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19초

수학 기초학력 미달자의 수준별 수업에서 효율적인 지도 방법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Underachieving Students through Level Differentiated Classes)

  • 신준국;윤상인;김양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81-96
    • /
    • 2014
  • 수준별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우선 성취도에 따라 다른 교재(교과서의 재구성)와 수업의 방법이 변화되어야 하나 현실은 같은 교재로 속도의 차이만을 가지고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성취도가 낮은 중하위권 학생들을 위한 교재와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는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수준별 이동수업 내에서 효율적인 교재와 지도법이 개발된다면 그와 같은 수고를 덜고 교육과정 정상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수학과 학습 부진학생의 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수행평가 및 진단평가지, 교과서의 재구성을 통한 교재 개발, 수업일지 등의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수업에 직접 적용한다. 그것을 실험반과 비교반을 대상으로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실험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비교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는 의미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증명이 어떻게 내러티브가 될 수 있는가? -함수의 평행이동에 대한 사례연구- (How Could a Proof Be Constructed into a Narrative? Focused on Function Translations)

  • 이지현;이기돈;이규희;김건욱;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3호
    • /
    • pp.297-313
    • /
    • 2012
  • 학생들에게 증명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전개하는 대안으로, 내러티브의 잠재력과 그 효과를 함수의 평행 이동이라는 사례에서 논의한다. 내러티브의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평행 이동한 함수의 식을 유도하는 증명을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학생들에게 내러티브와 형식적 증명을 각각 제시하고, 내러티브가 증명을 제시하는 것보다 함수의 평행 이동에 대한 도구적 및 관계적 이해라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사후 도구적 및 관계적 이해 검사 결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므로, 내러티브로 제시하는 것이 증명을 제시하는 것보다 함수의 평행 이동에 대한 도구적 및 관계적 이해의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관계적 이해 반응과 수업 평가에 대한 질적 분석에서는 비교집단과 실험 집단사이에서 몇 가지 다른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형식적 증명을 보완할 수 있는 내러티브의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 PDF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 연구 (A Survey Research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D Korea)

  • 박경미;김동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1호
    • /
    • pp.89-1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by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a Delphi method, and a survey. Further analysis of TIMSS and PISA results also reveals several negative asp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 in Korea. The mathematics education experts' opinions collected by Delphi method were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private education and test-driven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lessons, evaluation, teacher, learner, teaching aid and facilities. affective aspects of mathematics, discrepancy between a theory and a practice, preservice/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employment test, education policy, and overall.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to focus more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which is a pending issue. Considering the fact that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practical aspect as well as elaborate theoretical aspect, this study lays a foundation of improv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차이에 대한 교사 의견 조사: 정적분의 활용을 중심으로 (Teachers' Opinions on Differences of Detail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High School Textbooks - Focused on Utilizing of Definite Integral -)

  • 양성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4호
    • /
    • pp.555-570
    • /
    • 2015
  • 2015년 9월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총론 및 각론이 확정 고시될 계획이며 이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교과서는 교수 학습 내용의 방향과 범위를 결정하고 통제하는 역할과 기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생과 교사가 만나는 수업의 장에서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따라 수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구성의 차이점을 정적분의 활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을 구성하여 14개 시 도교육청 고등학교 수학교사 369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구성의 차이에 따라 발생되어질 수 있는 교사의 교수 내용 및 방법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과서 세부 학습내용의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과서 편찬 체제에 대한 개선점 도출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활용한 수학학습이 공간감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essellation Activities on Spatial Sense)

  • 박현미;강신포;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7-136
    • /
    • 2007
  • 본 연구는 공간감각능력의 신장을 위한 테셀레이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학습이 공간감각능력의 신장에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G초등학교 5학년 1개반(24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구분하고, 학업성적에 따라 상, 하 2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설계로는 준-실험 설계 중 단일집단 전후검사설계(on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가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에는 아침자습시간, 재량활동시간, 수학교과시간을 통해 탱그램, 패턴블록, GSP를 이용한 테셀레이션 학습 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공간감각능력의 신장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는 'K-WISC-III 동작성 검사'를 위주로 한 공간감각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학습은 공간감각의 하위 요소인 눈-운동 지각, 지각 지속성, 형-배경 지각, 위치 지각, 시각적 변별의 5가지 영역의 전체 평균에서 성적(F=140.088, p=.000 수준)과 시기(F=49.659, p=.000 수준)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성별(F=1.004, p=.322 수준)의 경우 전체 평균에서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문제제기 활동이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lem-posing Activities on the Affective Domain of Mathematics)

  • 오영수;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41-5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수학 문제로부터의 문제제기'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에 대한 교사차원에서의 평가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적 질적 접근을 결합한 3단계로 연구대상 전체학생 및 개별학생의 정의적 성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제제기 수업은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학습활동 자체에서의 유의미한 경험으로 이어지면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을 향상시켰다. 둘째, 중학교 1학년 수학부터 고등학교 3학년 수학까지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은 중시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평가 관리가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수학과 정의적 영역의 평가 체계와 방법을 국가수준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교사는 교실수업에서 문제제기 교수 학습을 적극적으로 실행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도와야 하며, 정기적으로 모든 학생의 정의적 성취를 측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초등학교 수학교실에 사회적 관행 분석 (A Study on Social Practic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8권2호
    • /
    • pp.69-9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by considering mathematics as a kind of social practices and mathematics classroom as a kind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Which kinds of lesson organization reveal? 2) Which kinds of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reveal? 3) Which processes of making meaning reveal? This study was based on ethnomethodology. It was executed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terviews and surveys with teacher and 5 graders to collect the data related to the social practices formed their classroom.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was analyzed from three aspects such as lesson organization,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and making meaning. The results from which we analyzed the social practices of the mathematics classroom are as followings. From the aspect of lessons organization, the teacher had a lot of power and authorities in the classroom and used them to elicitate students' responses. From the aspect of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five SPSs(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s) which revealed in Jo(1997)'s economics classrooms, were shown in this mathematics classroom, but there were a difference to the situations or frequencies which the SPSs appeared. From the aspect of making meaning, it was common that meanings are formed by the explanation of the teacher, but the teacher didn't deliver the mathematical meanings directly. She tried to interact with students to arrive shared meanings.

  • PDF

고등학교 수학 교사가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Guiding Students)

  • 유기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47-61
    • /
    • 2019
  • 본 연구는 6개 시 도 36명의 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교사의 성별, 직위별, 경력별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결과 수업 요인 중 학생 지도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은 학생 평가, 교수 학습 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집단별 평균 차이 검증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 교과 내용학과 교육학이 학생 지도에 도움이 된 정도는 선행연구와 달리 두 가지 모두 다소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 성취도평가 문항에 나타난 성차의 원인 분석 (The Analysis of Cause of Gender Gap in Items of 6th Grad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서보억;이광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1호
    • /
    • pp.13-29
    • /
    • 2012
  • 본 연구는 초동학교 6학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남녀간 성차가 두드러진 문항에 대한 심층 분석 연구이다. 국가단위 시험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큰 문항들을 선택하고, 이러한 문항에서 어떤 수학 내적 원인이 성차를 유발하였는지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난 8년간의 성취도평가 문항 중에서 남녀 차가 현저한 문항들을 선택하고, 이러한 문항에 대한 문항 개념도를 작성한다. 문항 개념도를 바탕으로 본검사 문항을 개발하고 검사를 실시한다.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남녀 차가 발생한 원인을 수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습 및 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예비 수학교사의 통계와 확률론에서의 몇 가지 오개념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ome Misconceptions in the Statistics and Probability)

  • 김창일;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69-483
    • /
    • 2018
  • 본 연구는 예비 수학교사들이 학교수학에서 확률과 통계 교수를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고 교사교육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확률과 통계학 교육과정의 설문과 평가를 실시하고 이들 간의 회귀분석과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를 통해 난이도에 비해 평가 결과가 낮게 나타난 문항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확률과 통계에 대한 중등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의 내용체계를 연계하여 예비 수학교사들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 수학교사들의 확률과 통계 교과목 이해 정도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셋째, 예비 수학교사들이 가진 오개념과 그 원인의 다양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