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x Difference in Relationship Model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The role of Collective Self-Esteem and Personal Self-Esteem

사회적 지지, 자존감, 진로포부 간의 성차 모형 검증: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매개 역할

  • Park, Yongdoo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 Lee, Kihak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Received : 2008.08.11
  • Accepted : 2008.09.25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on the link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aspir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development of career aspiration differs by gender. A total of 316 undergraduate students(155 male and 161 female) completed measures of social support, personal self-esteem, collective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model differed by gend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ll mediation model fit of collective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was better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Next, in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aspira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dividu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 esteem was significant. Lastly, when the model of social support, individu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and career aspiration was teste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the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aluations and perceptions on the individual's social group as well as the individual influedced to career aspiration,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Also, the gender-difference of relationship model indicates that it might be different from men and women in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career aspiration formation.

진로포부는 성인기 삶에서 중요한 직업적 삶의 적응과 관련된 변인으로서 많은 진로 연구자들의 지속적 관심을 받아왔다. 진로포부 발달의 성차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는 것은 여성과 남성의 진로 발달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잠재성 발현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 지도 및 상담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진로포부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포부 간의 관계에서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한 후 이러한 심리적 기제가 성차에 따라 다른지를 검증하였다.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서 심리학 관련 교양 수업을 듣는 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문지에는 사회적 지지, 집단자존감, 개인자존감과 진로포부에 관한 문항들이 포함되었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개인자존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 있어 집단자존감의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더 우수한 적합도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포부사이에서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부분매개효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 개인자존감, 집단자존감과 진로포부 간의 관계 모형이 성차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확인해 본 결과 성차에 따라 이들 각 변인 간의 관계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포부 형성에 있어서 독립된 개인에 대한 평가 또는 지각뿐만 아니라 개인 속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평가 또는 지각이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포부 형성에 영향을 끼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성차에 따른 관계 모형의 차이는 진로포부 형성의 심리적 기제가 성차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