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J사 개발팀(1999). 역량기반 학습체계. J사.
|
2 |
국가직무능력표준(2017). NCS/학습모듈검색. https://ncs.go.kr/unity/th03/ncsSearchMain.do에서 2020/1/7 인출.
|
3 |
SM대학교 STAR통합관리시스템(2015). 역량진단, https://smstar.sunmoon.ac.kr/PageN/CAbout/Cinfo.aspx에서 2019/12/3 인출.
|
4 |
한국직업능력연구원(2019). K-CESA. https://www.kcesa.re.kr/intro.do에서 2019/12/30 인출.
|
5 |
N사 인사팀(2009). 역량카드. N사.
|
6 |
H사 인사팀(2017). 인사고과규칙. H사.
|
7 |
하병학, 김경이, 박영신, 송성욱, 안현아(2017).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교생활 및 학업생활에 미치는 영향. 제3회 K-CESA활용 대학생 핵심역량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직업능력연구원. pp. 3-24.
|
8 |
박미주(2017). 교수체제 모형(ADDIE)을 적용한 통합건강증진사업 직무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9 |
권순철, 김성봉(2014). 액션러닝기반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프로그램 개발. 교양교육연구 8(2). 한국교양교육학회, pp. 83-127.
|
10 |
김흥수(2009). 국내 건축교육체제의 현실과 문제점. 건축, 53(10), pp. 29-30.
|
11 |
이선구(2004). 5년제 대학 건축교육 실현을 위한 유럽 유수 건축대학 교과과정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0(3), 66-75.
|
12 |
전보혜(2015). 범이론적 모형과 ADDIE 모형을 이용한 치과 금연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3 |
황지원, 김학진, 송오성(2016).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교과목 성적과 K-CESA 핵심역량의 관계 분석. 공학교육연구 19(4). 공학교육연구, pp. 35-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