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tion Effect Model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32초

품질경영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마음챙김지원에 의해 조절된 혁신문화의 매개효과 - (Effect of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 Mediation Effect of Innovation Culture Moderated by Organizational Mindfulness Support -)

  • 하석광;윤병섭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67-685
    • /
    • 2019
  • Purpose: This paper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through innovative culture moderated by organizational mindfulness support which supports organizational mindfulness that means the organization members' attention is stable, opened mind and sensitive to change.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to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of the Korea Standard Association. We analyzed 265 data using SPSS MACRO PROCES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Results: Research shows that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ffect the performance by partially mediating of innovation culture moderated by organizational mindfulness support. In other words, the higher organizational mindfulness support, the stronger the mediated effect of innovation culture in relation to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formance. Conclusion: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impact of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on performance, we could see that organization is needed to support for education or learning that can improve organizational mindfulness.

사회적지지가 남녀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chool-Related Adjustments: The Mediation Effect of Life Satisfaction)

  • 최미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651-668
    • /
    • 2014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s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26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140 male and 120 female students) from the Seoul area.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thod was used and examined, and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model's significance. It was adapted to SPSS ver. 19.0 for Window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parents/teacher/frie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dolescents' school-related adjustment. Second,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dolescents' school-related adjustments. In addition,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It was further found that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ended to play a perfectly/par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that is, social support (parents/teacher/friend) was shown to have not only a direct effect, but also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on the school-related adjustment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adolescents' school-related adjustments.

서번트 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A Study on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Affecting Creativity :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장은혜;이광희;장은영;곽현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4-1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not only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affecting creativit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Creativity refers to the production of novel and useful ideas by an individual or by a group of individuals working together [2]. A survey was conducted by 301 employee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which treated the servant leadership as independent variable and creativity as criterion variables. Empowerment was supposed as mediating variable of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is study,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nfluence on empowerment. Empowerment had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Also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t first, but i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reativity when empowerment was considered. These mean that empowerment is complete mediation variable because servant leadership no longer affects creativity after empowerment has been considered. Sever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QC담당자의 인식 및 실행이 사후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S인증 공장심사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ption and Practice of QC Personnel on Post-Management: Focusing on KS Certified Factory Evaluation Criteria)

  • 유연택;홍정의;김광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7-115
    • /
    • 2024
  •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quality control managers'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KS certification factory inspection evaluation items on follow-up management. Through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influence of KS certification officer's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KS certification factory inspection on post manage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post management, with implementation having a greater influence on post management than awareness. It was having an impact. The independent variable (percep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mediating variable (execution), and in the stage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perception) on the dependent variable (follow-up managemen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 In the stage where the independent variable (perception) and the mediator (implementation) are input simultaneously, both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ediator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indicating that there is a mediation effect.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Digital Divide on The Digital Daily Life of The Elderly)

  • 허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9-15
    • /
    • 2020
  • 본 연구는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60세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경향성을 측정하여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디지털 의사소통 기술, 디지털 자신감, 디지털 자기통제감, 디지털 생활만족을 측정하였다. 연구모형은 교차설계 모형과 이중매개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 접근성이 높은 집단이 전반적인 디지털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 활동성이 높은 집단이 디지털 자기통제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의사소통 기술이 디지털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자신감과 디지털 자기통제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층의 디지털 격차에 대한 극복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40-649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영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14세에서 19세 청소년 5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419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15.8세이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최초 연구 모형은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형수정지수를 참조하여 모형을 수정한 결과 1차 수정 모형은 ${\chi}2=222.527$, df=83,p<.000, GFI=.975, NFI=.961 그리고 RMSEA=.061로 나타나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형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직접 효과는 .02이며, 영성을 매개한 간접효과는 .30로 나타났다. 이에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영향을 영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볼 때 청소년들의 비합리적 신념이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영성 수준을 향상 시키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비합리적 신념의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정노동자들의 부정적 정서가 정서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상황 요인 검증 (The Effects of the Negative Affectivity of Emotional Laborers on Their Emotional Exhaustion: Situational Characteristics Moder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 한규은;김민영
    • 감성과학
    • /
    • 제22권4호
    • /
    • pp.45-56
    • /
    • 2019
  • 정서조절은 정서와 관련된 개인차 요인이 개인의 정서 생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매개모델에 상황 요인을 추가하여 상황에 따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직종에서 고객응대를 주 업무로 하고 있는 180명의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감정노동자의 일상적 부정정서, 인지적 재평가, 정서적 소진, 본인이 경험하는 고객 불만의 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건적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객 불만의 강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부정정서가 인지적 재평가를 매개로 하여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고객 불만의 강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해당 간접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높은 강도의 부정정서 유발 상황에서는 인지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통해 감정노동자의 정서적 소진이 감소될 수 있지만, 낮은 강도의 부정적서 유발 상황에서는 인지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통해 정서적 소진이 증가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 연구에 있어 개인차적인 측면과 상황적 측면이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감정노동자 직군의 정서적 특수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임상간호사의 욕구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 김화진;신선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45-45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근거한 5가지 욕구만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욕구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융합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에 소재한 종합병원의 임상간호사 239명이었다. 수집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리적 욕구와 안전 욕구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소속감 욕구, 존중 욕구 및 자아실현 욕구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생리적 욕구와 존중 욕구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임상간호사의 욕구만족(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감 욕구 및 자아실현 욕구)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5가지 욕구만족이 증가하면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여 의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간호사의 욕구만족과 직무만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Care-workers Work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 홍서준;김진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107-113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수집은 경기지역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요양보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와 이상치를 제거하고 최종 26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PROCESS Macro V3.5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Hayes(2013)의 Macro Model Number 4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 변인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개선과 직무만족 증가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과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후속 연구를 제안했다.

사회적 지지, 자존감, 진로포부 간의 성차 모형 검증: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매개 역할 (The Sex Difference in Relationship Model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The role of Collective Self-Esteem and Personal Self-Esteem)

  • 박용두;이기학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3권3호
    • /
    • pp.263-282
    • /
    • 2008
  • 진로포부는 성인기 삶에서 중요한 직업적 삶의 적응과 관련된 변인으로서 많은 진로 연구자들의 지속적 관심을 받아왔다. 진로포부 발달의 성차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는 것은 여성과 남성의 진로 발달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잠재성 발현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 지도 및 상담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진로포부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포부 간의 관계에서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한 후 이러한 심리적 기제가 성차에 따라 다른지를 검증하였다.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서 심리학 관련 교양 수업을 듣는 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문지에는 사회적 지지, 집단자존감, 개인자존감과 진로포부에 관한 문항들이 포함되었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개인자존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 있어 집단자존감의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더 우수한 적합도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포부사이에서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부분매개효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 개인자존감, 집단자존감과 진로포부 간의 관계 모형이 성차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확인해 본 결과 성차에 따라 이들 각 변인 간의 관계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포부 형성에 있어서 독립된 개인에 대한 평가 또는 지각뿐만 아니라 개인 속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평가 또는 지각이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포부 형성에 영향을 끼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성차에 따른 관계 모형의 차이는 진로포부 형성의 심리적 기제가 성차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