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180 cell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2초

Retroviral vector를 이용한 종양괴사인자 (TNF-$\alpha$) 유전자 이입 암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 수용체의 발현 (The TNF Receptor Expressions in Cancer Cells Transfected with TNF-$\alpha$ cDNA Using Retroviral Vector)

  • 이혁표;유철규;김영환;심영수;한성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6호
    • /
    • pp.1271-1284
    • /
    • 1997
  • 연구배경 :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 TNF)는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바, 그 중 생체 외에서 증명된 뚜렷한 항암 효과로 말미암아 최근 항암 유전자요법의 중요한 대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유전자 이입의 기술적 문제로 생체 외에서 암세포에 유전자 이입을 시행한 후 이를 다시 환자의 생체내로 이식하는 방법이 연구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저자들의 과거의 연구를 포함한 여러 연구에서 TNF가 이입된 암세포는 TNF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증명되었고 이에는 새로이 방어 단백질을 합성하는 것이 관여할 것이라는 시사가 있었다. 이 획득내성의 기전을 밝히는 것이 종양생물학의 이해를 넓히고 보다 효과적인 항암 유전자요법을 개발하기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로 생각된다.

  • PDF

송이(Tricholoma matsutake)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가 생쥐의 Sarcoma 180에 미치는 항암 및 면역증강 작용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gainst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Tricholoma matsutake)

  • 허현;최연일;이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90-1298
    • /
    • 2008
  • 송이는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에 속하며 맛이 좋은 식용 버섯으로 예로부터 사람의 위궤양이나 위암의 치료효과는 물론 생쥐의 Sarcoma 180과 Ehrlich Sarcoma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고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NIH3T3, Sarcoma 180, HepG2, HT-29 등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의 암세포는 2 mg/ml의 조다당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arcoma 180이 접종된 ICR mouse에 자실체에서 추출한 각각의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평균수명이 각각 23.4$\sim$37.2% 연장되었다. 메탄올과 열수로 추출한 조다당류를 0.2$\sim$0.5 mg/ml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B 임파구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2.17$\sim$11.9배의 증가하였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와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배와 1.5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송이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는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해 항암작용 및 면역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Artemisia capillaris and Its Constituents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Abdul, Qudeer Ahmed;Seong, Su Hui;Ahn, Bo Ra;Islam, Md Nurul;Jung, Hyun Ah;Choi, Jae Su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171-180
    • /
    • 2018
  • Artemisia capillaris has been widely used as an alternative therapy for treating obesity and atopic dermatitis. It has been used as a hepatoprotactant. It is also used for ameliorating inflammatory reactions. Although there are several investigations on other Artemisia species, there is no systematic study describing the role of A. capillaris MeOH extract, its solvent soluble fractions, or derived anti-inflammatory principal components in regulating inflammatory condition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anti-inflammatory mechanisms of A. capillaris. Results revealed that MeOH extract of A. capillaris could decrease LPS-stimulated NO secretion. Of tested fractions, $CH_2Cl_2$, EtOAc, and n-BuOH strongly inhibited NO release from RAW264.7 cells. Bioactive mediators derived from $CH_2Cl_2$ and n-BuOH fractions elicited potent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strikingly abrogated LPS-triggered NO accumulation in RAW264.7 cells. Of particular interest, capillin and isoscopoletin possessed the most potent NO suppressive effects. Western blot analysis validated the molecular mechanism of NO inhibition and showed that capillin and isoscopoletin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provide the first evidence that MeOH extract, $CH_2Cl_2$, EtOAc, and n-BuOH fractions from A. capillaris and its derived lead candidates can potently suppress inflammatory responses in macrophages by hampering NO release and down-regulating iNOS and COX-2 signaling.

번행초 추출물의 항염증 및 종양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Tetragonia tetragonoides Extracts)

  • 최혜정;이성태;권기석;주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91-39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번행초의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및 항암 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번행초의 항염증 활성은 $1{\mu}g/ml$ LPS로 유도되는 NO 및 IL-$1{\beta}$의 생성이 억제됨을 통해 확인되었다. IL-6 및 $TNF-{\alpha}$$1{\mu}g/ml$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다당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생성이 감소되었다. 나아가 HX 분획물은 GM-CSF의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arcoma 180을 미리 주사한 ICR 마우스에 MeOH과 다당 추출물을 100 mg/kg/day 복강내 투여시 16.67%의 수명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번행초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항염증 및 항암제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로써 중요한 결과를 제공한다.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한 금목이(Tremella aurantialba) 자실체 추출 조다당류의 항암 및 면역조절 효과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Fruiting Body of Tremella aurantialba Against Mouse Sarcoma 180)

  • 이건우;김혜영;허현;이민웅;심미자;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6-74
    • /
    • 2008
  • 금목이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였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조다당류는 $2000\;{\mu}g/ml$의 농도에서 마우스 대식세포 RAW 309 Cr.1와 육종암세포 Sarcoma 180에 대하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Sarcoma 180가 접종된 ICR mice에 각각의 조다당류를 주사하여 평균 수명 연장 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험군은 수명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1.1{\sim}66.7%$ 연장되었다. 메탄올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를 $200\;{\mu}g/ml$ 투여한 생쥐의 B 임파구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약 1.1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 추출 조다당류를 투여한 생쥐의 복강의 총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1.42배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2.87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과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하여 소폭 증가하였다.

대향고(Lentinus giganteus)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가 생쥐의 Sarcoma 180에 미치는 항암 및 면역 증강효과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gainst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from Fruiting Body of Lentinus giganteus)

  • 이건우;김혜영;허현;이태수;이우윤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5-83
    • /
    • 2008
  • 본 연구는 대향고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여 이를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Sarcoma 180, HepG2, RAW 309 Cr.1 등의 세포주에 대한 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세포주는 $10{\sim}2000\;{\mu}g/ml$ 조다당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NIH3T3 세포의 경우에는 열수와 중성염용액에서 추출한 조다당류 $10{\sim}2000\;{\mu}g/ml$의 농도에서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고, 메탄올에서 추출한 조다당류 $2000\;{\mu}g/ml$의 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14.3{\sim}67.5%$ 연장되었다. 중성염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50{\sim}2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1.53{\sim}1.68$배 내외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7.7배 증가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을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간, 비장 및 흉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소폭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향고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Sarcoma 180에 대한 항암작용은 이들 조다당류의 면역 증강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흰목이(Tremella fuciformis)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 활성 및 항암 효과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remella fuciformis)

  • 오윤희;김상범;이건우;김혜영;심미자;노현수;이현숙;이민웅;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5-111
    • /
    • 2006
  • 흰목이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였다. 세포 독성 실험 결과, 열수 추출물은 $2000{\mu}g/ml$의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염용액 추출물도 정상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아서 이들 물질을 세포에 투여 할 경우 안전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Sarcoma 180 복수암을 유발시킨 생쥐에 투여하고 수명연장효과를 측정한 결과 53%의 수명연장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3.0{\sim}8.1$배 증가시켰으며, 총 복강 세포 수에서도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7.4배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처리군의 백혈구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가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따라서 흰목이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물론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삼색도장버섯(Daedaleopsis tricolor)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 활성 및 항암 효과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Daedaleopsis tricolor)

  • 심성미;임경환;김정완;이우윤;김하원;이민웅;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1-167
    • /
    • 2003
  • 삼색도장버섯으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 결과, 열수 추출물은 $0{\sim}2,000\;{\mu}g/ml$의 농도에서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중성염용액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Sarcoma 180 복수암에 대한 항암 효과는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77.4%의 높은 생명 연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삼색도장버섯의 중성염용액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비장세포를 $1.7{\sim}2.4$배 증가시켰고,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2.2{\sim}8.7$배 증가시킴으로써 비장세포의 증식능과 B 임파구의 면역 활성 효과를 증가시켰다. 대식세포주 RAW 264.7에 $50;{\mu}g/ml$의 농도로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양성 대조군이 $79\;{\mu}M$의 nitric oxide(NO)를 발생시킨 것에 비해 다소 높은 $90\;{\mu}M$의 NO를 발생되었다. 또한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마우스 복강에 투여하였을 시 대조군에 비하여 복강세포수가 10배 증가하였으며 혈액 내 백혈수 또한 2배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삼색도장버섯의 중성염추출물은 항암 효과와 숙주의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민긴뿌리버섯(Oudemansiella radicata)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조다당류의 항암 및 면역 활성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Oudemansiella radicata)

  • 김상범;이건우;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9-114
    • /
    • 2007
  • 민긴뿌리버섯은 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식용은 물론 항암, 고혈압 및 진균감염증의 치료에 널리 이용해온 식의약용 버섯이다. 민긴뿌리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여 Sarcoma 180에 접종된 ICR mice에 주사하여 수명연장 및 항암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세포는 $10{\sim}1000\;{\mu}g/ml$ 추출물 농도에서 70% 내외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평균수명이 각각 $42.9{\sim}66.7%$ 연장되었다.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대조군과 LPS군에 비해 약 $1.4{\sim}3$배 내외의 증가율을 보였다. 총 복강 세포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3.5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2.5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매미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sinclairii)로부터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 활성과 항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aecilomyces sinclairii)

  • 심성미;임경환;이우윤;김정완;심미자;이민웅;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5-160
    • /
    • 2003
  • 매미눈꽃동충하초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 결과, 열수 추출물은 $100{\mu}g/ml$의 농도에서 HT-29에 대해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나, NIH3T3, HepG2, Sarcoma 180에 대해서는 $0{\sim}2,000{\mu}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중성염용액 추출물과 메탄을 추출물에서는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Sarcoma 180 복수암에 대한 항암 효과는 중성염용액 추출물과 메탄을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32.3%의 생명 연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매미눈꽃동충하초의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비장세포를 $2.4{\sim}2.6$배 증가시켰고,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2.7{\sim}3.9$배 증가시킴으로써 비장세포의 증식능과 B 임파구의 면역 활성 효과를 증가시켰다. 대식세포주 RAW 264.7에 $50{\mu}g/ml$의 농도로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양성 대조군이 $79{\mu}M$의 nitric oxide(NO)를 발생시킨 것에 비해 다소 높은 $89{\mu}M$의 NO가 발생되었다. 매미눈꽃동충하초의 중성염용액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암 효과와 B 임파구와 대식세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매미눈꽃동충하초 중성염용액 추출물의 항암 효과는 숙주의 면역 기능을 활성화 시킨 것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