡연자의 구강질환을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racteristics and Lytic Activity of Phage-Derived Peptidoglycan Hydrolase, LysSAP8, as a Potent Alternative Biocontrol Agent for Staphylococcus aureus

  • Yu, Jun-Hyeok;Lim, Jeong-A;Chang, Hyun-Joo;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2호
    • /
    • pp.1916-1924
    • /
    • 2019
  • Outbreaks of staphylococcal food poisoning (SFP) causing serious human diseases and economic losses have been reported globally. Furthermore, the spread of Staphylococcus aureus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multiple antimicrobial agents has become a major concern in the food industries and medicine. Here, we isolated an endolysin LysSAP8, as one of the peptidoglycan hydrolases, derived from the bacteriophage SAP8 infecting S. aureus. This endolysin was tagged with a 6×His at the C-terminal of the target protein and purified using affinity chromatography. LysSAP8 demonstrated lytic activity against a broad spectrum of bacteria, which included a majority of the staphylococcal strains tested in this study as well as the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however, no such activity was observed against other gram-positive or gram-negative bacteria. Additionally, LysSAP8 could maintain bactericidal activity until 0.1 nM working concentration and after heat treatment at 37℃ for 30 min. The ability of LysSAP8 to lyse cells under varying conditions of temperature (4-43℃), pH (3-9), and NaCl concentrations (0-1,000 mM), and divalent metal ions (Ca2+, Co2+, Cu2+, Mg2+, Mn2+, Hg2+, and Zn2+) was examined. At the optimized condition, LysSAP8 could disrupt approximately 3.46 log CFU/ml of the planktonic cells in their exponential phase of growth within 30 min. In this study, we have suggested that LysSAP8 could be a potent alternative as a biocontrol agent that can be used to combat MRSA.

Molecular Epidemiologic Study of 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utbreak at a Newborn Nursery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Kang, Hyun Mi;Park, Ki Cheol;Lee, Kyung-Yil;Park, Joonhong;Park, Sun Hee;Lee, Dong-Gun;Kim, Jong-Hy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3호
    • /
    • pp.148-160
    • /
    • 2019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실과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유행에서 환자와 보균자에서 분리된 MRSA의 분자역학적 연관성을 조사하여 유행의 감염원과 전파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MRSA 유행기간인 2017년 8월부터 9월까지 피부감염 및 패혈증 환자들과 보균자로부터 분리된 MRSA 균주를 대상으로 유전형 및 병원성 인자를 분석하고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신생아실(n=27)과 신생아 중환자실(n=14)에 총 41명의 신생아들이 입원하였다. 그 중, 7명(피부감염[n=6], 패혈증[n=1])에서 MRSA 감염이 확진되었고, 보균자 4명이 발견되었다. 신생아와 접촉이 있는 의료진 32명 중 3명이 MRSA를 비강에 보균하였다. 피부감염 유행 원인 균주는 Staphylococcal chromosomal cassette mec (SCCmec) type II, sequence type (ST) 89, spa type t375였고, 뮤피로신 저농도 내성을 포함하여 항생제 다제내성을 보였다. 패혈증을 일으킨 균주는 SCCmec type IVa, ST 72, 새로운 spa type인 t17879였다. 신생아 4명에게 집락된 MRSA 균주들은 다양하였으나 SCCmec type IVa, ST 72, spa type t664가 의료진과 신생아 2명에서 공통적으로 분리되었다.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toxin 유전자가 신생아에게 집락된 모든 균주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피부감염 유행을 일으킨 MRSA 균주는 항생제 다제내성을 보이는 균주였다. 신생아 MRSA 보균자에게서 분리된 균주는 모두 PVL 독소 유전자를 보유하였다. 유행기간 동안 다양한 MRSA 균주가 신생아들에게서 분리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감염 관리 및 추가 환자발생의 차단을 위하여 분자역학조사를 통하여 원인균을 확인하고 전파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의 분자 아형 분석 (Molecular Subtyp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Nasal Cavity)

  • 김상하;박성배;박희철;김준성;김정호;이지영;임재원;김영권;김성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8-13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총 39건의 MRSA 분리 배양 균주를 이용해 mecA 유전자 검출,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임상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MRSA 총 39주 중 SCCmec type-II가 24건, type-II/IVa가 2건, type-II/V가 1건, type-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분석되었으며, mec complex type A가 29건, not-typeable이 10건이었으며, type B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MRSA 분리 배양 균주 중 SCCmec type-II와 mec complex type A 아형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결과는 의료기관 획득 MRSA에 관한 다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후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not-typeable 아형의 MRSA 균주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MRSA 아형 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MRSA 분리 배양 균주의 아형을 분석함으로써 그 분자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것으로 사료된다.

신규 분리균주 Streptomyces sp. BCNU 1030의 in vitro 항균활성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a New Isolate Streptomyces sp. BCNU 1030)

  • 방지훈;최혜정;안철수;김동완;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9-595
    • /
    • 2011
  • 질병를 유발하는 미생물들의 항생물질에 대한 증가하는 내성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하고자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을 탐색하여 특성화하는데 본 연구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충청북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DA, starch casein agar 등의 배지를 이용하여 100여 개의 방선균주를 순수분리하였다. 순수분리된 방선균주 중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가장 활성이 뛰어난 BCNU 1030을 선발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속으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인 BCNU 1030은 MRSA를 포함한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졌다. BCNU 1030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은 MRSA CCARM 3090에 대하여 최소$0.78\;{\mu}g/ml$의 농도에서 저해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BCNU 1030은 새로운 anti-MRSA 항생물질의 개발에 있어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설사 환자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Diarrhea.)

  • 박은희;민상기;이주현;박연경;정구영;빈재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47-651
    • /
    • 2005
  • 부산광역시 관내 병원에 내원한 설사환자 704명의 분변으로부터 64건의 황색포도상구균을 분리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의 평균 분리율은 $9.1\%$였으며, 5월에 가장 높은 16건$(16.8\%)$이 분리되었으나 계절에 상관없이 꾸준히 분리되었다.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64균주 중 $45.3\%$인 29균주의 황색포도상구균이 장독소를 생산하였으며, 장독소 유형별로 A형이 24균주$(37.5\%)$, B형이 3균주$(4.7\%)$, C형이 2균주$(3.1\%)$순이었다. 또한 15종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율은 penicillin과 ampicillin에 대하여 각각 $95.4\%$$93.8\%$로 매우 높은 내성율을 나타내었으나, chloramphenicol과 vancomycin에 대하여는 $100\%$ 감수성이었다. Oxacillin에 내성을 나타내는 MRSA은 $31.3\%$였으며, vancomycin에 내성을 나타내는 VRSA은 $0\%$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MRSA의 분리율은 남자가 $35.7\%$ (15균주/42균주), 여자는 $26.3\%$(5균주/19균주)로 남자가 더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9세 이하 5명(남자 4명, 여자 1명), 20대 1명(남자 1명), 30대 2명(남자 2명), 50대 4명(남자 3명, 여자 1명), 60세 이상 8명(남자 5명, 여자 3명)이었다. 10대와 40대에서는 MRSA가 분리되지 않았다. 공시 항생제에 대한 내성양상은 분리된 64주 중 61주의 균이 최소 2종류 이상의 약제에 대하여, 최고 12종류의 약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다제내성형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