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NOCTURNAL ENURESIS CHILDREN IN GENERAL POPULATION

야뇨증을 보이는 일반아동에서의 정서-행동 문제

  • Lee, Young-Si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 Kim, Eun-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 Na, Chu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 Jeon, Chang-M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은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나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전창무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nocturnal enuresis children(n=72) in general population. And this wa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children(n=72). The behavioral problems were assessed using a modified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parent form.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uretic children were rated significantly more anxious, fearful, depressed, inattentive, hyperactive, delinquent on the modified CBCL rating when compared to the age-, grade- and sex-matched normal control children. Finally, it was an impressive evidence that there exist many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연구 목적:현재 야뇨증에서 흔히 보이는 문제행동이 야뇨증의 원인인지, 결과인지, 아니면 공존하는 동반된 문제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저자들은 기존 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임상환자였다는 점을 감안하여 비임상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야뇨증 아동에서 흔히 보이는 문제행동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야뇨증과 문제행동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충청북도 영동군 소재의 2개 초등학교 학생 1,421명중 야뇨증이 있는 72명을 환자군으로 하였고, 연령, 학년, 성별을 대비시킨 72명의 정상아동을 대조군으로 하여 수정된 아동행동조사표를 시행하였다. 결 과:야뇨증 아동에서 불안-공포 척도, 우울 척도,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척도, 비행 척도의 점수가 의미있게 높게 나왔다.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척도의 점수는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항상 의미있게 높게 나왔으며 남자와 고학년에서는 비행 척도가 의미 있었고, 여자와 저학년에서는 불안-공포 척도가 의미 있었다. 결 론:야뇨증 아동에서 다양한 문제행동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고 야뇨증 환자의 치료시 이런 문제행동들에 좀더 주의를 기울이고,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Keywords