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32초

간호대학생을 위한 학제간 의사소통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including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for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09-1215
    • /
    • 2019
  • 의사소통은 간호사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및 다양한 직종간의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성공적인 간호중재를 이끄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이에 간호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 할 수 있는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간호교육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54명이며, 연구결과, 대상자의 의사소통명확성 (t=-7.75, p<.001)과 셀프리더십 (t=-4.43, p<.0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사소통 만족도는 교육 후에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1.22, p=.226). 결론적으로 SBAR를 활용한 학제간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과 셀프리더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의 개발과 반복 훈련을 할 수 있는 지속인 교육개발이 필요하다.

GI-STEAM 모형에 기반한 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리더십과 창의적 인성,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gram for the Gifted based on GI-STEAM model on 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flow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 홍정희;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77-9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GI-STEAM 모형에 기반하여 개발된 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리더십과 창의적 인성,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GI-STEAM 수업모형은 협동학습 모형 중 집단탐구 모형(Group Investigation)과 STEAM 학습준거틀을 융합한 모형을 말한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Y시 초등학교 6학년 영재학급 학생 16명이며, 리더십, 창의적 인성, 학습몰입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GI-STEAM 프로그램 12차시를 적용한 후 리더십, 창의적 인성, 학습몰입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 및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I-STEAM 프로그램은 리더십의 개인 간 영역을 유의미하게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는 의사표현, 조직관리 영역, 사회헌신, 팀워크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GI-STEAM 프로그램은 창의적 인성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하위영역 중 심미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GI-STEAM 프로그램은 학습몰입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하위영역에서는 도전과 능력의 조화, 행위와 의식의 통합, 구체적인 피드백, 자기목적적 경험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GI-STEAM 프로그램은 교육부에서 제시한 2015 개정교육과정의 '창의융합형' 인재의 핵심역량 중 의사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공동체 역량 등을 기르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므로, GI-STEAM 모형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치과위생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유효성과 업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performance in dental hygienist)

  • 김지혜;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79-1092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performance in the dental hygienist.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81 dental hygienis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from March 1 to 31, 201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of self-leadership was 3.62, self-reward had highest score of 3.84, followed by rehearsal 3.73, self-expectation 3.72, self-goal setting 3.51, constructive thinking 3.48, and self-criticism 3.45. The averag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11, and that of job satisfaction was 3.11 and the average of job performance was 3.70.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elf-expectation, self-goal setting, constructive think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ll sub-factors except for self-critic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elf-expectation (${\beta}=0.350$), constructive thinking (${\beta}=0.124$), self-reward (${\beta}=0.106$), rehearsal (${\beta}=0.102$)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ogether with job satisfaction (${\beta}=0.187$) on job performance. Also, age, education level, clinical career, the average monthly salar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Conclusions: The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in the dental hygienist had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it is necessary to apply self-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the strengthening of self-expectation and constructive thinking.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 최한교;안성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0-108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of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with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3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fiv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ments included the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 Condition of Work Effectiveness Questionnaire-II,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and Korea-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ith the SPSS 18.0 program.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uthentic leadership,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showed perfec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via empowerment. Therefore, to enhanc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and to develop empowering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olleg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 김명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4-19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adaptation to colleg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325 nursing students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one way ANOVA, $Scheff{\dot{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Results: The mean score of college adaptation was 3.22.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affecting adaptation to college were satisfaction in major (${\ss}=.45$, p<.001), behavior-focused strategies (${\ss}=.16$, p<.001), leadership level (${\ss}=.15$, p=.003), and grade (${\ss}=.11$, p=.016).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32.2%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64.60,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n effective college adapt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y including improvement of satisfaction in major, behavior-focused strategies, and leadership level.

공대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유형별 셀프리더십과 통제소재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 Self-leadership and Locus of Control in the Kore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안정호;임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122-129
    • /
    • 2010
  • 본 연구는 공대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유형별로 셀프리더십과 통제소재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과 과제수행을 증진시키고 효과적인 팀을 구성,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수행되었다. 창의적 문제해결유형의 3가지 차원(변화에 대한 지향, 일처리 방식, 의사결정의 중심)에 대해 각 차원을 구성하는 2가지 유형(혁신-개량, 외적처리-내적처리, 사람중심-과제중심)에 속하는 학생들을 분류하고, 문제해결유형과 성별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통제소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문제해결유형의 주효과는 각 차원별로 다르게 나타났고, 성별의 주효과 및 성별과 문제해결 유형의 상호작용효과는 모든 척도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PDF

창의 미래교육 리더십 강화 직무연수에 참여한 초·중등학교 관리자의 만족도 및 효과성 분석 (The Satisfaction and 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aders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Training for Creative Leadership)

  • 최영미;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55-64
    • /
    • 2022
  • 학교 관리자는 교사의 창의적인 역량을 향상시키는 환경, 문화, 구조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학습자 및 교사 측면에서의 창의성 연구에 비해 학교 관리자의 창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적었다. 이 논문에서는 창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초·중등 관리자의 직무연수에 참여한 만족도와 견해를 살펴보았다. 2020-I, 2020-II, 2021-I의 연수시기에 참여한 교장 및 교감 총 67명의 만족도 조사 자료와 답변을 일원분산분석 및 질적데이터코딩으로 분석하였다. 창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연수과정의 만족도, 연수운영에 대한 만족도, 개별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제시하였으며, 연수시기별 효과도 비교하였다. 참여한 창의 리더십 강화 연수에 대한 관리자의 평가 및 질적 개선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였다. 직무연수 참여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창의 리더십 강화 초·중등학교 관리자 연수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양질의 직무연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호흡기 감염병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관련 임상수행능력, 셀프리더십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of Clinical Competency,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 김중경;송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93-101
    • /
    • 2019
  • 본 연구는 호흡기 감염병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관련 임상수행능력, 셀프리더십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확인을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이었다. 호흡기 감염병 시뮬레이션 교육은 5주 동안 수행되었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호흡기 감염병 관련 임상수행능력, 셀프리더십 및 비판적 사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Ver 21.0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호흡기 감염병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임상수행능력, 셀프리더십 및 비판적 사고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호흡기 감염병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대학생들의 호흡기 감염병 관련 임상수행능력, 셀프리더십 및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국내에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병 교육의 성과 검증과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반복연구와 시뮬레이션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사가 지각한 수간호사의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Effect of Nurses'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Nurses)

  • 장문정;이은남;이용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3-14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as perceived by nur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278 staff nurses currently working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Korea. SPSS/WIN 21.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Results: Nurses'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31, p<.001) and emotional leadership of nurse managers as perceived by nurses (r=.53, p<.001). Also,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experienced by nurse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nurs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hospital should offer education and training to booster head nurses' leadership by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to promote staff job satisfaction.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중소병원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이규민;지은선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2호
    • /
    • pp.114-12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165 nurses in Seoul from February to March,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WIN 22.0 program. Results: A mean scor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3.20±0.49, self-leadership 3.58±0.50,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4.01±0.49 out of 5.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atient safety competenc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Self-leadership and combined ward explained 32% of the variance of patient safety competence (Adjusted R2=.32, p<.001). Conclusi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are associated with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ystemic education to improve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should be implemented to promo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s well as self-lead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