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ogram for the Gifted based on GI-STEAM model on 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flow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GI-STEAM 모형에 기반한 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리더십과 창의적 인성,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2.06
  • Accepted : 2016.03.29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I-STEAM program on 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flow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GI-STEAM program was the convergence model of Group Investigation that belongs to Co-learning and STEAM framework of learning criterion. The participants were 16 gifted students in a Kore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experimental design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fter a pretest on 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flow was conducted, classes were carried out as GI-STEAM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of the class that was conducted twelve times for two week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area of leadership is meaningfully developed in statistics after GI-STEAM program. The sub-domains of leadership, such as the communication, organization management, society commitment and teamwork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domain of creative personality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after GI-STEAM program. However, the aesthetic in the sub-domain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ird, learning flow was meaningfully developed in statistics after GI-STEAM program. The sub-domains of the leadership, such as the balance between challenge and ability, integration with behavior and consciousness, concrete feedback and Autotelic exper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lusion, GI-STEAM i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ability of communication, aesthetic sensibility, which are core competency of 'creative-convergence' gifted students. For this reason, it is highly considered that various programs applying GI-STEAM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의 목적은 GI-STEAM 모형에 기반하여 개발된 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리더십과 창의적 인성,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GI-STEAM 수업모형은 협동학습 모형 중 집단탐구 모형(Group Investigation)과 STEAM 학습준거틀을 융합한 모형을 말한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Y시 초등학교 6학년 영재학급 학생 16명이며, 리더십, 창의적 인성, 학습몰입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GI-STEAM 프로그램 12차시를 적용한 후 리더십, 창의적 인성, 학습몰입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 및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I-STEAM 프로그램은 리더십의 개인 간 영역을 유의미하게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는 의사표현, 조직관리 영역, 사회헌신, 팀워크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GI-STEAM 프로그램은 창의적 인성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하위영역 중 심미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GI-STEAM 프로그램은 학습몰입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하위영역에서는 도전과 능력의 조화, 행위와 의식의 통합, 구체적인 피드백, 자기목적적 경험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GI-STEAM 프로그램은 교육부에서 제시한 2015 개정교육과정의 '창의융합형' 인재의 핵심역량 중 의사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공동체 역량 등을 기르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므로, GI-STEAM 모형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2015). 현직 교사들이 개발한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기반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 분석. 교육연구, 64, 75-93.
  2. 교육부 (2015). 2015 개정교육과정(고시-제2015-74호).
  3. 구영수 (2013).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23(2), 177-191. https://doi.org/10.9722/JGTE.2013.23.2.177
  4. 권순범, 남동수, 이태욱 (2012). STEAM 기반 통합교과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7(2), 79-86.
  5. 금지헌 (2012). 실과가정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실과에 대한 태도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1), 61-71.
  6. 김계완 (2011). STAD 협동학습이 수학영재의 수학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춘천교육대학교.
  7. 김덕호, 고동국, 한명재, 홍승호 (2014).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43-54
  8. 김미숙 (2013). 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12(3), 75-94.
  9. 김미숙, 전미란 (2005). 영재 리더십의 사회적 기대와 구성요인 분석: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I. 수탁연구; CR 2005-3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김성원 (2015).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자료의 개발과 적용: 3D 카메라 만들기.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1. 김아영, 탁하얀, 이채희 (2010).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4(1), 39-59.
  12. 김영준 (2012).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2(2), 251-265.
  13. 김준송 (2013).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14. 김지환, 방미선, 배성철, 홍연숙, 최종경, 이나리, 서승갑, 배진호, 이용섭, 이형철, 소금현 (2014). 영화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인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38(1), 120-132.
  15. 김진수 (2012). STEAM 교육론. 서울: 양서원.
  16. 김태훈 (2013).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7. 류제정 (2012). 뇌기반 STEAM 교육이 초등과학영재와 초등일반학생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8. 문정애 (2013).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초등수학 영재의 메타인지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9. 박문숙, 유미현 (2014).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격 강점, 정서지능, 학습몰입 비교 및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 24(5), 829-849. https://doi.org/10.9722/JGTE.2014.24.5.829
  20. 박선주 (2013). 스토리라인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487-496.
  21. 박애리나 (2014). STEAM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부산교육대학교.
  22. 박정은 (2014). 영재를 위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23.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24. 석임복 (2007). 학습 몰입의 구조: 척도.성격.조건.관여. 박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25. 안혜란, 유미현 (2015).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5(3), 401-420.
  26. 양규모 (2010). 초등 영재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27. 이유리 (2015).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와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28. 전성연, 최병연, 이흔정, 고영남, 이영미 (2007). 협동학습 모형 탐색. 서울: 학지사.
  29. 정룡 (2013). 협동학습이 영재학생들에게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극한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30. 조보람, 이정민 (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87-105.
  31. 진영훈, 손정우 (2011). 팀 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1(3), 703-718.
  32. 최지혜 (2013).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33. 하주현, 유경재, 한윤영 (2011). KEDI 창의적 인성 검사 3종 개발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4.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35. Deutsch, M. (1949). A theory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Human Relations, 2, 129-152. 전성연 외(2007) 재인용. https://doi.org/10.1177/001872674900200204
  36. Deutsch, M. (1962). Cooperation and trust: some theoretical notes. In Marshall R. Jones (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75-320. 전성연 외(2007) 재인용.
  37. Dewey, J. (1919). Democracy and education: A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Y: Macmillan.
  38. Johnson, D. W., & Johnson, R. T. (1987).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9. Johnson, D. W., & Johnson, R. T. (1989).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ory and research. Edina, MN: Interaction Book Co.
  40. Slavin, R. E. (1991).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48(5), 71-82.
  41. 머니투데이 2014.12.02일자 기사: 교육부-창의재단, 2014 STEAM 성과발표회 개최 RISS 홈페이지. www.riss.kr/index.do (검색일: 2015.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