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4초

약물치료 중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청소년에서 작업기억훈련이 행동문제와 부모 스트레스에 미치는 부가적 효과 (Augmentative Effects of Working Memory Training on Behavioral Problems and Parental Stress in Medicat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이은경;김혜선;유한익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2호
    • /
    • pp.115-122
    • /
    • 2017
  • Objectives: Executive dysfunctions including working memory deficit have been suggested to be one of the major neuropsychological etiologie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ugmentative effects of working memory training on the behavioral problems, quality of life, and parental stress of medicated children with ADHD. Methods: Twenty-five children with ADHD, aged 9 to 19 years, who were being treated with ADHD medication, were included. The participants were train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and computerized working memory program ($Cogmed^{(R)}$) for 5 weeks without any alteration of their medication.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KIDSCREEN-52 quality of life measure, and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 were administered before training, and 4 weeks and 7 months after training, respectively.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training, the anxiety/depression, social problems, thought problems, attention problems, aggressive behavior, and externalizing problems scores in the CBCL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score on the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in the PSI-SF was also decreased. However, the score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were not changed. These changes were still observed 7 months after the training. Conclusion: Cogmed working memory training can be a promising training option for the additional improvement of behavioral problems and parental stress in medicated children with ADHD.

소아의 체격에 대한 인식, 자아존중감, 사회성 및 행동특성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of physique, self-esteem, socia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 정민자;윤경림;심계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052-1057
    • /
    • 2008
  • 목 적: 초등학생들의 실제 체격 측정치와 자신의 체격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및 문제행동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 법: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4, 5, 6학년생 465명(남학생 231명, 여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키와 체중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조사,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 inventory, SEI),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를 실시하였다. 이들에서 신장과 체질량지수를 구하여 2007년 대한소아과학회의 신체발육표준치를 기준으로 저신장, 경계군, 정상 또는 비만, 과체중, 정상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고, 키에 대한 인식도는 작은 편, 보통, 큰 편으로, 체중에 대한 인식도는 마른 편, 보통, 뚱뚱한 편으로 구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2.0, SPSS,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chi-square test, ANOVA test등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실측된 자신의 키와 체중에 대하여 인식 및 만족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키나 체중의 실제 측정치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행동특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키와 체중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1). 결 론: 자신의 키나 체중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식하고 만족하고 있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체격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과 교육으로 심리적 지지를 제공해야 하겠다.

Preliminary Report of Validity for the Infant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Neurodevelopmental Delay, a Newly Developed Inventory for Children Aged 12 to 71 Months

  • Hong, Minha;Lee, Kyung-Sook;Park, Jin-Ah;Kang, Ji-Yeon;Shin, Yong Woo;Cho, Young Il;Moon, Duk-Soo;Cho, Seongwoo;Hwangbo, Ram;Lee, Seung Yup;Bahn, Geon 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3권1호
    • /
    • pp.16-23
    • /
    • 2022
  • Objectives: Early detection of developmental issues in infants and necessary intervention are important. To identify the comorbid conditions, a comprehensive evaluation is required. The study's objectives were to 1) generate scale items by identifying and eliciting concepts relevant to young children (12-71 months) with developmental delays, 2) develop a comprehensive screening tool for developmental delay and comorbid conditions, and 3) assess the tool's validity and cut-off. Methods: Multidisciplinary experts devised the "Infant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Neurodevelopmental Delay (ICEND)," an assessment method that comes in two version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child: 12-36 months and 37-71 months, through monthly seminars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The ICEND is composed of three parts: risk factors, resilience factors, and clinical scales. In parts 1 and 2, there were 41 caretak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Part 3 involved clinicians evaluating ten subscales using 98 and 114 questionnaires for younger and older versions, respectively.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Infant-Toddler Social Emotional Assessment, and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and Children were employed to analyze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ICEND. The analyses were performed on both typical and high-risk infants to identify concurrent validity, reliability, and cut-off scores. Results: A total of 29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57 of them being high-risk (19.2%). The Cronbach's alpha was positive (0.533-0.928). In the majority of domains, the ICEND demonstrated a fair discriminatory ability, with a sensitivity of 0.5-0.7 and specificity 0.7-0.9. Conclusion: The ICEND is reliable and valid, indicating its potential as an auxiliary tool for assessing neurodevelopmental delay and comorbid conditions in children aged 12-36 months and 37-71 months.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국내 중재에 대한 고찰 연구 (Effect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박영주;김은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53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재 방법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최신의 국내 치료 경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4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최근 15년간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누리미디어(DBpia), 스콜라(Scholar),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아동', '중재'를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연구는 총 14개로, 각 연구는 근거의 질적 수준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대상자, 중재, 대조, 결과의 순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근거기반 실행의 질적 수준은 수준 IV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보통'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Interactive metronome; IM)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측정된 평가도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전체형 검사(Long form assessment of IM),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behavior child checklist; K-CBCL)의 사용이 높았다. 중재결과 ADHD아동의 집중력, 과잉행동, 과제 수행, 과다언어 사용, 그리고 타이밍 등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국내 ADHD아동을 대상으로 다양한 중재방법이 제공되었고, 그 결과 ADHD증상에서 효과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임상에서 근거기반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 ADHD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유아의 놀이성,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비교 (A Comparison of Effects of Playfulness, Emotional Control, Emotional Instability on Young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 성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및 5세 유아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놀이성척도'를,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규제체크리스트'를, 또래놀이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또래놀이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놀이성,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상호작용은 정서통제와 놀이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유아의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은 정서불안정과 놀이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 후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 ADHD)

  • 신지혜;윤덕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7-15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ADHD 아동에게 음악치료를 통해 문제행동을 개선시켜 사회기술향상 효과를 알아보았다. J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중대상으로 K-CBCL로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 총 15명을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임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음악치료 실시 전과 후에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기술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용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Child Behavior Checklist-Korean)와 사회기술평가 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교사용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를 실시하였다. 음악치료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ADHD 아동은 문제행동의 공격성, 주의집중력과 사회적 기술의 협동성, 자기주장, 자기통제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 사회적 기술의 책임감과 자기 수용도는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기술의 책임감과 자기 수용도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장기간의 실험을 실시하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것이라 본다.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EFFECT OF THE SOCIAL SKILL TRAINING IN ADHD CHILDREN)

  • 박순영;곽영숙;김미경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2호
    • /
    • pp.154-164
    • /
    • 1998
  •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ADHD)아동에서 약물치료가 주의력결핍이나 과잉운동성, 충동성과 비순응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나 여러 가지 습관화된 충동적인 행동패턴이나 문제해결 방식을 변화시키고 바람직한 행동과 자기조절능력을 학습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제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을 위해 고안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후 사회기술 및 증상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원 외래 및 입원환자중 주 진단을 ADHD로 받은 $6{\sim}13$세 연령의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순수한 ADHD 아동군, 품행장애가 동반된 ADHD 아동군, 지능저하 등 다른 질환군이 동반된 ADHD 아동군으로 동반증상에 따라 3집단으로 나누어 10주간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증상의 변화 및 사회기술의 변화를 보기위해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포괄적 교사평정척도(The ADD-H Comprehensive Teacher's Rating Scale:ACTeRS), 사회기술 평가척도(Social Skills Rating Scale:SSRS), Matson의 아동 사회기술 평가척도(Ma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for Youth:MESSY)를 치료전후에 실시하였다. 각 집단에서 치료전후의 효과에 대한 비교는 비모수검증인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검증하였고, 치료전후의 변화의 정도에 대한 각 집단사이의 비교는 Kruskal-Wallis test로 검증하였다. 각 집단에서 치료전후의 효과에 대해 비교했을 때 품행장애가 공존된 집단에서 치료전에 비해서 아동행동조사표의 문제행동목록 중 공격성 요인에서 유의한 감소(p<.05)가 보였으며, 사회적 능력 항목중 활동성과 사회성에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지능저하등 다른질환군이 동반된 군에서는 사회기술 평가 척도의 사회기술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그러나 각 집단간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세 집단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위 결과로 보아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치료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만한 사회기술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반면 품행장애가 동반된 군에서 공격적 행동의 감소를 가져오고 인지능력이 떨어진 군에서 사회기술 호전을 보이는 등 아동의 특성 및 동반증상에 따라 사회기술의 호전 및 증상의 변화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비만에 이환된 아동청소년에서 보이는 정신건강문제 (Mental Health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 강나리;이지선;강기수;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2호
    • /
    • pp.119-12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ntal health problems in obese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We assess the frequency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school grade and severity of obesity.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06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8-16 years (61 boys with mean age $10.98{\pm}2.26$, 45 girls with mean age $9.74{\pm}1.96$, p=.004) who were diagnosed with obesity and recruit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and somatotype drawings. Results: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having a T-score in clinical range on one or more CBCL subscale was 37.7%.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in the high risk group for depression (CDI score above 17) was 20.8% and that in the high risk group for eating disorder (EAT-26 score above 20) was 6%. The girls showed significantly lower CBCL T-scores in social competence ($48.39{\pm}15.66$ vs. $38.91{\pm}22.04$, p=.011), adjustment function ($49.51{\pm}17.35$ vs. $40.38{\pm}22.58$, p=.020) and school competence ($53.34{\pm}10.47$ vs. $48.22{\pm}15.11$, p=.042) than the boys, but the percentages of boys and girls in clinical ran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BCL T-scores in somatic symptoms ($60.86{\pm}9.44$ vs. $55.74{\pm}6.76$, p=.005), aggressive behavior ($58.81{\pm}6.74$ vs. $54.68{\pm}6.22$, p=.009), total problems ($59.86{\pm}9.91$ vs. $54.88{\pm}9.76$, p=.039) and externalizing problems ($57.90{\pm}10.57$ vs. $52.44{\pm}9.38$, p=.022) tha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evere obes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BCL T-scores in attention problems ($59.18{\pm}9.45$ vs. $54.15{\pm}5.34$, p=.001), social problems ($59.25{\pm}8.59$ vs. $55.96{\pm}6.50$, p=.038), delinquent behavior ($58.07{\pm}6.97$ vs. $54.73{\pm}6.00$, p=.017) and total problems ($59.21{\pm}11.65$ vs. $54.67{\pm}9.03$, p=.037) than the mild to moderate obesity group. Conclusion: Significant proportions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suffer from mental health problems. Clinician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mental health risk, especially in obese adolescents and severely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임상에서 부모-교사 보고의 일치 : SDQ-Kr과 K-CBCL의 비교 (Agreement between Parent and Teacher Reports in Clinical Setting : Comparing SDQ-Kr with K-CBCL)

  • 김흥규;안정숙;김민혁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3호
    • /
    • pp.127-133
    • /
    • 2012
  •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greement between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the Korean version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for the children's psychopathology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effective in diagnostics as the Korean version of Childhood Behavior Checklist (K-CBCL). Methods : SDQ-Kr and K-CBCL were completed by parents and teachers of 165 children aged 6-12 years. The clinical diagnosis was made by a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 who did not have knowledge of the outcome. Spearman's correlations were computed for associ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atings on a subscale level. The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for the influence of child's age and sex on the results. Finally, AUC values were calculated for the diagnostic capac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formants was tested using the z test. Results : High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SDQ-Kr on every scale. Parents were more sensitive to emotional symptoms of girls, while teachers appeared to be more responsive to externalized symptoms of boys, inattention-hyperactivity of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symptoms of seniors. Parents' SDQ-Kr demonstrated the highest prediction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nclusion : Teachers' SDQ-Kr can be used in identification of child psychopathology when parents are absent or when their reliability is considered low.

야뇨증을 보이는 일반아동에서의 정서-행동 문제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NOCTURNAL ENURESIS CHILDREN IN GENERAL POPULATION)

  • 이영식;김은영;나철;전창무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42-50
    • /
    • 2000
  • 연구 목적:현재 야뇨증에서 흔히 보이는 문제행동이 야뇨증의 원인인지, 결과인지, 아니면 공존하는 동반된 문제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저자들은 기존 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임상환자였다는 점을 감안하여 비임상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야뇨증 아동에서 흔히 보이는 문제행동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야뇨증과 문제행동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충청북도 영동군 소재의 2개 초등학교 학생 1,421명중 야뇨증이 있는 72명을 환자군으로 하였고, 연령, 학년, 성별을 대비시킨 72명의 정상아동을 대조군으로 하여 수정된 아동행동조사표를 시행하였다. 결 과:야뇨증 아동에서 불안-공포 척도, 우울 척도,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척도, 비행 척도의 점수가 의미있게 높게 나왔다.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척도의 점수는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항상 의미있게 높게 나왔으며 남자와 고학년에서는 비행 척도가 의미 있었고, 여자와 저학년에서는 불안-공포 척도가 의미 있었다. 결 론:야뇨증 아동에서 다양한 문제행동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고 야뇨증 환자의 치료시 이런 문제행동들에 좀더 주의를 기울이고,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