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s' Opinions on Differences of Detail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High School Textbooks - Focused on Utilizing of Definite Integral -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차이에 대한 교사 의견 조사: 정적분의 활용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9.10
  • Accepted : 2015.12.07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General and subject guideline for new curriculum are confirmed and plan to announced on September 2015.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m will proceed. Because textbooks have the role and function to determine and control the direction and scope of teaching and learning, Textbook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ituation where teachers and students meet. Thus we get a significant effect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extbook. In this study, we analyzed differences of detail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high school textbooks focused on utilizing of definite integral. After creat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it,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 369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elong to 14 education offices of cities and provinces are polled out by accidental sampling metho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search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arise due to differences of detail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high school textbooks and thereby it explored the impact on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is, Our intention is to offer implication about the structure of textbook detail learning contents and to derive the improvements about textbook compilation system.

2015년 9월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총론 및 각론이 확정 고시될 계획이며 이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교과서는 교수 학습 내용의 방향과 범위를 결정하고 통제하는 역할과 기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생과 교사가 만나는 수업의 장에서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따라 수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구성의 차이점을 정적분의 활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을 구성하여 14개 시 도교육청 고등학교 수학교사 369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구성의 차이에 따라 발생되어질 수 있는 교사의 교수 내용 및 방법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과서 세부 학습내용의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과서 편찬 체제에 대한 개선점 도출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 수학. 서울: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신생인쇄조합.
  2.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3.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 보도자료(2010.01.12.).
  4. 교육과학기술부(2011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8].
  5. 교육과학기술부(2011b).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교과용도서 집필기준(국어, 도덕, 역사, 경제).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2011c). 초.중등학교 교과용도 서 국.검.인정 구분 고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29호.
  7.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사편찬위원회(2011).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1-49.
  8. 교육부, 시.도교육청 인정도서협의회, 한국교과서연구재단(2013). 인정도서 업무 편람. 신성인쇄상사.
  9.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4).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교육인적자원부(2006). 수학.영어 교육과정 개정고시(제2006-75호, 2006.8.29)에 따른 검정도서(수학, 영어) 편찬상의 유의점. 교육인적자원부.
  11. 교육인적자원부(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8].
  12. 김덕근, 김명정, 윤현진(2014). 인정도서 관련 법규의 개선 방안. 교육과정평가연구, 17(2), 1-20.
  13. 김원경 외 11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주)비상교육.
  14. 김창동 외 14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주)교학사.
  15. 김해경 외 8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기본. (주)더텍스트.
  16. 류희찬 외 17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주)천재교과서.
  17. 신항균 외 11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주)지학사.
  18. 양승갑 외 7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기본. (주)금성출판사.
  19. 오만록(2002). 학교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형설출판사.
  20. 우무하 외 5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기본. (주)박영사.
  21. 우정호 외 7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기본. 두산동아(주).
  22. 우정호 외 24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두산동아(주).
  23. 유희찬 외 12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주)미래엔.
  24. 윤재한 외 14인(2010).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기본. (주)더텍스트.
  25. 윤현진, 문영주, 주형미, 김정효, 윤지훈, 박지현, 이동엽(2014). 교과용도서 개발 체제의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T 2014-2.
  26. 이강섭 외 3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주)지학사.
  27. 이강섭 외 14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주)미래엔.
  28. 이동원 외 6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기본. 법문사.
  29. 이만근 외 3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주)고려출판.
  30. 이성호(2003). 교수방법론. 서울: 학지사.
  31. 이종국(2008).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대한교과서(주).
  32. 이준열 외 9인(2010).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주)천재교육.
  33. 이준열 외 9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주)천재교육.
  34. 이춘식(2004). 인정 도서의 제도 개선. 교과서연구, 42, 47-51.
  35.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2001). 21세기 교육 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36. 인천광역시교육청(2012a). 2009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에 따른 교과용도서(수학, 도덕) 개발상의 유의점.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기획과.
  37. 인천광역시교육청(2012b). 2009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에 따른 인정심사 기준(수학, 도덕).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기획과.
  38. 정상권 외 7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주) 금성출판사.
  39. 최용준 외 9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주)천재교육.
  40.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검정 심사 방안 탐색을 위한 워크숍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5-68.
  41. 황석근 외 12인(2013).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주)교학사.
  42. 황선욱 외 12명(2010).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주)좋은책신사고.
  43. 황선욱 외 10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주) 좋은책신사고.
  44.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2014).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