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검색결과 1,255건 처리시간 0.035초

공통직무능력표준 개발연구: 국가기술자격법상 기술사 자격을 중심으로 (A Study for Developing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Focusing on Professional Engineer Qualification i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ct)

  • 조정윤;배을규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3-1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교육훈련-자격-노동시장의 연계 차원에서 기술사 제도를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둘째, 기술사의 공통직무능력표준을 검정기준, 출제기준, 면접시험 기준 등의 개선에 활용할 뿐만 아니라 기술사 계속교육훈련과정 개발, 공과대학 등의 정규교육과정 개발, 기업의 인사관리제도 개선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술사 관련 제도를 국제적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기본여건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직무능력표준과 관련된 이론적 문헌과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능력표준 개념 정의와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법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이에 기반하여 우리나라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뉴질랜드, 영국과 같이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을 제정하여 활용하고 있는 사례와 국제기술사의 직무능력표준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 개발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진이 도출한 공통직무능력표준(안)을 최종적으로 수정?보완하여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안)의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직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 분석 (Identifying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STEM Occupations)

  • 장혜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81-792
    • /
    • 2018
  • 현대 사회에서는 기술이 발전하고 산업이 분화되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오랜 교육과 경력이 필요하므로 과학기술 직종에 필요한 역량에 기반을 두어 과학교육정책을 설계하고, 학습자가 가진 능력과 적성에 맞는 과학기술 진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 인력과 STEM 직종에 대한 정의를 탐색하고, 미국 노동부에서 운영 및 관리하는 표준 직업 정보($O^*NET$)를 사용하여 STEM 직종의 핵심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O^*NET$의 숙련, 지식, 직업 활동으로 구성된 총 109개의 지표를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STEM 직종의 핵심 역량은 STEM 문제해결 역량, 관리역량, 기술 역량, 사회 서비스 역량, 교육 역량, 설계 역량, 생물 화학 역량, 공공서비스 역량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전체 분산의 70%를 설명한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직종의 다양성과 과학기술 직종에 요구되는 역량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어 중등 및 대학교육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목표를 설정하는데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개인의 적성에 맞는 개별화된 과학진로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건축전공 대학생과 건설회사 노동자의 역량 비교 분석 (A Study on compar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and construction company workers)

  • 황태홍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31-38
    • /
    • 2021
  • 본 연구는 건축사회환경공학부 대학생과 건설회사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K-CESA 핵심역량 중 비인지적영역(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과 인지적 영역(의사소통역량, 종합적사고력)을 측정하고 분석했다. 건설회사 노동자 25명과 𐩒𐩒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3, 4학년 대학생 36명 통 71명을 대상으로 K-CESA 진단평가를 실시했다.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 검증인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했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회사 노동자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학생간 다섯 가지 능력(자기관리역량의 목표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대인관계역량의 협력, 중재, 리더십능력, 의사소통역량의 말하기 능력 및 종합적사고력역량의 분석적사고력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문가 요구 분석 및 문헌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전문가 요구 분석과 문헌 분석을 통해 목표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과 분석적사고력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전공과 공공기관, 기업, 기타 조직 노동자의 역량을 비교하고 대학생을 위한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보영재아동의 학년별 차이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e Comparison Difference Analysis of the Gifted Children in IT)

  • 전우천;홍석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5-32
    • /
    • 2014
  •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한 나라의 경제력은 IT 산업과 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새롭고 혁신적인 IT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IT 산업을 부흥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IT 산업에 있어서는 단지 소수의 뛰어난 인재가 전체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조기에 정보영재를 판별하고 양성하는 것은 IT산업의 육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학년별 학업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및 6학년 정보영재아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영재의 다양한 능력 가운데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중점을 두었다. 현재까지 정보영재아동의 학년별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의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한 정보영재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8년 동안의 성적이 분석되었다. 통계처리결과로부터 정보영재아동의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있어서 4학년, 5학년 및 6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에 있어서 교육내용, 교육과정 및 법과 제도를 제안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업통제감 및 학교적응유연성이 TOEIC 학습몰입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 (Convergent Influence of Self Efficacy, Academic Control and School Resilience on TOEIC Learning Flow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 홍수미;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373-381
    • /
    • 2018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에서 자기효능감, 학업통제감 및 학교적응유연성과 TOEIC 학습몰입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TOEIC 학습몰입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 1일부터 5월 29일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시 소재 대학의 토익학습반에 참여하는 보건계열 대학생 255명으로 하였다. TOEIC 학습몰입은 자기효능감, 학업통제감 및 학교적응유연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자기효능감, 학업통제감 학교적응유연성 및 TOEIC 학습몰입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학교적응유연성은 자기효능감 및 학업통제감보다는 TOEIC 학습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보건계열 대학생의 TOEIC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요인들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 학습몰입을 높이는 토익학습 교육과정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TOEIC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후 간호역량과 전공만족도의 차이 (A comparative study Nursing competency and Major satisfaction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 김은재;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37-243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후 간호역량과 전공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로 자료수집은 2019년 2월 18일부터 4월 23일까지 간호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8주간 임상실습 전·후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paried t-test, 피어슨 상관관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임상실습 후 간호역량은 실습 전보다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t=-1.73, p=.084), 간호역량의 하위요인 중 교육능력(t=-1.97, p=.050)과 윤리적 실무능력(t=-209, p=.038)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t=-2.45, p=.015). 임상실습 후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일반만족, 관계만족 및 인식만족이 간호역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식만족이 간호역량을 9.9%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편 및 전공만족도 중 인식만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COVID-19로 인한 교내 임상실습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In-School Clinical Practice Due to COVID-19)

  • 강승주;심정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245-250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실습을 할 수 없는 상황에 교내실습으로 대체 한 후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에서 2021년 9월 13일부터 12월 3일까지 시행된 임상실습 대체 교내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ANOVA, Pearson's 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실습만족도는 일반적 특성으로 자기효능감(r=.540, p=.000), 셀프리더십(r=.553, p=.000), 비판적사고능력(r=.382, p=.000), 전공만족도(r=.248, p=.003)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 20.4%(𝛽=.266, p=.047), 셀프리더십 51.2% (𝛽=.271, p=.047)로 나타났으며, 실습만족도에 대한 변인들의 설명력은 33.8%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학생의 문제중심학습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혼합연구방법 (Development and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Simulation Practice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 이정은;임연길;오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25-54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학생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혼합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4월 19일부터 6월 11일까지 J도 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91명의 구조화된 설문지와 12명의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주제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양적연구결과,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t=2.78, 𝜌=.006), 학습만족도(t=2.41, 𝜌=.017)와 자신감(t=2.81, 𝜌=.005)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 결과, 4개의 중심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중심주제는 '우선순위에 근거한 통합적인 간호를 학습함', '의사소통을 통한 팀 상호협동을 경험함', '중환자간호를 선명하게 학습함', 그리고 '간호역량이 향상됨'이었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을 통하여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시뮬레이션 실습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간호학생 대상으로 근거 기반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되어 실습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환자안전 지식, 태도가 임상실습 시 환자안전 수행능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to Perform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Clinical Practice on Nursing Students)

  • 문미영;김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11-5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환자안전 지식, 태도가 임상실습 시 환자안전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환자안전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 수행능력은 비판적 사고성향(r=.278, p=.001)과 양적 상관관계,. 임상의사결정능력(r=.202, p=.014)과 양적 상관관계, 환자안전 태도(r=.421, p<.001)와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성별(${\beta}=.175$, p=.031), 환자안전 교육(${\beta}=-2.266$, p=.025), 비판적 사고성향(${\beta}=3.354$, p=.001), 환자안전 태도(${\beta}=.368$, p<.001)로서 설명력은 31.5%의 영향력을 보였다(R2=.561, F=4.56 p<.00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에 필요한 환자안전 수행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의사결정능력,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교과 과정의 수립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이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core nursing skill on nursing student's adapting to clinical practice)

  • 장영미;박연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77-8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스트레스,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 임상실습 적응 정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간호대학생 4학년 207명에게 자가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24.0을 이용하여 t-test,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비판적 사고성향은 음의 상관관계(r=-.18, p=.010)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은 비판적 사고성향과 양의 상관관계(r=.25, p<.001),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r=-.17, p=.017)를 나타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임상실습 적응과 양의 상관관계(r=.44, p<.001)를 보였고, 임상실습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β=.43)으로 나타났으며(F=18.34, p<.001), 설명력은 약 23.1%였다. 이상과 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서 받는 스트레스 요인들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