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courses system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6초

Establishment of Chosun University's Lifelone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Department-Led Educational Innovation

  • Kim, Young-Jun;Kim, Wha-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54-159
    • /
    • 2022
  •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ocedures and plans to establish a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t Chosun University.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expert consultation. Chosun University not only has various units of major(department) that can deepen and integrate knowledge and technology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ut also has various leadership and various infrastructures that can lead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Gwangju and Jeonnam area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five procedures and plan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maintenance and convergence of majors (departments) unit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department-led regional-linked education programs through extracurricular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majors in connection with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linked courses, the selection of core departments,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courses betwee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s,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entered on lifelong education cent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academic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guarante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ead of linkage between local related organizations can be expec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t Chosun University.

우리나라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서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 현황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ducation in the Medic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n Korea)

  • 이영희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2호
    • /
    • pp.90-103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n Korea to suggest a plan to move towards the form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ism education data from 28 Korean medical school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number of courses, required or elective status, corresponding credits, major course contents, and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Considerable variation was found in the number of courses and credits in the professionalism curriculum between medical schools. The course contents were structured to expand learners' experiences, including the essence and knowledge of professionalism, understanding of oneself,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and the role of doctors in society and the healthcare system. The most common teaching methods were lectures and discussions, while reflective writing, coaching, feedback, and role models were used by fewer than 50% of medical schools. Written tests, assignments and report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were frequently used as evaluation methods, but portfolio and self-evaluation rates were relatively low. White coat ceremonies were conducted in 96.2% of medical schools, and 22.2% had no code of condu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hould be explicitly included in learning outcome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ourses need to be added to each year of the program.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need to expand teaching methods such as reflective writing, feedback, dilemma discussion, and positive role models, to incorporate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portfolios, self-assessment, and moral reasoning, and to strengthen faculty development.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대학 전공과목 추천 시스템 (Recommendation System of University Major Subject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임덕선;민연아;임동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9-15
    • /
    • 2023
  • 기존의 단순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은 학생들의 수강 이력 데이터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수업을 찾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개인화된 전공과목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학생의 학과, 학년, 수강 이력 등의 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생들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각 전공과목에 대한 정보와 학생들의 강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전공과목을 추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DRL 기반의 추천 시스템을 통해 대학생들이 전공과목을 선택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추천 시스템은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에 비해 수강 과목 예측률에서 약 20%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강의 평가를 반영하여 개인화된 과목 추천을 제공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학생들이 자신의 선호와 목표에 맞는 전공과목을 찾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 및 내용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and Present Status of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 유혜자;정미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71-384
    • /
    • 2010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clothing departm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fashion industry, employment potential in the clothing departme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numerical changes in the educational statistics, and curriculums were investigated by papers, reports, and statistic data. The statistic data were derived from the 'Center Educational Statistics and Information', 'School Information' (Hak-gyo Alimi),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and internet home pag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echnical service workers that graduate from clothing department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limited competitiveness in a thriving fashion industry field. Highly developed fashion industries require more professional workers in fashion design, fashion marketing, and fashion materials. Compared to 1994, when 35 classes were conducted in 5 vocational high schools, 69 classes are now conducted at 15 schools. They have over 2,000 students and produce over 600 graduates. However, 222 credits of the $1^{st}$ curriculum in 1958 went down to 82 credit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complete the credits of clothing departments. The 15 courses of the 1st curriculum fell to 5 course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n the number of major subjects. It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major courses in clothing education have been excessively reduced despite the demand for of highly specialized workers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e view of operating conditions of those schools, there were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wide gaps in the curriculum, limited equipment, the supply of teachers, and counseling on the choice of college or a career. In conclusion, the following measures are required: 1) the increase of complement credits in major subjects and renovation of curriculum, 2) national substantial support to change the social circumstance concerning vocational education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3) operation of credit approving system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for students that have completed the same courses at vocational high schools, 4) designing realistic program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cooperation systems with corporate enterprises.

미국 대학 시큐리티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 대학교육과 비교를 중심으로- (Research for the Security Studies in the Universities of U. S. A.)

  • 공배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5-43
    • /
    • 2011
  • 미국의 시큐리티 발달은 미국 산업의 발달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미국은 19세기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시큐리티 분야도 동반 발전을 하였고, 미국의 분권적인 지방자치 정치체제는 이러한 시큐리티의 발전에 우호적인 환경으로 작용을 하였다. 미국 시큐리티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시큐리티 전문요원을 양성 배출하는 대학의 경우도 관련 학과를 설치하여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현재 103개의 대학에 관련학과(Criminal Justice)가 설치되어 있으며, 범죄와 관련한 다양한 영역에서 180여개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 대학의 시큐리티 학문적 경향은 법률과 교정 분야(Law, Justice and Corrections)가 21.6%로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형사사법과 소송 분야(Criminal Justice and Procedures)가 20.5%를 차지하여, 법률분야가 총 42.1%로서 전체 중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즉, 미국 대학의 시큐리티 학문적 경향은 법률분야(형사법)에 거의 치중되어 있었다. 또한, 10개 이상의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통 교과목의 명칭을 살펴보면, Introduction to Criminal Justice(18개 대학), Criminal Law(18개 대학), Criminology(16개 대학), Criminal Procedures(16개 대학), Research Methods in Criminal Justice(16개 대학), Criminal Investigation(12개 대학), Juvenile Justice(10개 대학), Terrorism(10개 대학), Ethical Issues in Criminal Justice(10개 대학) 등의 9개 과목이다. 미국 대학의 학문적 경향은 범죄예방의 방법을 실정법을 통해서 강구하고 교정을 통해서 찾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범죄환경을 제공하는 사회적 배경 또는 사회현상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사회과학 분야(Social Science) 의 커리큘럼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형 온라인 강좌의 설계와 운영 방안 모색: 재학생, 고등학생, 일반인 대상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Effective Design and Operation of Massive Online Courses: A Survey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Needs)

  • 장진영;김령희;손나경;신효정;정현숙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73-80
    • /
    • 2023
  • 21세기 들어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활성화로 온라인 강좌와 웹기반 커뮤니케이션의 사용이 고등교육 분야에서 증가되어 왔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온라인 교육의 특성은 대학 캠퍼스를 국내외로 확대하고 대학교육의 수혜자도 일반인과 타대학 학생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또한 학령인구의 감소, 대학 구조의 재편과 같은 변화도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K대학교 재학생,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 대형 온라인 강좌를 필요로 하는 영역, 현재 개설된 대형 온라인 강좌의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니즈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K대학교 재학생의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만, 각각의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는 높으나 온라인 강좌의 체계 통일성을 높여야 함과 온라인 강좌를 원활하게 수강할 수 있는 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의 경우 자연과학에 대한 선호도에서 일반인과 재학생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오고 있는데 수학, 물리와 같은 과목을 선수과목으로 하고 온라인 강좌로 만들어서 전공 수업에 대비하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인의 경우 인문학 분야에 대한 선호도가 고등학생과 재학생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교양함양이라는 강의 목적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공학교육에서의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교육 (Engineering Educations for Creativity and Design in Mind at HIU)

  • 한병기;지해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4호
    • /
    • pp.19-27
    • /
    • 2006
  • 2000년대에 들어와 교육 현장에서는 국가발전의 주요한 원동력 중 하나인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학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한국공학인증체계(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가 마련되어 생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졸업생을 배출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자격기준을 제시하여 이를 충족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은 홍익대학교의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에서의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교육 체계와 그 수행방법을 다루고 있다.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 교육은 10여년전부터 홍익대학교 공학교육의 중심개념으로서 꾸준히 실행되어왔으며 본문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관련 교과목체계의 정립과 본교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교육 특성화 목표를 소개한다.

국내 건축분야 학과의 현황과 컴퓨터 과목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and Computer Program Subjects in Department of Architecture-related)

  • 남윤철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7-34
    • /
    • 2013
  • According to current digital and information society, architecture related departments in universities give and educate computer courses to train top-level human resources suiting the needs of the tim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urriculum of architecture related departments and to use the reference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by understanding computer courses for architecture related depar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100 departments (28.2%)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130 departments including an academic system that is the most departments. Also, there are 86 departments (39.8%)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117 departments including an academic system. There are 77 departments in the field of interior architecture, which contain 48 departments (62.3%) of two- or three-year bachelor course college. (2) Department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opens a program study course in the second year of the program that is the most courses had been opened. First, most departments selected an order of learning a structure/detail construction techniques of architecture and design skills such as a foundation system and expression of the structure by hand in the first grade and processing it using a computer in the second grade. (3) BIM was opened in only three departments of 31 departments surveyed and was opened in a senior class. The reasons of still lack of BIM are the compatibility deficit of partners such as building structure, building equipment, securing lecturer, and still the dominant point of CAD in the field. (4) Six departments of 31 departments surveyed did not open a program study course as a major. That is to say, it is learned in a basic course or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requirements (information area) of each department, or in an own program of each department. (5) The program study is only a means to create architectural drawings in department of the field of architecture. Thus, we should remember not only the drawing through the program but also drawing up a floor plan after understanding of methods such as constructional methods, detail drawing, and expression.

직업교육 훈련기관 운영과정 개선에 대한 제안 (전문대 미용계열 중심으로) (The Suggest for improving the operation proces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 beauty major of the vocational college))

  • 김윤정;홍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68-377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대학이 직업교육 훈련 기관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현재 운영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전문대에서 미용계열 직업교육 훈련과정을 수료하였거나 재학 중인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여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총 230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조사에서 회수된 설문지 응답 결과를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Ver. 24: IBM,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범주 형 자료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고등학교 1학년 학기 초 일반고 전교생들에게 직업교육 훈련과정에 대한 정보를 일률적으로 제공하고, 이후 2학년 1학기부터 충분한 직업교육 훈련시간을 통해 본인의 적성에 부합한 진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둘째, 미용계열 훈련과정에 네 개의 전공과목을 동시에 개설하는 것이다. 훈련생들이 네 개의 미용 과목에 따른 자격증을 훈련기관에서 훈련기간 중 취득할 수 있게 하며. 피부,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의 모든 전공과목을 교육 받고 자격증을 취득하는 과정에 본인의 적성에 부합한 전공 진로를 신중히 결정할 수 있게 기회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가 미용을 전공으로 하는 일반고 비진학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직업교육 훈련기관으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효율적인 기계공학 이수체계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Mechanical Engineering Curriculum and Model Curriculum Structure)

  • 송동주;하일규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48-61
    • /
    • 2011
  • 국내외 기계공학분야 교육과정과 이수체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교육과정 및 이수체계 현황을 파악하고, 공학교육 내용과 지식의 논리적 구조에 근거한 합리적 이수체계 모델을 제시하여, 기계공학 프로그램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외 우수대학 기계공학 분야의 설계교육을 포함한 교육과정, 학문, 산업발전 동향을 고려하여 합리적 이수체계를 연구하였다. 특히 전면적인 선.후수 이수체계도입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여, 교과 이수체계를 준수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공학지식의 논리적 구조에 따라 공학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