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1,585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 SW교육을 위한 CT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SW Education)

  • 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20
    • /
    • 2015
  •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지만 실제 초등교과와 연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교과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을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선 수학에서의 CT 적용 방안을 3가지 모델로 설정하였고 CT기반 수학의 수업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긍정적인 만족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학교 적용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자료가 학교 현장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학생의 CT능력 신장에도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과학 성취도: 성 차이를 중심으로 (Korean Student's Achievement of Earth Science i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s of Gender Differences)

  • 박정;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7-220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최근 수행된 국제 비교 연구인 TIMSS-R과 PISA 2000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 과학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성취도 및 성 차이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에 실시된 TIMSS-R에 포함된 33개의 지구 과학 관련 문항과 2000년에 실시된 PISA에 포함된 13개의 지구 환경 과학 문항에 대한 국제 및 국내 평균 정답율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나라 학생들은 문항 유형별로는 선택형 문항에서, 수행 영역별로는 단순 정보 이해문항에서 국제 평균 정답율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리 나라 학생들은 그래프 해석, 표 해석등 자료 해석과 관련된 문항에서 국제 평균보다 특히 높은 정답율을 나타냈는데, 이러한 경향은 남학생들에게 더 두드러졌다. 한편, 우리 나라 학생들은 천문학 문항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는 특히 여학생에게 더 심하게 나타났다. 우리 나라 여학생들은 문항의 내용, 유형, 수행 영역 등 모든 부분에서 남학생들보다 낮은 정답율을 보여 심각한 성 차이를 드러냈다.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관련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of the 7th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s)

  • 김영주;김정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1-84
    • /
    • 2003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ffer the basic data required for composing a systemic education contents for health by analyzing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shown in the guidebook for teachers and the schoolbook for students of all grades in the current 7th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The objectives and data were totally 162 copies which were 90 copies of national schoolbook for 1~6 grades and 72 copies of guidebook for teachers used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The standards of selection for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including in each schoolbook were divided into 11 themes using the health care model suggested by Kim, Hwa Joong(1995) in the guidebook for health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otal hours of health education suggested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were 274 hours and it was 6.2% of the total class of 4,442 hours. Secondly, the contents about health education were distributed into 9 subjects of The right livelihood, The wise livelihood, The cheerful livelihood, Korean, Morals, Society,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Practical course etc. Physical education had the most contents about health education and there was nothing in Mathematics, Music and Arts. Thirdly, contents about health of regional society and environmental health were the most of 53 hours(19.3%), and contents about understanding of health were the least of 4 hours(1.4%). Fourthly, contents included equally in every grades were those about safety and emergency response, health of home and society, health of regional society and environmental health.

측정 영역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오류 분석 (Error Analysis of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Problem Solving in the Measurement Domain)

  • 김성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480-498
    • /
    • 2017
  • 본 연구는 측정 영역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오류를 분석하였다. 초등 5~6학년군의 내용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에 대한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성취기준 도달을 도울 수 있는 교수 학습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학생들에게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풀이과정을 바르게 쓰지 못한 학생이 문항에 따라 약 30~60%에 이르렀다는 점은 학생들이 측정 영역의 일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단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 등 측정 단위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삼각형에서 밑변이 정해지면 그에 따라 높이가 결정되고 이로부터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여러 개의 식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이해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영어교과를 적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모델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ming Education Model Applying English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 허미연;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97-507
    • /
    • 2017
  • 그동안의 소프트웨어교육과 타 교과의 연계 융합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수학과 과학교과에 편중되어왔다. 이는 학생의 교과에 대한 다양한 선호와 학습 성격 유형 등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학습 격차를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팅 사고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융 복합적 문제의 해결과정을 다루어야 함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하여 기존의 수학과학적 접근에서 벗어난 언어적인 접근인 영어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성향과 선호를 포용하고, 영어교과와 소프트웨어교육의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과정과 방법상의 유사점을 접목시켜 교육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영어교과와 소프트웨어교육의 교수학습모델 분석을 토대로 연계에 적합하도록 기존의 영어교과와 소프트웨어 교수학습모델을 변형하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후 초등학교 영어교과내용 중 소프트웨어교육에 적용 가능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개발된 수업모형에 적용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제적인 학습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공업고등학교 전기과 졸업생을 위한 전문대학 전기과 전공 학습의 수월성 확보에 관한 기초자료 연구 (A Basic Data Research on Advantage Studying of Junior College for Graduation Students of Technical High School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 이상석;김민회;박찬규;이재용;조세호;송태범;배병호;이종우;정안식;최성하;신동수;윤상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10-18
    • /
    • 2003
  • A point of doing this research is to give basic data for junior college having matriculation resources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majority to the graduate students from Technical high school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the 6th and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urses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on technical high school, and analyzed basic subjects of technical high school and detailed major basis subject of junior college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by Educational courses and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Also we have examined tried to secure advantage of major studying on the basis of result of analysis.

  • PDF

아나모픽 착시예술을 활용한 초등 과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onvergence Program using Anamorphic Optical Illusion Art)

  • 안재홍;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224-237
    • /
    • 2015
  • In this study, in regard to the change of the paradigm to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we have looked into the ways to apply scientific inquiry through the arts,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ways to step forth with the science and the arts in educational field. In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ies related to the optical illusion arts, to make sure that the design-oriented science education to reach its goal to make effective teaching, students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method of the artistic designs. Totally it had two rounds for inspection about operation of the convergence with curriculum. As a result, students changed attitude to concentrate in class naturally while doing their art work, participating in person rather than simply looking. It is caused by the scientific approach to strategy of illusion arts. In addition, we could see that students change into a proactive manner as well as teachers comments that they are communicate and make a complete the work with others. A lot of researches give that science can provide the ideas as a method to arts, arts can provide creative ideas to science, but it is still lacking that resear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specifically on how to. An efforts in the number of collaborative research will continue to introduce, as this study STEAM of science and a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be shifted paradigm.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through Open-ended Approaches: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Effectiveness Analysis)

  •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307-32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cultivate mathematical creativity based on open-ended problem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The major features of this innovative program are (a) breaking up fixations, (b) multiple answers, (c) various strategies, (d) problem posing, (e) exploring strategies, (f) selecting and estimating, (g) active exploration through open-ended problems. 20 units for 7th grade mathematics were developed.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experimental students may develop more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than their traditional counterparts. The participants were 7th grade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Instruments were pre and post tests to measure mainly di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open-ended proble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students achieved better than the comparison students on overall and each component of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of divergent thinking skills, when deleting the effect of covariance of the pretest.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teachers to use in enhancing their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Further this open-ended approach can be served as a model to implement in cla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in order to examine effects on affective domains such as motivation and task perseverance which are also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creativity.

  • PDF

함수의 도입을 위한 사다리타기 게임의 수학적 분석 (Mathematical Analysis of Ladder Diagram Game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function)

  • 이광연;이광상;유기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67-281
    • /
    • 2013
  • 본 연구는 사다리타기 게임을 중학교 수학에서 함수의 도입과 고등학교에서의 합성함수의 도입을 위한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사다리타기 게임에 사용되는 사다리그림은 일대일대응이 되므로 집합을 도입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쉽게 함수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가로선을 갖는 사다리그림은 일대일대응이므로 r개의 가로선을 갖는 사다리그림은 r개의 일대일대응의 합성함수를 결정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대일대응에 대한 기본적인 몇 가지 사실에 대하여 사다리그림을 이용하여 수학적으로 증명하였고, 중학교에서의 함수와 고등학교에서 합성함수를 사다리타기 게임으로 도입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일대일대응에 대한 사다리그림은 학생들의 흥미와 집중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수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하게 하는 좋은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함수 영역 문제해결 협력학습 과정에서 문제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인지부하 분석 (The cognitive load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problem types in collaborative learning for solving the function problems)

  • 김성경;김지연;이선지;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37-155
    • /
    • 2018
  • From the assumption that an individual's working memory capacity is limited, the cognitive load theory is concerned with providing adequate instructional design so as to avoid overloading the learner's working memory. Based on the cognitive load theor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problem-based collaborativ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by analyzing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load which is perceived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s(short answer type, narrative type, project)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 function part.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re is a relev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gnitive load for the problem type according to the math achievement level and gender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problem solving. As a result, there was a relevant difference in the task burden and task difficulty perceiv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blems in both first and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s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effort. In addition, the efficacy of task performance differed between first and second grad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which is most frequently used in school classrooms, it examined students' cognitive load according to problem types in various aspects of grade, achievement level, and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